02초등학교(1~3학년)-내지-수정.새로 Flipbook PDF


38 downloads 101 Views 74MB Size

Recommend Stories


Porque. PDF Created with deskpdf PDF Writer - Trial ::
Porque tu hogar empieza desde adentro. www.avilainteriores.com PDF Created with deskPDF PDF Writer - Trial :: http://www.docudesk.com Avila Interi

EMPRESAS HEADHUNTERS CHILE PDF
Get Instant Access to eBook Empresas Headhunters Chile PDF at Our Huge Library EMPRESAS HEADHUNTERS CHILE PDF ==> Download: EMPRESAS HEADHUNTERS CHIL

Story Transcript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초등학교(1~3학년) 학부모

발간사

그대의 아이는 그대의 아이가 아니다 아이들은 스스로를 그리워하는 큰 생명의 아들과 딸들이니, 아이들은 그대를 거쳐서 왔을 뿐 그대로부터 온 것이 아니다. 또 그대와 함께 있을지라도 그대의 소유가 아니다 그대는 아이들에게 사랑을 줄 수 있으나 그대의 생각까지 주려고 하지 말라 아이들에게는 아이들의 생각이 있으므로. 그대는 아이들에게 육신의 집을 줄 수 있으나 영혼의 집까지 주려고 하지 말라 아이들의 혼은 내일의 집에 살고 있으므로, 그대는 결코 찾아갈 수 없는, 꿈속에서조차 갈 수 없는 내일의 집에, 그대가 아이들과 같이 되려고 애쓰는 것은 좋으나, 아이들을 그대와 같이 만들려고 해서는 안된다 생명은 결코 뒤로 물러가지 않으며 어제에 머무는 법이 없으므로 - ‘예언자’ 중에서, 칼릴지브란 지음, 류시화 옮김 -

우리 아이들은 저마다의 개성과 소질을 지닌 존재 그 자체만으로 이미 완전한 존재입니다. 아이와 부모는 전적으로 다른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아이가 스스로 변할 수 있도록 부모가 먼저 변해야하고, 아이가 스스로 자신을 믿고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가 먼저 성장해야합니다. 먼저 성장한 부모의 삶은 자녀들에게는 본보기 그 자체입니다. 자녀를 뛰어난 사람이기보다 따뜻한 사람으로 키워내는 것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육입니다. ‘한 명의 어머니는 백 명의 스승에 견줄만하다’고 했듯이 교육은 원래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부모보다 더 적합한 교육자는 없습니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모가 자녀에게 따뜻한 사랑을 충분히 주고, 부모 자식 간의 신뢰 관계가 확고하다면 자녀교육의 절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자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최선을 다한 행동에 칭찬과 격려를 해주는 것이 자녀의 꿈과 마음을 키워주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학부모의 성장은 결국 우리 아이들의 성장으로 귀결됩니다. 우리 아이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를 향해 타고난 역량과 따뜻한 인간미를 한껏 발휘할 수 있는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나는 데 가장 큰 교육자이자 지원자는 바로 학부모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새롭게 변화하는 세상에 힘차게 발을 내딛고 궁극적으로는 자립할 수 있도록 우리 부모님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서 애써 주셔야합니다. 이에 우리 교육청은 변화된 교육 환경에 맞추어, 최신 교육 정보가 담겨 있는 자녀교육 가이드북을 통해 학부모님의 고민을 해결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책은 소중한 우리 아이들의 성장과 발전적인 내일을 기대하는 학부모의 마음을 담아 제작한 자녀교육 도움자료입니다. 4세 유아부터 초, 중, 고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를 위하여, 2013년 이후 벌써 열한 번째 새로운 모습으로 찾아갑니다. 『2023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을 가까이 두시고 자녀교육에 가치 있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우리교육청은 앞으로도 우리 아이들의 더 나은 성장과, 자녀와 학부모님의 행복하고 건강한 관계를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끝으로 2023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 발간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애써주신 개발위원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2023. 3. 대구광역시교육감 강 은 희

일러두기

초등학교(1~3학년)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 개요

본 가이드북은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님들께서 자녀를 교육할 때 필요한 실제적이고 가치있는 정보들을 담고 있습니다. 또 학교 현장에서 자녀들을 어떻게 지도하는지 안내하고, 가정에서는 부모님들이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하고 대하면 좋을지 구체적인 방법들을 알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이 책은 기본생활 습관, 교과학습, 교과 외 교육, 건강·안전 생활, 교육활동 이해의 다섯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편에서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이 슬기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본생활 습관 형성을 중심으로 하여 학부모의 바람직한 역할과 상황에 따른 적절한 지도 방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편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의 학습 준비 사항, 학습 방법, 교육과정, 기초 기능, 과정 중심 평가 등 교과학습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편에서는 교과학습과 더불어 다양하고 즐거운 학교 생활을 위한 여러 가지 교과 외 교육활동에 대하여 안내합니다.

편에서는 학교나 학교 밖에서 일어나는 건강과 안전 문제에 대한 대처 방법을 제공합니다. 편에서는 올바른 자녀교육을 위한 우리 교육청의 역점 추진과제, 학부모의 알 권리를 위한 안내 및 학부모의 교육활동 참여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초등학교를 처음 접하는 1~3학년 학부모들이 이 책을 항상 곁에 두고 활용 하면서 자녀 교육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 본 자료는 발간시점(2023년 2월)을 기준으로 제작하였으므로, 이후 관계 법령 이나 제도, 지침 등의 변경된 내용은 관련 부서에서 안내하는 지침이나 공문을 참고 해야 하며, 법적 행정적 절대성을 갖거나 각종 사안에 대한 대응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자녀교육 가이드북 CONTENTS

PART

1 기본생활 습관

PART

2 교과학습

입학기 학생의 발달 특성................................... 12 기본 습관 익히기.................................................. 14

신입생 입학 준비..................................................38 기초기능 익히기................................................... 40

우리 아이 사회성 기르기................................... 17 현명한 부모의 역할.............................................. 21

초등학교 교육과정...............................................43 대구미래역량교육 ...............................................46

학교와 소통하기.................................................... 25 아이의 속마음 이해하기.................................... 27

1∼3학년 교과서 살펴보기............................... 51 자신감을 키우는 국어 공부 방법...................54

우리 아이 상담하기.............................................. 31

기초를 다지는 수학 공부 방법........................ 57 대구기초학력보장 ...............................................59 알기 쉬운 학생주도수업....................................60 과정 중심 평가 ......................................................62 가정과 함께하는 원격수업...............................64

PART

3 교과외 교육

PART

5 교육활동 이해

인성교육................................................................ 72 독서교육................................................................ 75

미래를 준비하는 대구미래학교.................158 출석 인정 결석................................................. 160

진로교육................................................................79 창의적체험활동.................................................. 81

학교 입학ㆍ전학................................................161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163

현장체험학습.......................................................83 특수교육 지원.................................................... 86

학교ㆍ학급홈페이지 활용............................166 나이스 학부모서비스.................................... 168

함께하는 다문화교육...................................... 88 방과후학교...........................................................92

학교알리미........................................................ 170 학교운영위원회.................................................171

돌봄교실............................................................... 96

학부모의 학교 참여......................................... 173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콘텐츠 활용안내.......176 교원능력개발평가 학부모 만족도 조사....... 177 교육활동 보호로 학생의 학습권 보호하기.....179 교육기부로 좋은 세상 만들기....................182 청렴을 기본으로 하는 대구교육............... 184 행정지원..............................................................187

PART

4 건강·안전생활

부록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 104 맛있고 행복한 대구학교급식......................107

대구교육권리헌장...........................................192 챗봇서비스모두모아.....................................202

건강한 생활을 돕는 보건실......................... 110 감염병 예방 방법..............................................113

찍고보는 자녀교육정보...............................203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119 학교에 있는 안전장치.....................................121 교통안전.............................................................. 125 재난대응..............................................................128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133 성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140 아동학대 예방...................................................145 실종·유괴 예방..................................................149

자녀를 긍정하고 존중하는 부모의 말 한마디는 아이가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초석이 됩니다.

제1장은 입학기 학생의 특성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슬기롭게 적응할 수 있도록 기본생활 습관 형성과 학부모의 바람직한 역할 및 상황에 따른 적절한 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학부모님들이 우리 아이의 특성과 학교생활을 이해하고 학교와 소통하며 협력한다면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PART

기본생활 습관

1

1. 입학기 학생의 발달 특성 ··································· 12 2. 기본 습관 익히기 ············································ 14 3. 우리 아이 사회성 기르기 ·································· 17 4. 현명한 부모의 역할 ········································· 21 5. 학교와 소통하기 ············································· 25 6. 아이의 속마음 이해하기 ································· 27 7. 우리 아이 상담하기 · ······································· 31

“괜찮아” “잘했어” “사랑해” 누군가 나의 마음을 알아주고 따뜻한 한 마디의 말을 해 준다면 어른인 우리도 행복해집니다. 부모의 따뜻한 한 마디 괜찮아, 잘했어, 사랑해 짧은 세 글자, 세 마디 말이 아이를 키웁니다.

입학기 학생의 발달 특성

‘우리 아이가 학교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입학기 자녀를 둔 부모의 공통된 걱정입니다. 이 시기 아이들의 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우리 아이가 맞이할 환경적 변화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신체적 특성

소근육 발달이 미숙합니다. 신체적으로 활동성이 강하고 주의집중 시간이 짧습니다. 제재하지 않을 경우 계속 활동하기 때문에 쉽게 피곤해지고, 안전 지도가 필요 합니다. 만 7~8세를 전후로 시력이 완성되기 때문에 눈 건강을 위해 평소에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영구치가 나오는 시기이므로 정기적인 치아 관리가 필요하고 특히 저녁 식사 후 이 닦기를 습관화해야 합니다.

2

인지적 특성

비논리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합니다. 사물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쓰기보다 그리기, 놀이하기, 노래 부르기 등을 좋아합니다. 상상력과 창의력이 높게 발달하지만 모방하는 것이 많습니다. 수, 양, 길이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보존개념이 발달하게 됩니다. 구체적 조작이나 감각적인 경험을 수반할 때 지적 내면화가 일어납니다.

1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정서적 특성

PART 1

기본생활 습관

3

감정  표현이 강렬하며 자주 변합니다. 상상력이  풍부하고 불안과 두려움을 쉽게 느낍니다. PART 2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주변  사람들로부터의 애정과 인정에 대한 욕구가 강합니다.

학교 가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다면? PART 3

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이 아이에겐 두려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가지는 불안감과 두려움을 인정해주고 독립적인 행동을 할 때마다 칭찬하고 격려해주 도록 합니다. 이때, 과잉보호와 같은 의존적인 양육태도는 아이의 불안감을 커지게 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에는 충분히 공감해주되 학교에 가야한다 는 사실은 단호하게 전달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ART 4

4

사회적 특성

또래  집단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관심의  대상이 가족에서 또래로 바뀝니다. 선악의  판단은 어른의 판단을 기준으로 합니다. PART 5

나에  대한 의식이 강해지고 자신감도 생깁니다. 놀이  과정에서 경쟁의식이 강하게 나타나며 친구들 사이에 싸움이 잦지만, 감정이 오래 지속되지 않습니다.

5

행동적 특성 부록

간섭받기를  싫어하며 자기 생각대로 행동하려 합니다. 자기  물건을 간수하는 습관이 부족하여 물건을 쉽게 잃어버립니다.

PART 1. 기본생활 습관

13

기본 습관 익히기

학교에서는 많은 부분을 아이 스스로 하게 됩니다. 학교에서의 생활이 가정에서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가정에서 아이들이 기본 습관을 바르게 익힐 수 있도록 부모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1

규칙적으로 생활해요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생활하게 됩니다. 따라서 생활 속에서 시간을 준수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이 피곤하면 학교생활을 제대로 하기 어렵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부모님과 약속한 시간에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아침 등교 시간을 꼭 지키도록 하기 하루 동안 해야 할 일을 규칙으로 정해보기 생활계획표를 세워 스스로 실천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기

건강한 수면 습관의 중요성 아이들은 잠을 충분히 못 잘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감정을 조절하지 못해 더 쉽게 짜증을 내게 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우울하고 불안해지기 쉽습니다. 충분히 자는 것만큼 규칙적으로 자고 일어나는 수면 습관도 중요합니다. 불규칙한 취침 시간은 생체리듬을 교란해 인지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정서·행동발달 과 즐거운 학교생활을 위해서 평소 자녀의 수면 건강을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출처: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제작 “자녀 사랑하기” 9호

1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해요

언어는 자주 접하는 사람들을 통하여 배우게 되므로 부모는 항상 올바른 언어 사용에 힘써야 합니다. 특히 아이들의 욕설과 거짓말을 하는 습관을 고쳐 주고

PART 1

기본생활 습관

2

자기 의사를 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어른들께  높임말을 쓰도록 하기 PART 2

묻는  말에는 항상 바른 자세로 똑똑하게 대답하도록 가르쳐 주기 친구  간에는 고운 말을 쓰고 상냥한 태도로 말하도록 하기 상황에  따라서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라는 말을 표현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기

PART 3

우리 아이, 욕 쓰는 것을 보았다면? 아이들은 주변의 말을 그대로 따라 하기 때문에 우선 주변 어른들의 언어 생활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뜻을 모른 채 주변의 말을 단순히 따라하는 것이라면 욕이 왜 나쁜지를 충분히 설명해 주고 욕을 쓰는 것이 잘못된 행동임을 분명하게 가르쳐 주어야 합니다. 만약 아이가 자신의 화가 난 감정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욕을

PART 4

한다면 아이의 감정에는 공감해 주되 부적절하고 공격적인 표출방식이 아닌 긍정 적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3

질서를 잘 지켜요 PART 5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실질적인 공동체 생활이 시작됩니다.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내가 먼저 정해진 규칙과 규범을 지키는 것이 다른 사람들과 행복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첫 걸음임을 인식하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줄서기와  차례 지키기를 철저히 익히도록 하기 실내에서  대화는 소곤소곤, 걸음은 사뿐사뿐 걷기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는 행동하지 않도록 하기

부록

바른  걸음걸이로 앞을 똑바로 보고 오른쪽으로 걷도록 하기 쉽게  먼저 하기 위한 편법주의, 요령주의, 적당주의 등의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깨닫게 하기

PART 1. 기본생활 습관

15

4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해요

학교 급식에는 아이들의 개인 입맛에는 맞지 않는 음식이 나오기도 합니다. 친숙하지 않은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식재료를 경험하게 하거나 평소와 다른 조리법으로 만든 음식을 맛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집중하여 식사하기 바른 젓가락질 사용 연습하기 자신이 먹은 그릇은 스스로 뒷정리하기 친숙하지 않은 음식이더라도 먹어보려고 시도하는 마음 가지기

우리 아이, 편식이 심하다면? 편식 습관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무작정 음식을 먹이기보다는 왜 그 음식이 싫은지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고 조금씩이라도 먹어 볼 수 있도록 격려해 줍니다. 아이가 요리 과정을 지켜보거나 직접 만들어 보면서 음식에 대해 흥미를 높여볼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식사 시간이 재미있고 행복한 시간임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스스로 해 보아요

비록 내 아이가 느리거나 미숙하더라도 스스로 하도록 기다려 주어야 합니다. 작은 일이라도 아이는 자신이 스스로 한 일에 대해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통학로를 확인하고 등하교 연습하기 •위험 지역을 확인해보고, 혼자 걷는 거리의 반경 점차 넓혀가기 화장실 혼자 가기와 뒤처리 연습하기 스스로 우유갑, 요구르트 뚜껑 여는 연습하기 옷을 혼자서 입고 신발끈을 묶어보는 연습하기 우산을 사용한 후 물을 털고 정리하는 연습하기 손 씻기, 마스크 사용 등 개인위생관리 연습하기

1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기본생활 습관

우리 아이 사회성 기르기

우리 아이들은 각자 서로 다른 기질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또래 관계를 PART 2

시작하는 방법과 어려움 또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타인과 잘 어울리기 위한 사회성은 사람들 속에서 직접 부딪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익혀나갈 수 있습 니다.

PART 3

1

자기중심적인 아이는?

일반적인 발달과정에 있는 어린아이에게 자기중심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므로 크게 걱정할 부분은 아닙니다. 학교생활을 통해 차츰 여러 사람과 사물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이 생기게 되면서 타인의 입장이나

PART 4

시각에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지게 됩니다.

자기중심적인 아이 지도 방법 강요하지는  않되 자주 타인의 관점을 설명해 주기 또래  집단끼리 어울려 놀 기회를 마련해 주기

PART 5

역할놀이  •아이들을 직접 꾸짖기보다는 상대방이 되어보는 역할을 해보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해의 폭도 점점 넓혀 갈 수 있습니다. 상상놀이  •‘만약 내가 누구였다면’, ‘그런 상황에서 나였다면’ 등의 상황을 상상하여 말이나 글로 표현해봄으로써 자연스럽게 감정이입 훈련과 상대방 이해 훈련 등을 할 수

부록

있으므로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독서를  통해 간접경험 쌓기

PART 1. 기본생활 습관

17

2

공격적인 아이는?

아이가 공격적인 성향을 보일 때에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꾸중하며 다그치는 등 즉각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없애려고 서두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아이의 마음 상태를 잘 살펴주면서 서서히 감정을 잘 조절하여 공격적인 행동을 줄여나가도록 해야 합니다.

공격적인 아이의 감정조절 방법 평소 화나는 상황에서 부모가 먼저 감정을 조절하여 자녀를 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차선책으로 아래의 방법 중 아이에게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해 보도록 합니다. 감정 상태 표현 및 감정 조절의 중요성 알아보기 •감정 상태만큼 풍선을 불고 공기가 가득 찬 풍선을 손에서 놓아, 공기가 빠지 면서 제멋대로 날아다니는 풍선과 혹은 불다가 터져 버리는 풍선을 보면서 감정 조절을 못했을 때의 상황을 설명해줍니다. Stop-Think-Choose의 3단계 공식 훈련해보기 •화가 났을 때 일단 멈추고, 생각하고, 행동을 선택합니다. 1+3+10 공식 훈련해보기 •일단 멈추고, 세 번 심호흡하고, 열까지 세어봅니다. 긍정적으로 다짐하는 말 사용하기 •아이가 기억하기 쉽고 짧은 긍정적 문장을 하나 만들어 감정 조절이 필요 할 때 되뇌게 합니다. 예) “침착하자”, “난 잘할 수 있어” 등 화를 경고하는 경고판 등의 상징을 만들어 자신이 화났을 때 상대방에게 보여 주거나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도와주기 예) “나는 지금 -때문에 화났어.”, 화났을 때 몸의 증상 적어보기 등

1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신감이 없는 아이는?

PART 1

기본생활 습관

3

자신감 부족의 원인은 아이가 가진 선천적인 성격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PART 2

부모의 양육 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권위적이거나 완벽주의의 부모, 과잉 보호로 인한 경험의 기회 박탈, 아이의 연령과 흥미와 능력 등을 고려하지 않은 과제 요구, 가정환경이나 교육환경에 따른 심적 불안감 등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자신감을 길러 주는 방법 PART 3

아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결정권이나 작은 경험이라도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기 잘할  수 있다고 용기를 주면서 지켜봐 주기 •과제 수행이 서툴고 미흡하더라도 꾸중하거나 윽박지르지 말고 아이가 혼자서 마친 것에 대해 높이 평가해 주며 “다음엔 훨씬 더 잘할 수 있을 거야”

PART 4

하며 용기를 북돋아 줍니다. 아이에게  쉬운 것부터, 잘할 수 있는 것부터 하도록 하기 •성공 경험은 아이의 자신감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너무 쉬운 것을 과제로 제시하거나 과도하게 지나친 칭찬은 오히려 아이에게 열등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PART 5

부모님의  어린 시절 자신감이 부족했던 경험을 들려주기 •동질감을 느끼면서 마음이 편안해지면 두려움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진정성이  드러나는 칭찬이나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해 주기

부록

PART 1. 기본생활 습관

19

4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려면?

한정된 친구들끼리만 놀아 온 아이들은 친구들과 잘 어울려 놀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곤란을 겪게 됩니다. 이웃 친구들과 함께 활동할 기회를 만들어 주어 적응력을 길러주고, 양보하며 협조하는 습관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가 친구에게 다가가기 위한 방법 친구에게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며 웃으며 인사를 건네 봅니다. 고운 말을 사용하며 친구와의 약속은 지키려고 노력합니다. 친구를 칭찬해 보세요. 정직하고 구체적인 칭찬이 좋습니다. 놀이에 끼고 싶을 때는 놀이가 잠시 중단되길 기다렸다가 참여해도 되는지 물어봅니다. 끼워주지 않으면 실망하지 말고, “그래, 다음에 놀자.” 하고 부드러운 표정으로 받아들입니다. 출처: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제작 “자녀 사랑하기” 1호

부모는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요? 대화는 두 사람 이상이 ‘주고받는’ 것임을 알려줍니다. •자기가 하고 싶은 말만 하는 것은 바람직한 대화가 아님을 자녀가 깨달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시설물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자녀에게 직접 가르쳐 줍니다. 친구와의 관계에서 잘못을 저지르면 즉시 타이르고 무엇이 어떻게 잘못 되었는지를 이야기해 줍니다. 서로 양보하고 도와주는 착한 모습이 보일 때는 칭찬해 줍니다. 스포츠정신을 가르치고 결과에 승복하도록 연습합니다. 이때 일부러 져주지는 않습니다.

2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기본생활 습관

현명한 부모의 역할

자녀들에게 무조건적인 사랑과 관심을 주는 것이 부모의 중요한 역할이지만, PART 2

해야 하는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을 잘 가르쳐 주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부모가 아이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 아이들의 자존감도 올라가며 부모의 지도가 좋은 효과를 발휘할 것입니다.

PART 3

1

좋은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세요

부모의 감정 조절이 먼저! 우리 아이들은 아직 완벽하게 성숙되지 않았기 때문에 행동 조절이 힘들거나 약속된 규칙을 지키기 어려울 수 PART 4

있습니다. 자녀에 대한 지도는 체벌이 아니라 가르침 입니다. 크게 심호흡을 한 번 하세요.

일상에서 실현 가능한 좋은 부모 모든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과 진실성입니다. 부모와 자식 PART 5

간에 부족한 부분이 있을지라도 솔직하게 인정하고 현재에 최선을 다하는 부모의 모습에서 아이들은 교훈을 얻게 됩니다. 아이들을  훈육함에 있어서 항상 긍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아이들에게  행동수정을 요구할 때는 부모 자신부터 실천하고 있는 행동인지 먼저 살피고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여 줘야만 진정한 교육의 효과를 기대할

부록

수 있습니다.

PART 1. 기본생활 습관

21

2

구체적인 계획과 전략을 세워주세요

규칙을 정하는 이유에 대해 아이와 충분히 대화합니다. 상벌을 정할 때 아이와 합의를 통해 정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상으로 주어야 동기부여가 됩니다. •벌은 TV 시청 제한 등 아이의 특권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의 적용은 부모가 일관된 방향으로 해야 합니다. •통일된 기준을 정해두고 일관성 있게 말과 행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과 벌은 미리 정해져 있어야 하며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엄마 말을 잘 들어야 한다. (X)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낸다. (X) •학교 갔다 오면 곧바로 숙제를 한다. (O) •친구들에게 욕을 하지 않는다. (O) 잘못된 행동에 대한 벌은 즉각적으로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출처: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제작 “자녀 사랑하기” 특별호

3

아이의 자존감을 존중해 주세요

아이의 인격을 무시하거나 비난하는 표현은 아이의 자존감을 떨어뜨립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지적하되 어떠한 경우에도 아이의 인격은 존중되어야 합니다. 명령문이나 지시하는 표현보다는 긍정적 표현을 사용하여 해결방안을 함께 제시하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TIP 올바른 메시지 전달법 •(문제행동) 네가 주변을 살피지 않고 뛰어다니면, •(감정전달) 엄마는 걱정된단다. •(정당한 이유) 넘어지게 되면 크게 다칠 수도 있으니, •(의사전달) 주변을 살피면서 조심히 다니도록 하자.

2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아이들이 가지는 다양한 감정을 부모가 알아차리고 공감해 주는 것은 중요 합니다. 자신의 감정이 충분히 지지받고 있다고 느껴질 때, 아이는 스스로 문제

PART 1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세요

기본생활 습관

4

해결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가족치료 전문가 가트맨(John Gottman) 박사는 감정코칭을 통해 부모가 PART 2

자녀의 감정문제를 인식하고 공감함으로써 자녀의 심리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 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감정코칭의 단계 (1단계) 아이의 감정 인식하기 PART 3

부모: “표정이 좋지 않구나. 무슨 일 있었니?”

(2단계) 정서적 교감하기 아이: “형 때문에 짜증나요.” 부모: “형이랑 안 좋은 일이 있어서 기분이 좋지 않은가 보구나.”

PART 4

(3단계)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기 아이: “형이 자기 장난감을 만졌다고 화를 냈어요. 예전에 형 장난감을 한 번 망가뜨린 적이 있는데 그 이후로는 만지지도 못하게 해요.” 부모: “형이 장난감을 못 만지게 해서 속상했겠구나. 형이랑 같이 놀고 싶기도 했을 텐데 말이지.”

PART 5

(4단계)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와주기 아이: “맞아요. 이번에는 조심히 만지려고 했는데 형이 화를 내니까 억울하기도 하고, 같이 놀아주지 않아서 서운하기도 해요.”

(5단계) 아이와 함께 해결방안 찾기 부모: “함께 놀고 싶은 너의 마음을 형이 알아주면 좋을 텐데. 형은 장난감이

부록

또 망가질까봐 걱정되는 건 아닐까?” 아이: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아끼던 색연필을 친구가 부러뜨렸을 때 속상 했거든요. 앞으로는 조심해서 만지겠다고 형에게 다시 이야기 해봐야겠어요.”

PART 1. 기본생활 습관

23

5

칭찬을 아끼지 마세요

벌보다는 칭찬이 더욱 강력하고 효과적입니다. 잘못된 행동보다는 잘하고 있는 행동에 먼저 관심을 가져주세요.

결과보다 과정 칭찬하기 “달리기 1등 했구나. 잘했어!” 보다는 “매일 아침마다 달리기 연습을 하더니 그동안 노력했구나. 멋져!” 결과에 주목하기 보다는 과정과 노력에 중점을 두고 칭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칭찬은 구체적으로! “좋아”,“잘하네” 그저 습관적으로 칭찬하고 있지는 않은가요? “준비물을 친구 에게 빌려주다니 대견하구나”처럼 아이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해서 칭찬을 받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칭찬이 좋습니다.

칭찬을 할 때는 칭찬만 하기 “방 정리 깨끗하게 잘했구나! 진작 이렇게 좀 하지 그랬어” 칭찬을 하면서 아쉬운 부분을 덧붙여 이야기하는 것은 아이 입장에서 칭찬을 받는 것인지 꾸중을 듣는 것인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비교하는 칭찬은 피하기 “형보다 그림을 잘 그리는구나”와 같이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칭찬은 다른 사람보다 내가 더 뛰어나야 된다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아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칭찬은 금물 무조건 칭찬을 남발하는 것은 칭찬의 효과를 반감시키며 진정성이 없는 칭찬은 오히려 아이의 자신감을 떨어뜨리는 역효과를 가지고 옵니다.

2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기본생활 습관

학교와 소통하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알림장과 학교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ART 2

선생님과 개별로 연락해야 할 경우, 학기 초에 안내받은 방법을 이용해 적절한 시간에 연락하도록 합니다.

알림장

문자

· ‌학교 및 학급에서의 중요 사항은 문자를 통해 안내 또는 관련 내용을 질문할 수 있습니다. · 학교 전체 행사에 대한 공지 사항이 수시로 탑재됩니다. · ‌학교홈페이지와 연계되어 알림장, 공지사항, 가정통신문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합니다. · ‌설치방법은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에서 ‘스쿨나비’검색 후 설치(무료)합니다.

PART 5

‘스쿨나비’ 스마트폰 앱

· ‌상담의 경우 직접 면담이 가장 이상적이나 면담이 어려운 경우 전화 통화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PART 4

학교홈페이지

PART 3

전화통화

· ‌글씨를 쓸 수 있는 학생이라면 알림장을 통해 연락을 주고받으면 좋습니다. · ‌글씨를 쓰기 어려운 학생이라면 출력물로 알림장을 대신 할 수 있습니다.

부록

PART 1. 기본생활 습관

25

이것이 궁금해요

학교에서 친구들이 괴롭힌다고 이야기할 때 ‌무척 속이 상하지만 같이 흥분하지 않아야 합니다. 어린 학생들은 자기 중심적 사고를 하므로 자기의 잘못은 말하지 않고 상대방만 잘못했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녀의 말을 끝까지 듣고 ‘왜 그렇게 되었을까?’ 하고 같이 이야기해 봅니다. 내 아이에게도 조금의 잘못이 있음을 이해 시킵니다. 담임선생님이 우리 애만 싫어하는 건 아닐까? • ‌ ‌보호자가 학교에 자주 찾아가지 않아서 우리 아이만 미움을 받는다는 생각은 문제를 왜곡시킵니다. 자신의 역할을 열심히 하는 학생은 항상 칭찬을 받습니다. •‌담임선생님은 학급 전체 학생들을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지도하고 있음을 신뢰하여야 합니다. ‌담임선생님께 할 이야기가 있는데…… ‌ 쪽지나 알림장을 통해서 전달하시면 됩니다. 가급적 수업시간을 피하여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만나서 상담하고 싶을 때는 사전에 미리 연락하여 시간을 정한 뒤에 하면 효율적입니다. 학부모 상담주간은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많이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가정에서는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매일매일 아이의 알림장을 확인합니다. •기본 학습 준비물은 아이가 스스로 챙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담임선생님의 학급 경영 방식에 대한 의문이나 불만이 있더라도 아이 앞에서 불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안내하는 가정통신문을 꼼꼼히 살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학교에서 개최하는 학부모 연수회나 학부모 참관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시어 함께하는 교육이 되도록 합니다.

2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1

기본생활 습관

아이의 속마음 이해하기

학교상담 활동 PART 2

학교상담은 학생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학생의 긍정적 사고 및 자존감 향상과 학교 적응력을 높여 즐거운 학교생활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려는 활동입니다. 초등학교에서 상담은 담임교사, 전문상담(교)사, 보건교사 등을 중심으로 다양 하게 이루어집니다.

PART 3

학교상담 활동의 종류 담임교사:  학생의 학업 문제, 성격, 교우 관계, 학교생활지도, 가정환경 등을 중심으로 상담 전문상담(교)사:  학교생활, 교우 관계, 학업, 진로,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상담 및 교사, 학부모 자문

PART 4

보건교사:  건강 문제, 성폭력 예방 교육 및 상담

학교상담 활동의 방법 개인  상담: 학습, 성격, 교우관계, 건강, 가정, 이성, 인터넷 중독 등에 대한 문제 예방 및 해결방안 모색 PART 5

집단  상담: 자기 이해, 자기주장, 자기개방, 자기 수용 활동 강화 진로  상담: 진로 탐색, 진로 교육 자료수집 및 활용 학습  상담: 학습과 관련된 바람직한 습관 형성 또래  상담: 또래 간 갈등관리를 위한 훈련 학부모  상담: 자녀교육에 필요한 상담 방법 등

부록

심리검사  시행: 학습능력검사, 인성검사, 진로 적성검사 등 외부상담  의뢰: 부적응 학생 Wee센터 및 관계 기관 연계 가족  상담: 가족 관계 개선 등에 필요한 상담 방법

PART 1. 기본생활 습관

27

2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학생의 성격특성과 정서행동발달의 정도를 파악하여 정서·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개입과 전문기관 연계 지원으로 건강한 학생 성장 및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검사 및 결과처리 대상: 초등학교 1·4학년, 중·고등학교 1학년 학생 방법: 온라인(NEIS) 검사 또는 서면검사 •온라인 검사: 학부모가 사이트에 접속(인증) 후 검사(다음 페이지 참고) •서면검사: 검사지를 수기 작성 후 담임교사에게 제출, 담임교사가 입력 ※ 검사 방법은 학교별로 달라질 수 있음 ※ 정확한 검사를 위해 학부모 위주의 응답을 하지 않도록 주의 검사절차 1차 검사 (학교)

학교 상(면)담

관심군 선별

2차조치 (전문기관)

온라인/ 서면검사

문제유형/ 심각성확인

우선관리/ 일반관리/ 자살생각

Wee센터/ 청소년상담센터/ 정신건강증진 센터 등

병·의원 전문치료/ 상담

학교 내 지속관리 체계 관심군(일반관리군/우선관리군) 전문기관 의뢰 및 학교 내 상담 등 지속관리

평가 영역 및 문항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성격특성을 평가하며 문항에 대한 신뢰도 확보 문항, 자살위기 학생 선별 문항 등이 포함 결과처리 •검사 도구별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관심군) 학교 내 면(상)담 후 문제 수준별 (자살징후 즉각 조치) 심층평가를 위한 전문기관 연계지원 및 학교 내 상담 등 지속 관리 실시

2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접속 방법

PART 1

기본생활 습관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학부모 온라인 검사 참여 방법

인터넷 주소창에 아래와 같이 주소를 입력하세요.

PART 2

※ 검사대상: 초등학교 1·4학년 (학부모 중 1명만 참여합니다.) ※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http://neis.go.kr)에서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➊ 자녀확인 및 발송용 주소작성

PART 3

검사 참여 진행

➋ 검사참여

PART 4

자녀정보 확인 및 자녀선택/검사결과 우편발송주소 입력 후 저장 및 검사버튼 클릭

부록

이전문항 버튼을 클릭 후 체크사항을 수정할 수 있다. 제출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검사지를 제출한다.(제출 이후에는 수정 불가)

➍ 끝내기

PART 5

➌ 검사완료 후 제출

검사지에 체크 후 다음문항 버튼을 클릭하여 계속 검사를 진행한다. (모두 응답)

안내문을 읽고 끝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검사를 종료한다.

PART 1. 기본생활 습관

29

이것이 궁금해요

점수가 높다는 것 (관심군)은 무슨 의미인가요? ‌총점 평균을 바탕으로 기준점수보다 높을 때 ‘관심군’으로 선정 되는데 그 자체가 정신과적 진단을 의미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다만, 집중력의 저하나 스트레스, 또래 관계에서의 고민,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체 증상 (두통, 복통, 입맛 저하 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가정 에서는 괜찮다고 하더라도 학교에서 어려움을 보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담당교사의 의견을 듣고 도움의 필요성과 방안에 대해 상의해야 합니다. Wee센터나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추가적인 평가를 받는다면 아이의 상태에 대해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가 생활기록부에 남지는 않나요? ‌ 검사결과는 학교생활기록부 또는 건강기록부에 기재하지 않으며, 담당 교사를 중심으로 학생 교육 활동에 관여하는 몇 분의 선생님(보건교사, 상담교사)만 공유합니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검사 도구가 정확한가요? ‌ 전문가가 개발한 검사 도구로 신뢰도·타당도가 검증된 도구입니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검사 도구는 정서·행동 경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병·의원 등 전문기관에서 사용하는 진단검사 도구와 다릅니다. 또한 전문가가 아닌 교사가 사용방법을 이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검사 도구입니다. ‌우울 경향이 높게 나온 우리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좀 더 세심한 관심과 애정을 기울여 주세요. •산책, 야외 활동, 영화 등 다른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하세요. •우울한 학생을 일부러 그런다거나 게으르다고 비난하지 마세요. •학생이 가진 장점을 칭찬하고 격려해주세요.

3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1

기본생활 습관

우리 아이 상담하기 위(Wee)프로젝트 기관 이용

PART 2

위(Wee) 프로젝트란? 위기 상황에 노출된 학생들을 비롯하여 모든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고 학생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지원)청,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다중 안전망을 구축, 운영하는 상담지원시스템입니다.

PART 3

위(Wee) = We(우리들) + education(교육) We(우리들) + emotion(감성)의 이니셜

나(I)와 너(You) 속에서 우리(We)를 발견할 수 있도록 사랑(♥)으로 지도하고, 학생에게 감성과 사랑이 녹아있는 위(Wee) 공간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찾아내자는 PART 4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위(Wee) 프로젝트 기관 주요 기능 기관

위(Wee) 센터

단위 학교

·대상: 단위학교에서 선도 및 치유가 어려워 학교에서 의뢰한 위기학생 및 상담 희망 학생 ·기능: 위  기학생에 대한 전문적인 진단·상담·치유 One-Stop 서비스 지원

시·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대상: 위기상황으로 중·장기적인 치유·교육이 필요한 학생 ·기능: 고위기 학생의 중·장기 위탁교육 실시

시·도 교육청

PART 1. 기본생활 습관

부록

위(Wee) 스쿨

·대상: 학교부적응 학생(학교폭력, 학업중단 위기, 따돌림, 대인관계, 미디어중독, 비행 등) 및 일반학생 ·기능: 잠재적 위기학생에 대한 학교생활 적응 조력

설치

PART 5

위(Wee) 클래스

주요 기능

31

2

병원Wee센터 및 병원학교 운영

병원Wee센터 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 상담 기관 및 병원 연계 대상 관심군 학생을 상담합니다. 병원 연계 위험군 학생 병원비를 지원 및 관리합니다.

병원학교 3개월 이상의 장기입원이나 통원치료로 인해 학교 교육을 받을 수 없는 건강 장애 학생들을 위해 병원 내에 설치한 특수 학급입니다. ‌경북대학교병원학교, 영남대학교병원학교, 대동병원나래교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학교에서 입원 치료 및 교육이 가능합니다.

3

32

지원청, 병원, 가정Wee센터 연락처 교육지원청 Wee센터

연락처

병원Wee센터

연락처

동부Wee센터

232-0022

경북대병원Wee센터

326-9279

제1 서부 Wee센터

233-0023

영남Wee센터

217-2323

제2 서부 Wee센터

233-0028

동산Wee센터

431-0288

제1 남부 Wee센터

234-0151

대구가톨릭Wee센터

654-1388

제2 남부 Wee센터

234-0191

대동Wee센터

746-7379

달성Wee센터

235-0060

가정형Wee센터

연락처

대구 가정형 Wee센터

474-198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대동Wee센터는 지역청 Wee센터에서 치유하기 어려운 학생 지원

고민 상담 및 지원기관 비고

학교폭력신고

117

희망의 전화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검색: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1388

휴대전화: 지역번호+1388

대구 청소년지원재단

659-6200

www.daeguyouth.net

자살예방핫라인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PART 3

전화번호

PART 2

기관명

PART 1

기본생활 습관

4

TIP PART 4

똑똑똑, 고민있나요? 우리가 ‘다들어줄개’

PART 5

•‘다들어줄개’란? -S  NS, 문자, 카카오톡, 어플을 통해 청소년들의 모든 이야기를 들어주는 비대면 전문상담시스템 •‘다들어줄개’를 이용하는 방법 - ‘다들어줄개’ 어플 다운받아 고민상담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다들어줄개’를 친구 맺기하고 고민상담 - ‘1661-5004’번호로 문자를 보내고 고민상담 - 페이스북 ‘다들어줄개’로 메시지를 보내 고민상담

부록

출처: 청소년모바일상담센터

PART 1. 기본생활 습관

33

아이들은 저마다 자기 빛깔로 빛나는 별입니다. 모든 아이들은 자신의 속도와 방법으로 배움을 즐기며 자라납니다. 제2장은 삶을 주도하며 미래를 만들어갈 인재를 기르기 위한 대구미래역량 교육의 다양한 교과 교육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입생들의 학습 준비 및 학습에 기본이 되는 기초기본학습 능력과 다양한 교과별 학습방법 등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습과 관련된 내용을 담았습니다. 우리 아이의 학습역량을 높이고 학습활동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부모님들이 따뜻한 마음으로 적극 지원해 주신다면 아이들은 한 걸음 더 크게 내딛을 수 있을 것입니다.

PART

교과학습

2

1. 신입생 입학 준비 ············································· 38 2. 기초기능 익히기 ············································ 40 3. 초등학교 교육과정··········································· 43 4. 대구미래역량교육··········································· 46 5. 1∼3학년 교과서 살펴보기································· 51 6. 자신감을 키우는 국어 공부 방법························ 54 7. 기초를 다지는 수학 공부 방법···························· 57 8. 대구 기초학력 보장 ········································· 59 9. 알기 쉬운 학생주도수업··································· 60 10. 과정 중심 평가 · ············································ 62 11. 가정과 함께하는 원격수업 · ····························· 64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의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은 수많은 시행착오와 연습을 통해서 완성됩니다. 지금 내 아이에게 무엇이 필요한지를 헤아려 발달속도에 맞춰 아이를 다독이며 믿고 기다려 주세요.

신입생 입학 준비

1

느려도 기다려주기

입학 전부터 아이가 하는 일이 서툴고 답답하게 느껴진다면……. 비록 아이가 느리고 미숙하더라도 자기 스스로 성취할 수 있도록 참고 기다려 주어야 하며, 아이가 스스로 자기 일을 해내었을 때는 칭찬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자신이 한 일에 대하여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기를 수 있습니다.

2

꾸준히 지도해야 할 일

자기 물건의 소중함 알려주기 1학년 학생은 자기 물건을 잃어버리고도 찾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와 같이 앉아 학용품에 이름표를 붙이고 자기 물건의 소중함을 깨닫도록 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림장과 가정통신문, 준비물, 과제 확인하기 아이가 학교에서 집에 돌아오면 가방에서 알림장과 가정통신문을 꺼내 부모님께 보여드리도록 교육합니다. 최근에는 종이 가정통신문이 줄고, 알림장 앱(예: 스쿨 나비 ※학교마다 다름)을 통해 가정통신문을 안내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의 안내에 따라 필요한 앱을 깔고, 앱 알림을 매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학습한 학습 결과물은 버리지 말고 모아두기 아이의 성장 과정을 살펴보고 지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 밖에 꾸준히 지도해야 할 일

38

자리에 앉아 있는 습관

정리정돈 습관화 하기

초등학교는 한 과목당 수업 시간이 40분입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일과 중 하나가

하지만 아이들의 집중력은 20분밖에 안 되는데요.

‘정리정돈’ 입니다. 아직 서툴더라도 화내지 말고,

오래 앉아 있는 게 익숙해지도록 하루에

방법을 차근차근 반복해서

5분씩이라도 시간을 늘리는 연습을 해야 해요.

우리 아이들에게 알려주시기 바라요.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신입생 기본 학습 용구(예시)

PART 1

3

기본 학습 용구 규격 학용품명

규격

수량

선택방법 * 약간 진하고 무른 것 * 샤프펜슬은 사용하지 않기

3-4자루

공책

18절 또는 16절

2-4권

* 1학년은 점선이 있는 8칸으로 된 것을 선택

종합장

16절

1-3권

* 줄없는 크로키장

지우개

고무제품

1개

색연필

12색

1통 (세트)

* 깎아쓰는 색연필이 아닌 풀어쓰거나 돌려서 쓰는 것

사인펜

12색

1통 (세트)

* 12색 이하

가위

공작용

1개

* 안전하고 성능이 좋은 것



15cm

1개

* 15~20cm 정도 필통에 들어가는 것

필통

천 재질

1개

* ‌떨어져도 소리가 나거나 부서지지 않는 지퍼 달린 헝겊 필통이 무난함

크레파스

24색

1통 (세트)



문구용

1개

리듬악기



1세트

그림물감



1통

* 24색 이하로 준비

팔레트

플라스틱, 금속제

1개

* 혼색이 쉽도록 크고 가벼운 것



대, 중, 소

각 1개

* 붓털이 빠지지 않는 둥근 붓

실내화

운동화형

1켤레

* 바닥이 고무이면서 자주 빨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있는 것 ※신주머니는 학교 사정에 따라 준비하지 않을 수도 있음

PART 2

B, 2B

교과학습

연필

* 잘 지워지고 색과 모양이 단순한 것으로 무른 고무로 된 것

PART 3

* 24색 이하 * 접착력이 강한 것(딱풀)

PART 4

탬버린, 트라이앵글, 캐스터네츠 1세트, 소고 ※학교 사정에 따라 준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개학 후 학교의 안내에 따라 준비

PART 5

TIP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 준비물(예시) 부록

•도화지, 색도화지, 마분지, 골판지, 화선지, 색종이 등 종이류 •수학, 과학, 미술, 통합교과 수업에 필요한 각종 재료 및 준비물 •클립, 주사위, 수수깡, 실 핀, 사포, 철사, 양초, 고무줄, 팽이, 찰흙 등

PART 2. 교과학습

39

기초 기능 익히기

1학년 학생들은 입학 후 3월 한 달 동안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적응기 교육을 받고, 본격적으로 교과수업을 시작합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데 있어서 습관이 되어 자연스럽게 행동 양식으로 정착되어야 하는 것을 기초 기능이라고 합니다.

입문기 기초 기능이 왜 중요한가? 학습 초기에 경험을 통해 성취되어야 할 기능입니다. 한 번 습관을 들이면 쉽게 정착됩니다. 특정한 교과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교과에 전이도가 높습니다. 학습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영향력이 있습니다.

1

듣기, 말하기의 바른 자세

바른 자세로 듣기 말하는 사람을 바라보며 듣는다. 고개를 끄덕이는 등 적당한 반응을 보이며 듣는다. 말하는 사람의 입장이나 상황을 생각하며 듣는다.

바른 자세로 말하기 듣는 사람을 바라보며 말한다. 말할 내용을 간추려서 알아듣기 쉽게 말한다. 적당한 크기의 목소리로 말한다.

4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읽기, 쓰기의 바른 자세

PART 1

2

바른 자세로 읽기 허리를  곧게 펴고 의자 등받이에 닿게 앉는다. 책은  밑 부분에서 1/3 정도 되는 곳을 60° 정도 기울여 잡는다. 책장은  소리 나지 않게 넘긴다.

바른 자세로 쓰기

PART 2

교과학습

책과  눈과의 거리는 30cm 정도 유지하며 읽는다.

허리를  곧게 펴고 엉덩이가 의자 맨 뒤까지 닿도록 앉는다. 배와  책상 사이, 등과 의자 등받이 사이에 주먹 하나가 PART 3

들어갈 정도로 의자를 당겨 앉는다. 공책은  15° 정도 돌려놓고, 왼손은 공책 위에 바르게 놓는다. 공책과  눈의 거리는 30cm 정도로 한다.

3

필기도구 바르게 잡는 방법 PART 4

연필 바르게 잡는 방법 연필  끝부분에서 2∼3cm 정도 윗부분을 잡는다.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모아 잡고, 가운뎃손가락으로 받친다. 연필과  지면의 각도는 60° 정도 되게 한다.

PART 5

크레파스 바르게 잡는 방법 선을  그을 때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크레파스 밑에서 약 1cm 올라간 부분을 잡고 가운뎃손가락으로 받친다. •크레파스와 지면은 약 60∼70° 각도를 이룬다.

부록

면을  칠할 때 •손바닥으로 감싸듯이 잡고 집게손가락으로 누르면서 팔을 움직이며 칠한다.

PART 2. 교과학습

41

4

스스로 책가방 챙기기, 인사하는 방법

스스로 책가방 챙기기의 방법 알림장을 보고 스스로 숙제나 준비물을 미리 챙겨둔다. 시간표를 확인하고 교과서와 공책을 가방에 넣는다. 수업에 필요한 것만 챙기고 불필요한 것은 없는지 확인한다. 필통 속에 연필이 깎여 있는지 확인한 후 빈 곳에 넣는다. 휴지나 기타 필요한 물건은 가방의 앞쪽 작은 주머니에 넣는다.

인사하는 방법 길에서 어른을 만났을 때는 걸음을 멈추고 바르게 선 다음 어른을 바라보고 허리를 굽혀 인사한다. 길에서 친구를 만났을 때는 손을 들어 반갑게 인사를 한다. 그밖에 두 손을 모아 잡고 배꼽 부분에 두 손을 얹어 놓으며 정중히 인사를 하는 공수 인사법이 있다.

5

학교급식 시간 수저 사용 방법

숟가락 사용하기 밥이나 국을 먹을 때 사용한다.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숟가락의 윗부분을 잡고 가운뎃손가락에 살짝 올려놓는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잡지 않는다. 알맞은 양을 떠서 먹는다. 숟가락과 음식 그릇을 부딪쳐 소리를 내지 않는다. 식사 후에는 처음의 위치에 가지런히 놓는다.

젓가락 사용하기 반찬을 집을 때 사용한다. 두 짝의 끝을 맞추어 사용하고, 두 짝을 모두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젓가락 두 짝의 윗부분 사이가 벌어져 있어야 한다. 흘릴 수 있는 음식을 집을 때는 손으로 받쳐서 잡는다. 4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2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을 키워주는 교육과정

교과학습

1

PART 1

초등학교 교육과정

미래  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 AI 인공지능 시대, 저출산·고령화 사회 등으로 일컬어지며 점점 복잡·다변화되어 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래 사회를 살아가 기 위해서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함양하여야 합니다. PART 3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창의적 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PART 4

자기관리 역량

지식 정보처리 역량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PART 5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학습을 강조합니다.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여 학습량을 줄이고 학습의 질을 개선합니다. 프로젝트학습,  토의·토론학습, 탐구학습 등 교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고 학습의 즐거움을

부록

경험하도록 합니다.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강화하여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도록 합니다. 교과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을 강화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43

2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연계

초등학교 1∼2학년에 한글교육을 강조하는 등 유치원 교육과정(누리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하였습니다. 1학년 입학 초기에 한글을 집중적으로 학습함으로써 『국어』, 『수학』, 『통합(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교과를 원활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3

초등학교에서는 무엇을 배우나요?

초등학교에서는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핵심 역량과 학생들의 기본 생활 습관, 기초 학습 능력, 바른 인성을 함양합니다.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이란? 교과(군)는 국어, 사회/도덕, 수학, 과학/실과, 체육, 예술(음악, 미술), 영어로 구성됩니다. 다만, 1, 2학년의 교과는 국어, 수학,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구성됩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영역으로 구성 되어 있고, 1, 2학년은 안전한 생활을 통해 실생활 속에서 위기 대응역량을 체득 하도록 체험중심으로 교육합니다.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은 어떻게 운영되나요? 수업을 통해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합니다. 주간, 일일 시간의 배정은 요일 및 교과 간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교과의 특성 혹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용에 따라 통합되거나 연속 운영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업 일수는 연간 190일 이상 운영을 하며, 단위 시간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계절, 학교실정, 교과의 성격, 지도내용에 따라 80분 블록 단위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4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년군

1~2학년 군

3~4학년 군

5~6학년 군

학년 군별 총수업시수

1,744시간

1,972시간

2,176시간

주당 평균 수업시수

23시간

26시간

29시간

시수

PART 1

초등학교 교육과정 학년군별 수업 시수

1~2학년 국어

408

408

사회/도덕

272

272

272

272

204

340

204

204

272

272

136

204

1,768

1,972

수학

교과 (군)

과학/실과

국어 448 수학 256

PART 4

5~6학년

PART 3

3~4학년

바른 생활 128 체육 예술(음악/미술)

슬기로운 생활 192 즐거운 생활 384

영어 1,408

PART 5

소계

PART 2

교과학습

구분

336 창의적 체험활동

안전한 생활 (64)

204

204

학년 군별 총 수업 시간 수

1,744

1,972

2,176

부록

PART 2. 교과학습

45

대구미래역량교육

1

대구미래역량교육이란

『대구미래역량교육』이란 미래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을 길러 주는 교육입니다.

4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2

대구미래역량

2015 개정교육과정의 6대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재구성하여 대구미래역량을 설정하였습니다. 대구미래역량교육

PART 2

교과학습

2015 개정교육과정 심미적 감성 역량

공감 소통 역량 의사소통 역량

PART 3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융합적 사고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관리 역량

공동체 역량

공동체 역량

PART 4

자기관리 역량

PART 5

•(공감 소통 역량)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를 바탕으로 삶의 의미를 발견 하고 초연결 미래사회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존중할 수 있는 역량 •(창의융합적 사고 역량) 다양한 분야의 지식, 정보,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고 통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자기관리 역량)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새로운 환경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며, 삶과 진로에 필요한 신체적·정신적 강인함과 회복탄력성을 갖추어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

PART 2. 교과학습

부록

•(공동체 역량) 지역, 국가, 세계 공동체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지니고 남을 배려하고 함께 행복한 삶을 실천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역량

47

3

역량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프로그램 스위스에 본부를 둔 비영리교육재단인 IB본부(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에서 개발·운영하는 국제인증 학교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념이해 및 탐구학습 활동을 통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성장을 추구하는 학교 교육 체제이며, 현재 세계 159개국 5,496 개교(2022. 1월 기준)에서 운영 중입니다.

구분

초(PYP)

중(MYP)

고(DP)

월드스쿨 (14교)

경북대사대부초, 남동초, 동덕초, 덕인초, 삼영초, 영선초, 현풍초

경북대사대부중, 서동중, 대구중앙중, 포산중

경북대사대부고, 대구외고, 포산고

후보학교 (13교)

월배초, 중리초, 대구초

대구중 , 대명중, 복현중,논공중, 대건중, 사수중,청구중

대구국제고, 대구서부고, 대구중앙고

관심학교 (5교)

남덕초, 팔공초

대구팔공중, 상서중, 서대구중

기초학교 (60교)

경운초 외 25개교

고산중 외 23개교

경북여고 외 9개교

출처: 대구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4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놀이 교육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놀면서 하나의 문화가 되는 것이 놀이인데 놀이교육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자연스럽게 기릅니다.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놀이 시간 확보, 하고, 공부하면서 놀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놀이 연계 프로젝트 학습을 운영하여 놀면서 공부

안전 교육 모든  학생이 안전 의식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PART 3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합니다. 초등  1~2학년은 64시간(주당 1시간)을 체험 중심의 「안전한 생활」을 운영합니다. 3~4학년은  관련 교과에 ‘안전 단원’이 있어 이론과 실천·체험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안전을 생활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합니다.

구분

생활안전 교육

교통안전 교육

교육 시간

12

11

폭력예방 및 약물 및 사이버 신변보호 교육 중독 예방 교육 8

10

재난안전 교육

직업 안전 교육

응급처치 교육

6

2

2

활동

· ‌가족폭력의 개념과 대처 방안 알기

요령 알기

· ‌심페소생술 및 자동심장 충격기의 사용법 알기 · ‌상처의 종류와 응급처치 하기 · ‌일상생활 속 응급처치 알기

부록

· 유괴 예방, 실종 사고 예방과 대처

· ‌아동학대의 유형 및 대처 방안 알기

· ‌응급 처치의 상황, 의미, 중요성, 신고·조치법 알기

PART 5

· ‌안전하게 교실, · ‌안전한 · ‌학교폭력의 · ‌약물 오남용의 · ‌화재의 원인 및 · ‌직업안전의 가정, 공공시설 통학로 알기 예방 및 위험성 및 대피요령, 신고, 의미, 중요성 이용하기 대처법 알기 올바른 약물 전파 요령 알기 알기 · 교통 수단의 복용법 알기 · 학용품·놀이 안전한 · ‌학교폭력의 · ‌화재 대처 요령 용품의 안전한 이용법 알기 종류를 알고, · ‌중독성 물질 알기 사용 및 식품 종류별 예방 및 안전한 · 교통 표지판 · ‌각종 안전알기 활용 방법 등 도로 교통 방법 알기 자연재난과 알기 · 실험실습시 법규 알기 · ‌성폭력 예방 안전한 행동 교육 안전에 유의 및 대처방안 · ‌건전한 사이버 알기 내용 하기 알기 통제 능력 · ‌폭발 및 붕괴, 배양 및 사용 · 안전한 놀이 · ‌내 몸의 테러 위협 습관 형성 활동 및 야외 소중함 알기 유형별 대처

PART 4

· ‌황사와 미세 먼지에 대한 대처요령 알기

PART 2. 교과학습

49

소프트웨어(SW) 교육 소프트웨어(SW) 교육은 컴퓨터를 기반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효율적인 해결 과정을 창조하는 일련의 컴퓨팅 사고력 교육입니다. 초등학교에서는 소프트웨어(SW)의 제작 원리를 이해하고 놀이중심의 알고리즘 체험과 교육용 도구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체험 등을 통해 쉽고 재미 있게 소프트 웨어(SW) 교육을 합니다. 학년 군 구분 교육시간 교육내용

1~2학년 군

3~4학년 군

5~6학년 군

15회 이상

34회 이상

34차시 이상

놀이, 언플러그드

컴퓨터 활용 리터러시 프로그래밍 언어 체험활동

실생활문제 해결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및 메이킹 활동

TIP •컴퓨팅 사고력: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능력 •알고리즘: 문제해결을 위한 일련의 절차와 과정을 의미하며 프로그래밍의 기초 단계임 •언플러그드: 컴퓨터 없이 놀이로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

메이커 교육 학습자가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활용하여 결과물을 설계 및 제작하는 교육 입니다.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주로 해결하고 학생이 능동적·자기 주도적으로 활동하며 결과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실패를 극복해 문제해결력을 기릅니다. 상상제작소(메이커 스페이스) 작업 공간에서 학생의 창의성, 상상력,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실험·제작을 하거나 UCC 제작·스토리 창작 등을 교과 구분 없이 수행하게 됩니다.

5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1~3학년 교과서 살펴보기 1학년 3월 적응기 교육

입학  초기 적응활동을 통해 인사하기, 생활습관, 정리정돈, 학교시설물 알기 등

PART 2

교과학습

1학년 학생들은 3월에 어떤 공부를 할까요? 기본적인 학교생활을 익히며 선생님, 친구들과 함께 생활하는 것을 배우게 됩니다.

PART 3

『1학년이 되었어요』를 활용합니다 『1학년이  되었어요』는 3월 2~4주 동안, 1학년 학생들 이 사용하게 될 교재입니다. 새로운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초적인 학습 내용을 취학 전의 생 활 경험과 관련지어 활동 제재별로 구성하였습니다.

PART 4

1학년이 되었어요 학교에 왔어요

함께해요

스스로 해요

나를 소개해요

안전하게 건너요

궁금해요

바르게 인사해요

따라 그려요

반가워요

약속해요

오려 붙여요

맛있게 먹어요

사이좋게 지내요

따로 모아요

달라졌어요

교실에서 놀아요

친구와 놀아요

정리를 잘해요

스스로 준비해요

깨끗하게 사용해요

혼자서도 잘해요

PART 5

환영해요

깨끗하게 씻어요 차례를 지켜요

부록

둘러봐요 도서관에 가요 우리 학교를 알아봐요

PART 2. 교과학습

51

2

1~2학년 교과서

교과서 구성은? 초등학교 1~2학년은 같은 학년군으로서 국어, 수학, 통합교과(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로 읽기, 셈하기 등 기초, 기본적 요소를 학습합니다.

교과서 종류(1학년 기준) 교과

교과서 종류

비고

국어

· 1학기: 국  어1-1-가,나 국어활동 ·2학기: 국어1-2-가,나 국어활동

수학

·1학기: 수  학1-1, 수학익힘 ·2학기: 수학1-2 수학익힘

통합

·1학기: 봄, 여름 ·2학기: 가을, 겨울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3

정보생활

-

-

·안전한 생활은 1년간 사용하며 학교마다 동일함

3~4학년 교과서

교과서 구성은? 3학년은 4학년과 하나의 학년군을 이루며 국어, 수학, 사회/도덕,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의 7개 교과(군)을 공부합니다.

교과서 종류 교과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영어

5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주교과서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영어

보조교과서 국어활동 사회과부도 수학 익힘책 실험관찰 -

비고 국정교과서 국정교과서 검인정교과서 검인정교과서 검인정교과서 검인정교과서 검인정교과서 검인정교과서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 등학교 교과서는 국정과 검인정 교과서로 나누어지는데 국정 교과서는 초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검인정 교과서는 학교별로 교과서 선정 위원회의 협의를 거쳐 선정한 교과서를 사용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학교마다 같은 교과서를 사용하나요?

국정이나 검인정 교과서란 어떤 것을 말하나요? PART 3

‌‌•‌국정: 교육부에서 발행하는 교과서를 말하는 것으로 과목별로 한 종 류의 교과서가 있습니다. •‌검인정: 집필은 누구나 할 수 있으나 교육부 장관의 검정 또는 인정을 받아 발행 허가를 받은 교과서로 한 과목 당 여러 개의 교과서가 있 습니다.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PART 4

‌ •국어, 국어활동, 도덕 •‌1, 2학년 주제중심 통합 교과(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초등학교 검인정 교과서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3~6학년 수학, 수학 익힘책, 사회, 사회과부도, 과학, 실험관찰, 영어, 음악, 미술, 체육 및 실과(5, 6학년)

PART 5

‌교과서를 분실했을 경우 구입 방법은 어떠하나요? ‌ 국정 교과서의 경우 교과서가 같으므로 그냥 구입하면 되지만 검인정 교과서의 경우 꼭 학교에 문의해서 출판사명과 저자명을 확인 한 후에 서점이나 인터넷으로 구입하면 됩니다.

부록

TIP TIOS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교과서정보서비스:www.textbook114.com

PART 2. 교과학습

53

자신감을 키우는 국어 공부 방법 1

한글문해교육의 중요성

한글문해력은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는 학습요인으로, 한글문해교육이 적기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초학력 부진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과정을 마칠 때까지 모든 학생들을 한글해득수준으로 이끌기 위해 한글책임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한글책임교육

54

출처: 교육부, 한글책임교육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우리 아이 발표력을 키우는 방법

PART 1

2

가족들과 대화의 기회를 많이 갖기 가정에서  편안한 마음을 갖고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가정에서  자녀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함께 토론하고 자기주장을 가정의  일을 결정할 때 자녀의 의견을 충분히 묻고 가족의 일원으로 의견을 존중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할 기회를 많이 줍니다.

발표력을 키워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 PART 3

아이마다 말하기의 어려움을 느끼는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소통의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말주변이  없는 아이 •소리 내어 책을 읽어보고 자연스럽게 발음과 억양을 배울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책을 읽는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해 보도록 하고,

PART 4

동영상을 다시 보면서 실수한 부분, 발음이 불명확한 부분 등을 자연스럽게 깨달을 수 있습니다. 평소  말할 때 창피를 많이 당한 아이 •다른 사람의 말에 기분 좋은 대답을 해야 한다는 압박감으로 인해 점점 말하기를 꺼립니다. 이러한 아이에게는 마음 속 응어리를 풀어주고 부모와의 관계 회복이 우선 되어야 합니다.

PART 5

학교에서  살펴보면 소극적이고 말수가 적은 아이 •평소에아파트엘리베이터나길거리등에서 어른들을 마주칠 때마다 큰소리로 “안녕 하세요?”라고 인사를 하게 해보세요. 별것 아닌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 소극적인

부록

아이에게는 이렇게 큰 소리를 내는 것 조차도 힘겨운 일로 다가옵니다.

PART 2. 교과학습

55

3

우리 아이 일기 쓰기 지도 방법

그날 있었던 중심 사건을 정합니다. 사건에 대해서, 눈으로 본 것, 귀로 들은 것을 자세히 씁니다. 사실 뿐 아니라 본인이 생각하거나 느낀 점,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써 봅니다. 실제로 주고 받은 말들은 “ ”(큰따옴표), 마음 속으로 생각한 것은 ‘ ’(작은따옴표)를 이용하여 써 봅니다. 꾸미는 말을 적절히 넣어 써 봅니다. 사건에 대해서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무엇을, 왜 했는지 씁니다. 사건이 발생한 이유, 내가 그렇게 생각한 이유 등 이유를 적어 봅니다. 일기는 자기 직전에만 쓸 필요는 없습니다. 일기 쓸 거리가 기억났을 때 바로 쓰면 좀 더 일기 쓰기가 쉬워집니다. 학교에서 돌아온 직후, 학원에서 돌아온 직후, 저녁 식사 직후 등 아이들이 일기 쓰기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적당한 시간을 활용합니다. 다른 ‌ 사람의 일기 글을 자주 읽을 기회를 가지면, 글 읽는 즐거움과 함께 일기 쓰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 니다.

TIP 재미있는 일기 쓰기 방법 •재미있는 만화일기 쓰기 (4컷, 8컷, 16컷) •영화관, 박물관, 전시회, 공연 등을 가 보았으면 입장권이나 관람권 등을 일기 장에 붙이기 •쓸 내용이 없을 때에는 주제를 정해서 쓰기

5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기초를 다지는 수학 공부 방법

스토리텔링으로 하는 수학 공부 PART 2

교과학습

스토리텔링이란?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직역하면 스토리(story)를 이야기(tell)하는(-ing)의 합성어로 추상적인 수학 개념을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보다 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PART 3

실생활  스토리를 기반으로 수학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부모, 형제 간, 학생 스스로가 스토리텔러가 되어 스토리텔링을 하면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깨우칠 수 있습니다.

수학 공부 잘하는 방법

PART 4

2

1~2학년, 이렇게 공부하자 덧셈,  뺄셈 등 단순한 연산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보드게임, 퍼즐 등 놀이나 게임을 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갖도록 PART 5

합니다.

3학년, 이렇게 공부하자 연산  연습을 충분히 합니다. 연산 능력이 부족하면 고학년에 올라가서 응용 문제, 문장제, 심화 문제의 이해가 어려워 문제해결이 힘들어집니다. 학습  수준이 갑자기 어려워지므로 흥미를 잃지 않도록 노력합니다.

부록

덧셈,  뺄셈을 정확히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연습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57

암기 위주에서 사고력 위주로 공부하자 암기 위주의 공부는 수학을 싫어하게 만드는 요인 중의 하나입니다. 중요한 공식만 암기하고 수학적 원리나 법칙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도록 합니다. “예, 아니요”로 답하는 질문보다는 “왜? 어떻게?”라고 질문하여 사고력을 유발 시킵니다. 문제 풀이 방법을 암기하여 문제를 푸는 공부 방식은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가 좁아집니다. 종합적인 사고력을 기르려면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스스로 해결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예습과 복습하는 습관을 기르자 수학 교과는 예습이 중요합니다. 수학은 계통성이 있어서 연관이 있는 내용이 많습니다. 다음 날 배울 내용을 살펴보면서 잘 모르는 부분을 파악하여 사고 할 수 있는 시간을 갖고, 그 날 배운 내용은 수학 익힘책과 문제지를 통해 복습하는 습관을 길러 줍니다.

3

수학은 기초가 튼튼해야!

수학은 무조건 문제를 많이 푸는 것보다 개념을 바로 잡고 원리를 확실히 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틀린 문제를 꼭 다시 풀어 봅니다. 실수가 거듭되면 처음으로 돌아가서 개념과 원리를 다시 익힙니다. 한두 문제라도 매일매일 습관이 되도록 풀어 봅니다.

4

이런 습관은 바꾸어보자!

숫자를 잘 알아보지 못하게 흘려 쓰는 습관 공책에 문제를 풀지 않고 여기저기 푸는 습관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빨리 풀려고 하는 습관

5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대구 기초학력 보장 맞춤형 진단 지도 시스템

1

학습부진학생 예방을 위해 대구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습부진

PART 2

교과학습

대구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 원인 진단부터 보정·지속적 관리까지 통합(One-Stop)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주소: http://shine.edunavi.kr

PART 3

· 대상: 초3학년~고1학년 · 내용 - 교과(국어, 사회/역사, 수학, 과학, 영어) 학습 수준 및 부진 원인 진단 - 지도자료 지원에 의한 진단 보정 지원 - 향상도 검사 실시

PART 4

PART 5

기초학력 진단 보정 시스템 개방형 컨텐츠 자율진단 배·이·스·캠프(www.plasedu.org) · 배· 이  ·스  ·캠  프란? : 배우고 이루는 스스로 캠프로서, 학생 스스로 기초학력 도달 여부를 진단하고 보정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공간임

부록

· 기출문항, 실력다지기 문항 등 다양한 자료가 있음

PART 2. 교과학습

59

알기 쉬운 학생주도수업

1

학생주도수업 이해하기

학생주도수업은 OECD 2030 학습나침반에서 제시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기초한 개념으로 학생이 배움의 주체자로서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성찰하며 상호 협 력을 통해 함께 성장해 나가는 수업입니다. 학생주도수업을 통해 학생 주도성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탐구하고, 상호간 협력학습을 실천합니다.

2

학생주도수업 방법 알아보기(예)

D-블렌디드 러닝 온오프라인의 혼합을 통해 개별화를 보장하고 협력학습으로 함께 성장하는 대 구형 학생 맞춤 수업입니다.

6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업 PART 1

하브루타는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것을 말합니다. 학생들은 질문과 대답을 하며 이야기를 나누고, 이야기가 토론이 되고, 좀 더 고차원적인 논쟁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하게 됩니다. 질문  중심 하브루타 수업 과정(예시) 모둠토론

발표

쉬우르 (전체토론)

PART 2

짝토론

교과학습

질문 만들기

토의·토론을 활용한 수업 PART 3

다른  사람의 견해를 듣는 활동(성향과 관심도가 전혀 다른 학생의 의견 듣기)과 상대방 의견에 하나씩 자기 생각을 추가하며 토의합니다. 자기의 생각을 표현 하고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거꾸로 학습을 활용한 수업 교실  수업에 앞서 학생들은 교사가 제공하는 온라인 동영상을 통해 기본적이고, PART 4

핵심적인 교과지식과 내용을 스스로 학습을 한 뒤 교실에서는 토론, 팀별 활동을 하는 학생 중심 수업입니다.

연극·드라마를 활용한 수업 연극(뮤지컬)·드라마  수업을 하면서 친구들과 배려와 협력을 배우고 문학적 PART 5

감수성, 상상력을 기르며 실천 중심의 인성을 기릅니다.

놀이 기반 협력학습 놀이  활동과 교과 수업을 함께하며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의 사이좋은 관계를 만들어가며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합니다.

부록

적절한  휴식과 놀이, 사회적 관계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의 인지·정서 발달, 창의성·사회성 발달 지원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61

과정 중심 평가

1

과정 중심 평가란?

학습목표의 성취를 학습 결과 중심으로 일회성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과정 중에 학생 간의 상호작용, 사고 및 행동의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평가 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지향적 평가를 의미합니다.

2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수업과 평가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력, 서로 다른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중시하는 시대에 필요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 수업과 평가가 변하고 있습니다.

· 교사 주도 수업 · 수업 후 평가 · 학습의 결과 중시 · 인지적 영영 중심, 암기중심

6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학생 주도 수업 · 학습 활동 모든 과정 평가 · 학습의 결과 및 과정 중시 · 인지적, 정의적 영역 모두 강조, 탐구 중심

평가 방법은 어떻게 달라지나요?

PART 1

3

수업 중에,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합니다 프로젝트,  토의토론, 협력학습 등 다양한 방식의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행 평가를 통해 학습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 태도 협력정도, 성장 등을 평가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 수행평가 학생의 지식 및 기능에 대한 습득 여부를 알기 위해 교사가 제시한 평가 문항을 학생이 직접 수행하는 과정 또는 경과를 보는 평가 - 수시평가 평가의 시기와 횟수를 다양하게 실시하는 평가 - 교과학습 발달상황 미도달일 경우 보충 후 재평가 - 창의적 체험활동 지속적인 수행평가 실시

PART 3

수행평가는  과제형 평가를 지양하고 교과 수업 시간 중에 실시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며, 포트폴리오, 자기평가, 동료평가, 역할극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합니다.

결과 알림 PART 4

교과별로  수행 평가 계획을 학기 초에 수립합니다. 평가 영역, 평가 문항, 평가 관점, 평가 방법, 정답 및 채점 기준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사전 예고하고 그 결과도 공개합니다. 학부모는 학교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정 중심 평가 이렇게 준비하세요 특정 주제를 정해 발표 준비를 하고 자신의

한 편의 완성된 글로 표현해요.

변화와 발전 과정을 보여주어요.

생각을 조리 있게 발표하는 습관을 길러요

자료를 준비해 계획서 작성 단계부터 결과물 완성 단계까지 꾸준히 과제를 해결해요.

실험·실습을 위한 기자재 조작 능력을 익히고 결과 보고서를 쓰며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 하려는 태도를 길러요.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며 논리적으로 말하는 연습을 해요.

PART 2. 교과학습

부록

자신이 만든 작품을 꾸준히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PART 5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논리적으로 조직하여

63

가정과 함께 하는 원격수업 1

우리 아이의 원격수업 준비하기

원격수업이란? 교수 학습활동이 실시간 화상교육 등 서로 다른 시간 또는 공간에서 이루어 지는 수업 형태입니다. 원격수업의 유형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 과제수행 중심 수업으로 운영됩니다. 쌍방향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등 모든 시간이 수업 시간이 됩니다.

원격수업, 이렇게 준비해 보세요. 원격수업을 위해 카메라가 설치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필요합니다. 가정의 인터넷 망 상태가 원활한지 미리 확인합니다. 컴퓨터가 있는 방은 화면 상에서 보일 수 있으므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단정한 모습으로 수업을 준비합니다. 기본적인 학습 준비물은 학교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타 과제 수행을 위한 준비물이 필요할 수 있으니, 과목별 수업 준비물을 확인합니다.

초등 1, 2학년 원격수업에 스마트기기가 필요한가요?

출처: 대구학부모교육 유튜브 채널

6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우리 아이 원격수업 이렇게 이루어집니다.

PART 1

2

원격수업 플랫폼과 출결 확인 자녀가  등교하는 학교 및 학급의 주요 학습 플랫폼을 확인해주세요. 선생님들은 다양한 학습 플랫폼 가운데 각 학교와 학급 교과 상황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대표적인 원격수업 플랫폼(예시)

PART 2

교과학습

운영하고 있습니다.

PART 3 PART 4

원격수업  플랫폼에 따라 출결확인 방법이 다를 수 있으며 출결은 원칙적으로 교과별 차시 단위로 당일에 확인하며 수업 유형에 따라 3일 내 최종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격 수업 참여 방법- 이학습터 활용 예시 PART 5 부록

출처: 대구미래교육연구원 유튜브 채널

PART 2. 교과학습

65

3

우리 아이 원격수업을 위한 단계별 꿀팁

원격 수업 전

오늘의 수업 일정 및 과제 확인하기 - 주간학습 계획이나 학습 시간표를 책상 앞에 붙여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해 주세요

학습을 위한 공간 마련하기 - 자신만의 공간에서 일정한 시간에 같은 자리에 앉도록 합시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처음에 부모님이 옆에서 도와주고 점차 혼자서도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원격 수업 중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기 -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의 경우, 선생님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수업에 대한 사전 준비와 적극적 참여 태도가 필요합니다. ※ 원격수업 상황에서도 학교 시간표와 비슷하게 학습하면 학습 리듬이 유지되어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배운 내용을 함께 이야기해보기 - 원격수업 후 과제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활동지 정리나 과제를

원격 수업 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이해가 부족한 부분이나 건강상태, 심리상태 등에 대해 선생님 과 상담을 하거나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 수업 내용과 관련지어 교과별 학습 독서하기

6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 격수업은 등교수업과 동일한 정규수업입니다. 따라서 출결 등은 학교별 원 원격수업 운영 기준 및 가이드라인에 따라 처리합니다.

PART 2

교과학습

원격수업은 정규수업인가요?

원격수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PART 3

‌ 원격수업은 대부분의 경우 실시간쌍방향으로 진행됩니다. 학습공간만 교실에서 가정으로 이동되었으므로 우리 아이가 수업시간에 맞추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모님께서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PART 4 PART 5 부록

PART 2. 교과학습

67

훌륭한 부모가 되고 싶다면 아이들에게 어떤 상황에서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믿음과 용기를 심어 주십시오.

제3장은 따뜻한 마음을 키워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을 기르기 위한 대구미래역량교육의 다양한 교과 외 교육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체험활동, 진로, 방과후학교, 돌봄교실 등에 대해 학부모님들의 이해를 돕고 학생들이 저마다의 잠재력을 꽃피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PART

교과 외 교육

3

1. 인성교육··························································72 2. 독서교육························································· 75 3. 진로교육·························································79 4. 창의적체험활동················································ 81 5. 현장체험학습···················································83 6. 특수교육 지원··················································86 7. 함께하는 다문화교육········································ 88 8. 방과후학교······················································92 9. 돌봄교실························································ 96

우리 아이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우리가 가진 귀중한 것을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들이 얼마나 값진 것을 가지고 있는지 스스로 알게 해주는 것이다. (아프리카 격언)

인성교육

1

72

대구인성교육의 추진체계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대구인성교육의 방향

PART 1

2

내면의 힘을 가꾸는 인성교육 강화 마음을  이해·표현·조절할 수 있는 마음교육 운영 내면을  가꾸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관계 중심 인성교육 강화

PART 2

학교 맞춤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의 다양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온오프라인 인성교육 플랫폼 조성 학교급별  인성교육 프로그램 지원으로 인성교육 효율성 강화

학교 특성을 반영한 1교 1브랜드 학교인성교육 운영 학교 인성교육의 자율성 강화 및 협력적 문화 조성

PART 3

교과 외 교육

자율과 협력 중심의 인성 친화적 학교문화 조성

가정·지역사회의 인성교육 동행 문화 조성 PART 4

가정의  인성교육 지원으로 바른 인성 내면화 강화 다:행복한  삶을 함께 하는 범시민적 인성교육 운영 범시민  인성교육 홍보를 통한 행복 문화 조성

3

대구인성교육 주요 추진 내용 PART 5

마음교육 마음챙김  명상 운영, 감정조절 프로그램 운영, 감사하기 실천 기본생활습관  형성 지원 앱 「뽀미 ForMe」 개발·활용(초 1, 2)

부록

독서인문교육 교과 수업 연계 책읽기-토론-글쓰기 지원, 감성을 키우는 그림책 활용 교육

PART 3. 교과 외 교육

73

감성키움 예술교육 1교 1개 예술동아리 운영, 꿈과 끼를 살리는 학예행사 운영

기본생활 인성교육 언어습관 교육, 바른 언어 사용 습관 문화 조성, 사이버 언어폭력 예방활동 활성화 사이좋은 배려 생활 자료집 활용

따뜻한 관계존중 교육 다:행복한 또래활동 활성화, 교우관계 존중교육, 사제관계 존중교육 배려와 존중의 장애이해 교육, 다양성이 공존하는 다문화 교육

공동체 의식 실천 교육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배우는 환경교육 학교스포츠 클럽, 신체활동 7560+, 가족공감 1160 실천 학생 수련 활동 운영: 팔공수련과정(초6), 리더십캠프(초4)

특색 있는 인성교육 1교 1브랜드 인성교육 실천, 특색 있는 학교 인성교육 활성화

가족 공감 인성 교육 가정과 연계한 효행교육: 효의 날·효의 달 운영, 조부모 학교 방문의 날 운영 다:행복한 가족 체험 프로그램(가족 텃밭 가꾸기 등) 운영

지역 연계 인성 체험 인성교육 체험 학습(초4): 지역의 전통문화·선비문화 체험, 예절교육 나라 상징물 바로 알기 프로그램 운영

지역 동행 인성 나눔 대구교육, 다:행복한 나눔 캠페인 나눔과 배려 중심의 봉사활동, 사랑 나눔 교육기부

7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독서교육 학교 도서관 이용

PART 2

이용 시간 토요일(학교에  따라 오전 이용 가능), 일요일, 공휴일, 학교 재량휴업일에는 휴관합니다. 학교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운영될 수도 있습니다. 학기 중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http://reading.edunavi.kr)

PART 3

월-금 08:30 - 16:30 월-금 09:00 - 12:00

교과 외 교육

방학 중

요일 시간 요일 시간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독후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른 학생들이 남긴 독후 활동 결과물들로 다양한 생각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PART 4

화면 구성 · 도서 검색-전체검색, 독서교육 콘텐츠 등 · 독후활동하기 - 추천독후활동 · 커뮤니티 - 독서토론방, 독서 동아리 등 · 시스템 소개 - 시스템 안내, 이용 안내 등

TIP PART 5

온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 •대구광역시립북부도서관 교과연계도서 대출(어린이자료실 또는 종합자료실) ‌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와 연계된 도서를 갖추어두어 공부에 도움을 받으려는 학생, 자녀교육에 참고하려는 부모님 등 누구나 이용하고 대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부록

•대구광역시립중앙도서관 북 코디네이터(어린이자료실 또는 홈페이지) ‌어린이들이 자신감 있게 책을 선택하고 책 읽는 즐거움을 느끼는 독자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1:1 맞춤형 독서 정보 제공

75

2

독서 습관 만들기

▶ 규칙적으로 책 읽기 열 살 전후의 아이들은 읽은 것보다 들을 때, 이해를 잘하기 때문에 매일 20분 정도, 특히 잠자기 전에 책을 읽어 주면, 책에 대한 흥미, 듣기능력, 정서적 안정감 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부모님과 함께 책 읽기 언제, 어디에서나 책 읽는 모습이 자연스러운 일상으로 여겨지도록 도와주세요.

▶ 이야기의 재미 알려주기 책을 읽어주기 전에 먼저 부모님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시고, 책 속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더 많이 담겨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면 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

▶ 글자보다 그림 먼저 보기 그림만으로 충분히 책 속의 이야기를 상상하고 이해하여 새로운 이야기와 의미를 만들어냅니다. 글자가 적은 그림책부터 읽어주면서 책의 재미를 알게 해줍니다.

▶ 책을 읽고 난 후 함께 이야기 나누기 부모님과 함께 이야기하면서 책에 대해 더 다양한 느낌과 생각을 갖게 됩니다. 단, 책의 줄거리, 정보 등 사실적인 내용만을 확인하는 것은 아이에게 부담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TIP 연령별 독서 지도 ‌ •‌1~2학년: 혼자 책 읽는 습관을 들이자! 이 시기에는 한글을 깨치게 되므로 혼자 책 읽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요. •3~4학년: 의미 중심의 글 읽기 시작단계! 이 시기에는 평생의 독서 습관과 사고 ‌ 능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의 책을 고르고, 읽게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어휘, 세부내용, 추론, 중심 생각 파악 등에 대한 질문을 해 주시고 토론 활동도 하면 좋아요. •‌5~6학년: 왕성한 지적 호기심을 자극! 책을 비롯해 신문, 잡지, 영상 자료 등 각종 자료를 뒷받침해주고 적극적인 토론 활동도 해 보세요.

7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책읽기-토론-책쓰기-인문독서교육

PART 1

3

PART 2

독서인문문화 조성

책읽기 PART 3

교과 외 교육

즐거운  책읽기로 자발적 독서 습관을 기를 수 있는 학교 독서 문화를 조성하고, 학생 맞춤형 읽기 프로그램을 통하여 책읽기를 실천합니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을 내실화하고 초등 ‘한 학기 한 권 읽기 웹서비스’ 책열매를 활용합니다.

토론 PART 4

가족,  친구, 이웃과 더불어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소통하는 생활 속 토론 문화를 만듭니다. 학생들의  소통과 협력 인성 덕목을 함양하여 더불어 행복하게 합니다.

책쓰기

PART 5

학생이  자율적으로 흥미, 적성, 소질, 취미, 진로 등에 맞추어 주제를 선정 하고, 자료를 수집, 연구, 탐구하면서 자신만의 한 권의 책을 완성합니다. 1년  동안 한 권의 책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자존감을 높이고, 스스로 행복을 설계하게 합니다.

인문교육

PART 3. 교과 외 교육

부록

자신의  삶의 주인으로 살기 위해 나는 누구이며,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해 성찰하게 합니다. 자신과  타인의 삶을 긍정하고 존중하며 행복한 삶을 설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합니다.

77

이것이 궁금해요

학교 도서관에서 봉사하는 학부모 명예 사서에 대해 알고 싶어요. ‌ 교에 따라 운영 방법이 다르지만 대체로 3~12월 기간 내 월 1, 2회 정도로 학 활동하며 하루 1~2시간씩 봉사합니다. 하는 일은 도서 대출과 반납, 도서 및 환경 정리, 도서 장비 및 훼손 도서 보수, 도서 검색 방법 및 실내 이용 지도, 도서관 관련 행사(독서축제 등) 주관 및 지원 등을 합니다. ‌학부모가 재능기부로 학급에서 책을 읽어주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교에 따라 운영 방법이 다르지만 3~12월 기간 내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학급에 들어가서 학생들에게 08:30~08:50(20분간)까지 책을 읽어 주고 간단한 독후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학교교육계획 에 의거 운영되므로 사전에 학교와의 협의가 필요합니다.

TIP 독서교육지원 서비스 소개 ‌

7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료출처: 교육부

1

PART 1

진로교육

내 아이 적성 찾기 PART 2

진로를 결정할 때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은 개인의 흥미와 적성입니다. 커리어넷(http://www.career.go.kr)과 워크넷(http://www.work. go.kr)에 들어 가면 여러 가지 직업 심리검사와 적성검사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진로 정보 포털 커리어넷

PART 3

교과 외 교육

2

커리어넷은 학생, 학부모, 교사들에게 직업 및

커리어넷

학과 정보, 진로 심리 검사, 진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ART 4

직업과 학과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찾을 수 http://www.career.go.kr

있고, 학생들의 진로 적성 검사를 무료로 할 수 있습니다.

내 아이 적성 찾기-주니어커리어넷

주니어커리어넷

PART 5

3

주니어커리어넷 사이트에서는 초등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흥미 탐색, 다양한 진로 탐색 및 직업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EBS

https://www.career.go.kr/jr

부록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의 세계, 미래 직업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79

TIP 진로 ‌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드림레터 (커리어넷 http://www.career.go.kr 에서 발간)

학부모를 위한 진로 상담, 직업 및 학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간하는 소식지(초, 중, 고등학생 학부모용 별도 제작)

진로레시피 (http://www.podbbang.com/ch/7445)

학부모가 궁금해 하는 자녀 진학정보, 진로 고민 상담, 직업 정보 등을 제공하는 학부모 진로교육 팟캐스트(초·중·고등학교 학부모 대상)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http://parent.dge.go.kr)

학부모 맞춤형 연수 지원, 학교생활 안내, 자녀교육 상황별 도움자료, 학부모 교육칼럼 등 학부모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과 정보를 제공

8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창의적체험활동

창의적체험활동이란? PART 2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과 이외의 교육활동으로 다양한 체험을 통하여 삶을 실천적으로 체득하게 하여 전인적인 성장을 돕는 교육과정입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교과 지식 위주의 학교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다양한 현장체험교육을 강화하여 창의성과 인성을 갖추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출처: 대구광역시 창의적체험활동지원센터(2020)

PART 4

2

창의적체험활동 영역 영역 자율 활동

· 입학 초기 적응활동(1학년), 학교생활 및 다양한 주제 활동 ·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해 학생들의 재능 발견

봉사 활동

· 나눔과 배려를 배우는 봉사활동, 환경보존 및 캠페인 활동

진로 활동

· 자신의 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진로 탐색 및 설계 · 일의 중요성 이해, 직업 세계 탐색 · 실생활 속에서 위기 대응 역량을 체득할 수 있는 체험 중심 교육 실시 - 생활안전을 위한 사례 중심의 실습교육 - 교통안전을 위한 실생활 중심의 체험 및 습관화 - 신변안전을 위한 자기 방어능력 향상 - 재난안전을 위한 대응 방법 생활화

부록

안전한생활 ※ 1~2학년만 해당

PART 5

동아리 활동

주요 활동

PART 3. 교과 외 교육

81

3

방학 중 이루어지는 다양한 체험활동

방학 중에는 영어캠프, 독서교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련 체험 교실, 방과후학교, 청소년단체 활동, 돌봄교실, 운동부 훈련 등 다양한 교육 활동이 진행 됩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은 학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 영어캠프 영어체험활동을 통해 생활 영어의 정착과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신감 부여 ※ 3학년부터 시작

▶ 독서교실 독서에 흥미를 갖게 하여 책 읽는 습관을 익히고, 올바른 도서 선택 및 독서 방법 지도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특기적성 교육 및 체험활동 프로그램, 진로교육, 캠프, 중식 제공

▶ 방과후학교 학교에서 운영하는 각종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 청소년단체 학교와 청소년단체에서 운영하는 야영 및 캠프 ※ 3학년부터 시작

TIP 대구광역시 창의적체험활동지원센터 ‌ (http://www.dge.go.kr/crm) 대구광역시 내 지역별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자원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8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현장체험학습

현장체험학습 정의 PART 2

현장체험학습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교육활동으로 수학여행·수련 활동 등 숙박형 현장체험학습과 1일형 현장체험학습으로 구분됩니다.

현장체험학습 유형

1 일형 현장체험학습

PART 3

교과 외 교육

2

하루에  이루어지는 관광, 관람, 견학, 강의 등 비숙박 체험활동 현장체험학습  실시 전 사전현장답사를 실시하여 이동과 교육 활동에 따른 안전 유무를 점검합니다. PART 4

숙박형 현장체험학습 수학여행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다양한 사회, 자연, 문화 등에 대한 직접 체험을 통해 견문을 넓히기 위해 실시하는 단체 숙박형 여행

PART 5

수련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공동체 의식, 협동심을 함양하는 단체 활동 기타  숙박형 현장체험학습 수학여행과 수련 활동을 제외한 활동으로, 일정 기간 숙박을 하면서 이루어지는 체험활동(문화예술 활동, 봉사 활동, 직업체험 활동, 과학실험 활동, 동아리 활동,

부록

청소년 단체 활동, 국제교류학습 등) 안전  전문가를 포함한 사전 안전 영향 평가단을 구성하여 현장체험학습 실시에 따른 안전을 확보합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83

3

개인별 교외현장체험학습

개인별 교외현장체험학습 개요 학습형태

학습내용

학습방법

자매학교 교환학습

· ‌도시·농촌 간의 다양한 자연 환경, 생활 이해와 체험 등

· 학급, 학교 간 자매결연 · ‌자매 학교장끼리 상호협의 후 이동 수업 실시

연 10일 이내 (공휴일 제외)

교류학습

· ‌도시·농촌 간 생활, 다양한 생활문화 이해 및 체험 · 조상에 대한 뿌리 교육 등

· 대구 이외의 다른 지역 학교에서 학습 · ‌학부모가 대상 학교장의 허락 후 신청 · 학교장의 승인 후 실시

연 30일 이내 (공휴일 포함)

· 부모 등 보호자 동행 체험학습 · ‌부모 등 보호자가 미동행시 체험학습목적에 부합하고 학생안전 · 경로효친 및 가족공동체 이해 확보를 위한 인솔자가 있어 이를 · 문화유적이해및국토사랑교육 부모 등 보호자가 동의한 경우도 · 다른 문화의 이해 승인 할 수 있음 · 진로관련 개인 활동 · ‌인솔자는 학생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자 동행 실질적 대상자로, 고등학생 이하의 (동의) 학생은 인솔자가 될 수 없음 개인별 체험학습

위탁학습

연 15일 이내 (공휴일 제외)

· 가정학습(감염병 ‌ 위기 단계가 ‘심각’, ‘경계’ 단계인 경우에 한함)

· 감염병으로 ‌ 인한 가정학습은 학교장이 승인하되 충실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학습 안내 및 자료 제공

사유가 가정학습일 경우 20일 추가 인정 (최대35일 허용)

· 전통예절 및 충·효, 어학교육 · 조상에 대한 뿌리 교육 등

· 향교, 서원, 영어마을 등에서 수학 · ‌희망 교육기관장 및 학교장의 승인 후 실시

연 10일 이내 (공휴일 제외)

※ 해외어학연수는 보호자 동행(동의) 개인별 체험학습으로 실시 할 수 없음 ※ 2023학년도 개인별 교외현장체험학습 내용은 변동될 수 있음

84

학습기간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실시 전 신청서 제출 (학생, 학부모) 3일 이전*

학교장 승인

체험 학습 실시

체험학습 보고서 제출 7일 이내*

PART 1

보호자 동행(동의) 개인별 체험학습 절차 (표준안) 출석인정, 학교생활기록부 등에 반영

PART 2

※ 부모 등 보호자가 미 동행 시 신청서와 함께 동의서를 제출 •신청서 내에 보호자가 나타나 있고 부모 서명이 있으면 동의서로 간주

신청 절차 및 학습 결과 처리 모든  교외현장체험학습은 사전에 신청합니다. 학생과 학부모의 신청을 받아 학교장이 승인하여 실시하며 체험학습 기간은 출석으로 인정됩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 신청서, 보고서 양식은 각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탑재

해외체험학습 후에는 증빙 서류(항공 탑승권 등)를 첨부하여 제출합니다. ※ 부모나 보호자의 서류는 필요하지 않음 교외 현장체험학습 기간을 초과한 결석, 해외어학연수로 인한 결석, 사전 승인 PART 4

받지 않은 보호자 동행(동의) 개인별 체험학습은 미인정 결석으로 처리됩니다.

TIP PART 5

보호자 동행(동의) 개인 체험학습 시 ‌

‘부모 등 보호자’의 개념

PART 3. 교과 외 교육

부록

① 전통적 개념의 부모 ② 실제 학생을 부양하고 있는 자 ③ 학생의 직계 존속(친가, 외가 포함) ※ 부모 등 보호자가 미동행 시 체험학습 목적에 부합하고 학생안전 확보를 위한 인솔자가 있어 이를 부모 등 보호자가 동의 할 경우도 승인할 수 있음

85

특수교육 지원 1

통합교육에 대해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차별받지 않고 또래와 같이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입니다. 통합교육으로 장애 학생은 자신의 연령에 맞는 발달단계별 행동을 보고 이해하며, 일반 학생들은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올바른 이해와 배려 및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체험하게 됩니다. 특수학급: 특수 교육 지원 대상 학생의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설치된 학급 통합학급: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소속된 일반 학급

각  학교마다 특수학급의 이름이 달라요

TIP

2

특수학급의 경우 반 이름을 통합교육과 어울리게 짓는 경우가 많으며 각 학교마다 이름도 다릅니다. 예) 도움반, 사랑반, 누리반 등

특수교육 지원

구성 및 역할: 특수교육 담당장학관(사), 특수교사, 체육 및 직업전담교사, 특수 교육실무원이 배치되어 특수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 및 상담 실시 지원 내용 특수교육대상자 조기 발견, 특수교육대상자 진단ㆍ평가, 정보 관리, 교수ㆍ학습활동 지 원,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지원, 순회교육 등 통합교육 지원, 장애학생인권지원단 운영 등 대구특수교육원 231-3954 동부교육지원청 동부특수교육지원센터 • 대구청림초등학교 232-0049

서부교육지원청 서부특수교육지원센터 • 대구신암초등학교 233-0047

남부교육지원청 남부특수교육지원센터 • 대구죽전초등학교 234-0171

달성교육지원청 달성특수교육지원센터 • 대구화원초등학교 235-0055

• 청각장애학생 지원 중점 특수교육지원센터: 대구영화학교 • 시각장애학생 지원 중점 특수교육지원센터: 대구광명학교 • 정서장애학생 지원 중점 특수교육지원센터: 대구덕희학교

8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특수교육대상자 배치

보호자 또는 각급 학교의 장

PART 1

3

· 장애가 있거나 의심되는 영유아 및 학생 발견 시 진단·평가 의뢰

(보호자의 동의)

PART 2

교육감 또는 교육장

· 특수교육지원센터 진단·평가 의뢰

· 진단·평가 회부된 후 30일 이내 진단·평가 시행 · 진단·평가 과정에서 보호자의 의견진술 기회 충분히 보장 · 선정 여부 및 필요한 교육지원 내용에 대한 최종 의견을 작성하여 교육장 또는 교육감에게 보고

교육감 또는 교육장

· 특수교육지원센터로부터 최종 의견을 통지받은 때부터 2주일 이내에 특수 교육 대상자 선정 여부 및 교육지원 내용을 결정하여 보호자에게 통보 · 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결과 및 학교 지정 배치를 신청인에게 서면으로 통지

PART 4

학생 또는 보호자

PART 3

교과 외 교육

특수교육 지원센터

· 배치된 학교에 취학

PART 5

이것이 궁금해요

장애등록이 되어있으면 무조건 특수교육대상자가 되는 건가요?

PART 3. 교과 외 교육

부록

‌ 수교육지원대상자는 특수교육지원이 필요하여 선정된 경우입니다. 특 따라서 장애인복지법의 장애등급을 받으셨다고 해서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장애등록과 상관없이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학생’이기 때문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진단평가를 의뢰하여 특수교육운영 위원회 심의를 거친 후 특수교육지원대상자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87

함께하는 다문화교육 1

다문화교육이란?

다양한 생각과 문화적 배경을 지닌 친구들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다문화 역량을 함양하고, 다문화학생의 학교 적응에 도움을 주며 자긍심 함양 및 잠재적 재능 계발로 글로벌 인재를 기르는 교육입니다.

2

우리 교육청 다문화 교육 추진 내용

맞춤형 교육 지원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운영

다문화교육 수업지원 •다문화이해교육

•한국어집중 배움학급 운영

교수·학습자료 제작 및

•한국어학급(16교, 24학급)

보급

운영

•모범 다문화 학생 표창 •다문화 학부모 자녀 교육 역량 제고

•세계문화체험학습 콘텐츠

•대학생 멘토링제

다문화 역량 강화

보급

•이중언어교실 (주중 및 토요)

•맞춤형 다국어 통역 서비스

•이중언어말하기대회

미래동행 공감확산 •세계문화체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가온 어울림 뮤지컬단, 글로벌 국악단 운영 •세계문화 축제 •세계테마꾸러미 대여 등

•어울꿈키움 프로그램 •학부모 다국어 카드뉴스 다(多) 잇다 서비스 운영

다문화교육 지원체계 구축

TIP 대구세계시민교육센터 ‌ (http://www.edunavi.kr/multiculture) •대구광역시 북구 동북로 65길 46 •한국어자료, 이중언어교육자료 등 다문 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자료가 있음

8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다문화 가족과 다문화 이해교육

PART 1

3

다문화가족과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해 다문화  가족이란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을 말합니다. •국제결혼 가정: 부모 중 한쪽이 외국인

PART 2

•외국인 근로자 가정: 부모 양쪽 모두 외국인 다문화  이해교육이란 다문화에 대한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문화배경을 가진 이웃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가치관교육을 말합니다.

대구 다문화 가정 학생 수

(2022.4.1. 교육통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전체 학생 수

268,536

261,289

252,545

248,874

244,173

다문화가정 학생 수

3,929

4,427

4,773

5,179

5,586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

1.5%

1.7%

1.9%

2.1%

2.3%

증가 추이

509명 (14.9%)

498명 (12.7%)

PART 4

346명(7.8%) 406명(8.5%) 407명(7.9%)

PART 3

2018년

교과 외 교육

구분

TIP

PART 5

다문화가정 ‌ 학부모를 위한 맞춤형 교육정보 제공 ‘다(多)-잇다’ 서비스 •「다(多)-잇다」 서비스 다문화가정 학부모에게 교육청-지역사회-학교의 다양한 교육정보를 모두 이어서 촘촘하고 충분한 교육정보를 제 공하는 서비스로 다문화가정 학부모의 교육정보 접근성

부록

을 높이고자 다국어로 문자, 번역, 통역, 상담, 유튜브 자막 서비스 등을 지원합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89

4

다문화 이중언어교실

다문화학생 및 일반학생 대상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다문화 유형별 맞춤형 교육 지원 일반학생을 위한 제 2외국어 지도 및 국제문화 이해교육 지원 학생 요구에 따른 이중언어교실 강좌 개설·운영 언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러시아어

몽골어

학교 (28교)

동신초 외 22개교

동촌초, 신암초

신당초 외 4개교

북동초, 논공초

신당초

※ ‌2023학년도 운영교는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언어교실 운영교에 대한 상세안내는 시교육청 홈페이지(알림 마당/공지사항)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5

온라인 한국어 학습 웹사이트 EBS 두리안

https://www.ebs.co.kr/durian/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울 수 있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이주 가정이 활용 가능한 EBS 다문화 콘텐츠를 제공 •4개의 언어 서비스(한국어, 영어, 베트남어, 중국어)

9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센터 https://kcenter.korean.go.kr

•유아, 청소년, 성인 등 수준별 한국어 학습자료 제공 •표준 한국어 교재, 전 세계 유아를 위한 신나는 한국어 한국어 교재 제공

누리-세종학당 https://www.sejonghakdang.org/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학습을 위한 각종 교재 및 자료를 제공 •2개의 언어 서비스(한국어, 영어)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아이를 가르치고 싶어도 한글을 잘 알지 못해 도와줄 수 없습니다.

PART 2

‌ 구시교육청에서는 한국어가 미흡한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해 한국어 대 학급 운영학교 16교(초12, 중2, 고2) 24학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한국어학급 운영학교에 입급시키면 체계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어학급에 입급하지 못할 경우라도, 해당 학교 에서 ‘찾아가는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을 신청하시면 주 2~3회, 한국어 강사가 학교로 방문하여 1:1로 한국어를 지도합니다. 또한 중도입국 학생의 경우 ‘한국어집중 배움학급’을 운영하고 있으니 해당 학교에서 참여 신청 하시면 됩니다.

말을 잘 못하니 갈 수가 없습니다.

PART 4

‌ 구시교육청에서는 한국어 소통이 어려운 다문화가정 학부모님과 학 대 교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맞춤형 다국어 통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 니다. 자녀 학교의 담임교사와 상담을 원하시면, 해당 학교에 통역 서비 스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에서는 부모가 학교 행사에 참여하면, 그 자녀는 학교생활을 더 열심히 하게 되고, 특히 공부도 더 열심히 합니 다. 따라서 아이의 입장을 생각해서라도 학교 행사에 열심히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학교에서 학부모를 오라고 하면 한국말을 알아듣지 못하거나

다문화가정 자녀 및 학부모 지원 사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PART 5

‌ 구시교육청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 및 학부모를 지원하기 위해 대구 대 세계시민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각종 지원 사업을 살펴 볼 수 있으며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의 번호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053) 231-0214, 0218

대구세계시민교육센터

☏ 053) 231-3930~6

Fax

053) 939-3933

홈페이지

http://www.edunavi.kr/multiculture/main.do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북로 65길 46(복현동, 구 복현중학교)

PART 3. 교과 외 교육

부록

대구시교육청 다문화교육담당

91

방과후학교

1

방과후학교란?

학교 교육과정 외에 수요자의 요구와 선택에 따라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학교 계획에 따라 일정한 기간 지속해서 운영하는 학교교육활동을 말합니다.

2

운영 방향

운영 원칙 학교장이 학교 여건과 학생·학부모의 요구를 고려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자문)를 거쳐 자율적으로 운영합니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학생·학부모의 선택에 의한 자율적 참여를 기반으로 운영합니다.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을 학교 교육계획에 반영하여 수립합니다.

운영 내용 수요자 중심의 방과후학교 운영: 수준별 선택형·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토요일, 방학 등 틈새 시간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취약계층 교육복지 지원 확대: 초등 돌봄교실 운영, 자유수강권 지원, 대학생 멘토링 지원, 농·산·어촌 방과후학교를 지원합니다. 학교  현장 지원·관리 강화: 방과후학교 지원센터 운영, 연수 - 홍보 - 평가· 환류 체제 구축, 민간위탁 운영 사전심의, 지역사회 인적·물적 자원 활용 연계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합니다.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 시 방과후학교를 중지, 연기하거나, 다양한 방법(실시간 쌍방향, 온오프라인 연계 등)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9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3

프로그램 개설 및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PART 2

방과후학교  수강을 희망하는 수요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저소득층  자녀에게는 자유수강권 제도를 통한 참여 기회를 부여합니다. 프로그램의  학급 편성 규모는 교과의 특성, 교육 내용과 방법 및 희망자 수를 고려하여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합니다. 방과후학교는  토요일, 휴업일, 방학 중에도 운영할 수 있으나 학생·학부모의

프로그램 개설 과정

PART 3

교과 외 교육

요구와 학교의 여건을 고려하여 단위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운영합니다.

프로그램  수요 조사 •희망 프로그램, 프로그램 수준, 프로그램 운영 시간, 프로그램 참가 여부 등을 PART 4

조사합니다. 조사  방법 •설문지 혹은 가정통신문, 학교홈페이지 활용 및 학부모 의견 수렴, 학년말 방과후학교 운영 만족도 조사 시 차기 학년도 수요 조사를 병행합니다. 프로그램  개설

PART 5

•개설 조건을 충족하는 최소 수강 인원(학교 자율)을 만족한 프로그램,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 인성·창의성·특기계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합니다. 수강  신청 •프로그램별 수강 모집 안내서 및 신청서 배부 ⇢ 수강 신청서 접수 ⇢ 프로그램별 수강 대상자 명단 확정 ⇢프로그램 실시

부록

PART 3. 교과 외 교육

93

학습 관리 프로그램 운영 계획서에 의거하여 수요자 중심의 밀도 있는 교육활동을 진행합니다.

영역

부서명

영어

생활영어, 영어회화 등

과학

과학실험, 로봇과학, 드론 등

신체활동

풋살, 배드민턴, 탁구, 농구, 발레, 방송 댄스 등

음악활동

바이올린, 플룻, 클라리넷, 난타, 가야금 등

미술활동

회화, 공예, 클레이아트, POP 등

기타

4

한자, 주산, 컴퓨터 등

학생 관리 및 안전지도

출결: 지각·결석 상황 시 학부모님께 즉시 연락, 출석 독려 등을 합니다. 생활 지도: 프로그램 참여 태도, 생활 태도, 위생, 건강관리 및 시설물 등을 관리 합니다. 안전 지도: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한 귀가 지도를 합니다. 학생 상담: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한 학생 상담은 교내에서 실시하고, 교외에서의 개별·그룹지도 및 가정 방문은 금지합니다.

5

수강료 납부 방법

수강료는 월별 또는 기별로 납부할 수 있으며, 스쿨뱅킹, 지로, 현금 수납 등 학교여건에 따라 납부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수강료는 선 수납하며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시수를 기준으로 납부합니다.

6

수강료 환불 절차

환불 사유 발생 ⇢ 담당교사 확인 ⇢ 기안 및 결재 ⇢ 행정실 확인 후 환불(별도 처리 규정 마련), 학교 자체적으로 수강료 환불 기준을 정하여 반환 사유 발생 시 빠른 시일 내에 반환합니다.

9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수강 안내 및 수강생 모집은 어떤 방법으로 합니까? PART 2

‌ 당교사가 강사로부터 제출받은 프로그램 운영계획서를 바탕으로 방과 담 후학교 운영 계획서를 학생들에게 배부하거나 학교홈페이지를 통해서 홍보합니다. 특히 프로그램별로 구체적으로 배우는 내용과 수준에 대해 안내하므로 자녀의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방과후학교 교재 선정은 어떻게 하나요?

저소득층 학생의 수강료 지원은 어떻게 받습니까?

PART 4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강료 지원 대상은 기초 생활수급 대상자 자녀, 차상위 계층 자녀, 한부모가족 자녀 등 교육비 지원 대상자순으로 선정하며 학교별 방과후학교 자체규정으로 정한 순서를 고려하여 지원합니다. •‌자유수강권 지원 학생이 한도금액을 다 사용한 경우, 자유수강권 예산 으로는 더 이상 지원할 수 없습니다. 1인당 연간 한도금액 범위 내에서 수강하여야 합니다.

PART 3

교과 외 교육

‌ 재는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외부 교재를 사용할 경우는 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칩니다.

방과후학교 수강료 결정과 수업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PART 5

‌ 강료는 강사료와 수용비, 수업 시간, 수강 학생 수 등을 고려하여 학교 수 실정에 맞게 책정하고, 수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합니다. 수업 시간은 프로 그램 특성에 따라 연속 수강도 가능하며, 초등학교 1시간은 40분을 기준 으로 합니다.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참여 결과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나요?

PART 3. 교과 외 교육

부록

‌ 023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에 따라 학생의 방과후학교 프로 2 그램 참여 결과는 기재하지 않습니다.

95

돌봄교실

초등 돌봄교실이란?

1

초등학교에서 돌봄이 필요한 학생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하여 학습(과제)지도, 특별활동지도, 독서지도, 자율학습지도, 놀이지도, 기타 특기· 적성교육 등 돌봄과 교육의 기능을 함께 구성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초등 돌봄교실 운영

2

대상 학생 유형 오후 돌봄 · 저녁 돌봄

방과후 학교 연계형 돌봄

대상학생 · 맞벌이, 저소득층, 한부모, 다자녀 가정 등의 1∼2학년 학생 ※관  련 서류 제출이 어려울 경우(일시적 실직, 구직 중, 장애인 부모 가정, 투병 중인 가정 등) 면담을 통해 담임 추천서 제출 · 1∼2학년 학생 우선 수용 후, 추가 수용이 가능한 경우 3학년 이상 학생도 학교 여건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해 수용

· 맞벌이, 저소득층, 한부모, 다자녀 가정 등의 3∼6학년 중심 · 개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중간 틈새시간에 개인 자율 활동을 위하여 돌봄교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돌봄이 필요한 학생은 참여 가능

※ 일반 가정은 수용 제외합니다.

학급 편성 실질적인 보살핌과 교육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 교실당 20명 내외로 구성하 되, 최대 25명까지 편성 가능합니다.

9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운영 시간 오후  돌봄: 방과 후~17시 저녁  돌봄: 오후 돌봄 종료 시~최대 22시까지 운영 가능 ※ 운영 시간은 돌봄 수요와 학교별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

PART 2

학생 안전 지도 학생  안전지도 및 생활지도를 위한 자체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합니다. 간식,  저녁밥 제공 시 식중독 예방을 위한 음식물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합니다. 보호자(학부모  등)가 학생을 데리고 귀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2023

PART 3

교과 외 교육

PART 4 PART 5

3

비용 부담

프로그램비:  매일 1개 이상의 무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되, 학부모의 요구가 부록

있을 경우 수익자 부담 프로그램 운영 가능 급·간식비:  수익자 부담 원칙, 교육비 지원 대상 전액 지원

PART 3. 교과 외 교육

97

TIP 2023년 ‌ 대구형 방과 후 틈새돌봄사업 •이용기간2023. 연중 필요한 시간만큼 •이용대상대구시에 거주하는 만5세 이상 ~ 만18세 미만 아동 •신청방식: 전화 또는 방문 상담(당일 신청, 당일 이용 가능) •사업내용: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학기, 방학, 야간, 토요돌봄 등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 지원 •틈새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확인 방법 - 네이버 검색창에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 검색 - ‘우리동네 틈새돌봄 찾기’ 클릭 후 구군별 서비스 제공기관 목록 확인 ※ 문의 :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053-476-1613)

지역아동센터 대구지원단 우리동네 돌봄센터 찾기

9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교과 외 교육

PART 4

PART 5

부록

99

PART 3. 교과 외 교육

우리 아이가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자랐으면 하는 것은 모든 부모의 마음입니다.

제4장은 학생들이 밝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학생 안전과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 자녀들의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하여 가정과 학교가 함께 노력해야 할 점을 알아보고 실천하도록 합니다.

PART

건강·안전생활

4

1.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104 2. 맛있고 행복한 대구학교급식···························· 107 3. 건강한 생활을 돕는 보건실·······························110 4. 감염병 예방 방법·············································113 5.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119 6. 학교에 있는 안전장치·······································121 7. 교통안전························································125 8. 재난대응······················································· 128 9.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133 10. 성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140 11. 아동학대 예방················································145 12. 실종·유괴 예방·············································· 149

우리에게 어려움이 닥쳤을 때 원망하며 포기한다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습니다. 어려움을 새로운 기회로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더 큰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아이에게 발생하는 크고 작은 어려움을 함께 이야기 나누고 현명하게 대처하면 어떨까요?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 1

소아 비만의 원인

비만이란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간적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측정입니다.(대한비만학회, 2023)

우리 아이, 비만일까? 체질량지수=

체중 키(m)2 소아청소년성장도표 신체발육 표준치(2017)

성별 만 나이



7 8 9 10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122.1 127.9 133.4 138.8

24.2 27.5 31.3 35.5

16.4 16.9 17.6 18.4

성별

만 나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7 8 9 10

120.8 126.7 132.6 139.1

23.4 26.6 30.2 34.4

16.1 16.6 17.2 17.8

TIP 우리 아이 성장 상태 점검해보기 성장도표는 소아청소년의 신체측정 분포 곡선으로 저신장, 저체중, 비만 등 성장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의 ‘성장도표’ 메뉴에서 아이의 성장상태를 점검해볼 수 있습니다. 성장도표

※ 바로 가기: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10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비만의 원인 유전적 요인 부모님이 비만이면 자녀도 비만일 확률이 높음 부모 모두 비만일 경우 자녀의 비만율은 80% 부모 모두가 비만이 아닌 경우 자녀의 비만율은 9%

PART 2

식이적 요인 과식, 잘못된 식사 방법(굶다가 폭식, 불규칙한 식사시간, 간식, 야식, 아침 거르기)

심리적 요인 PART 3

스트레스(스트레스를 음식 먹는 것으로 해소), 비만에 대한 스트레스 (요요현상 반복)

운동 부족 사회적 요인 방과 후 학업으로 신체활동 감소 및 음식 섭취량보다 운동을 적게 함

· TV나 인터넷·독서·공부를 하면서 먹기 · 눈에 잘 띄는 곳에 음식 놔두기

PART 4

건강·안전생활

행동적 요인

· 습관적으로 배 안 고파도 음식이 보이면 먹기, 잦은 외식, 잘 안 걷는 습관 등

소아 비만의 문제점

성조숙증 소아비만 80% 이상 성조숙증 경험, 키가 자라는 시간 단축

뚱뚱한 외모로 인한 좌절감, 자신감 상실, 대인 관계 문제 발생

성인병 조기발병 대사증후군의 조기 발현, 고혈압, 당뇨병, 지방간 등 합병증 유발

부록

우울증

PART 5

2

성인 비만 유래 10-13세 소아비만의 70% 이상이 성인 비만으로 성장

PART 4. 건강·안전생활

105

3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과 달리, 비만세포 수 자체가 많아지므로, 치료가 어렵고 성인 비만으로 쉽게 이어지기 때문에 소아 비만은 어릴 때부터 치료해야 합니다.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행동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이 있으며 이 세 가지를 모두 병행할 때 효과가 가장 극대화됩니다. 행동요법

- 비만을 유발하는 잘못된 습관을 고치는 것



-예  를 들면 먹기를 너무 좋아하는 행동, 많이 먹는 행동, 급하게 먹는 행동, 움직이기 싫어하는 행동 등을 수정

식이요법

- 비만을 유발하는 음식 섭취량을 줄이고 영양이 조화된 식사를 함

운동요법

- 장기적이고도 규칙적인 운동



- 운동으로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킴



- 힘든 운동을 하는 것보다는 운동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효과적

기타

- 비만으로 인한 우울·자존감 저하 등의 정신·심리적 문제가 있을 경우 정신



심리 치료나 상담을 함

-질  병으로 인한 비만인 경우엔 의학적 치료를 병행

TIP 비만! 생활 속에서 예방하는 방법 •천천히 먹습니다. •식사일기를 씁니다. •식사 후 곧바로 이를 닦습니다. •씹는 동안에는 수저를 내려놓습니다. •저녁의 일정 시간 이후에는 먹지 않습니다. •운동을 계속하고 운동기구는 문 옆에 둡니다. •속이 출출할 때는 먹는 일 이외의 다른 일을 합니다. •먹을 음식은 한꺼번에 담지 말고, 일 인 분씩만 놓습니다. •먹는 동안에는 다른 일(TV, 라디오, 게임 등)을 하지 않습니다. •음식을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놓거나, 정해진 장소에서만 먹습니다.

10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맛있고 행복한 대구학교급식 학교급식 관리

PART 2

학교급식은 식품위생 및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하여 모든 과정에 HACCP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HACCP 시스템이란?

PART 3

“식품의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으로 조리작업별(검수→전처리→조리→나눔→청소)로 위험한 요소를 분석하여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안전한 식자재 사용 1등급을 사용합니다. 김치는 국내산 재료를 사용하여 직접 담고 있습니다. (상세 식자재 원산지 표시는 식단표에 기재)

PART 4

건강·안전생활

식자재는  수급이 되는 한 국내산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육류는 국내산 무항생제

학교급식은  싱겁게 먹기 실천을 위해 염도계를 사용하여 국 및 찌개류의 염도를 기준치(0.5±0.1%) 이내로 제공하며, 월 1∼2회 국 없는 날 운영 및 나트륨이 많이 PART 5

함유한 식자재 사용을 제한합니다. 식단표에  알레르기 유발 식품을 표시합니다.

조리 방법 식단은  전통 식문화의 계승을 고려하여 간편식의 사용을 지양하고 가급적 자연식품 및 계절식품을 사용하여 다양한 조리방법으로 계획합니다. 부록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멸치, 다시마, 건표고, 건새우 등의 천연재료로 맛을 냅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07

2

학교급식 모니터링

학교급식 검수 대상: 1~6학년 학부모 중 참관을 희망하는 학부모 운영기간 및 학부모 참여: 연중 실시하며 매주 2∼3회 참여 참여인원: 1일 1명 검수참관 일정 구분

시간

참여방법

활동내용

준비

08:45~08:50

· 위생신발 착용 · 위생모, 위생복 착용

· 건강 문진 및 동의서 작성 ·검  수 준비(시계, 반지, 목걸이 등 장신구 착용 금지)

식재료 검수 참관

08:50~09:10

· 손 세척, 손 소독 · 위생장갑 착용

· 식자재 검수 참관 - 식자재의 중량, 원산지, 포장상태, 품질상태 확인 - 유통기한 및 제조일 확인 - 냉장보관식품의 온도 확인 - 배송차량 및 배송직원 위생 확인 · 학교급식 전반의 위생 상태 확인

평가

09:10~

· 학교급식 관리실

· 검수조리 참여 의견서 작성 · 학교급식 질의 · 학교급식의 이해 및 영양상담

※ 세부 일정은 학교 일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 모니터링 운영 대상: 학교급식소위원회 위원 및 1~6학년 학부모 중 모니터요원으로 위촉 운영기간 및 시기: 연중 실시(분기별 1회 이상) 참여인원: 1일 2~3명 활동시간: 8:45~14:00(당일 상황에 따라 변경)

10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충분한 영양이 제공되나요?

PART 1

3

학교급식은  영양기준량에 준수하여 충분한 양이 제공됩니다. 제공되는  학교급식의 식단은 학교홈페이지에 탑재 됩니다. 영양량은 식단표 등을 통해 홈페이지, 교실 게시판, 학교 급식실 입구에 안내됩니다.

4

PART 2

영양표시제에  따라 식재료 원산지 및 급식에 포함된 학교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식단표 예 (원산지 정보 및 영양량 표시)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 급식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PART 3

알레르기  유발 식품에서 학생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식단표에 알레르기 유발 식품 정보를 공지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 표시 식품 ① 난류 ② 우유 ③ 메밀 ④ 땅콩 ⑤ 대두 ⑥ 밀 ⑦ 고등어 ⑧ 게 ⑨ 새우 ⑩ 돼지고기 ⑪ 복숭아 ⑫ 토마토 ⑬ 아황산류* ⑭ 호두 ⑮ 닭고기 ⑯ 쇠고기 ⑰ 오징어 ⑱ 조개류 ⑲ 잣

식품에  알레르기를 가진 학생은 학기 초 식품 알레르기 유병학생 조사할 때, 담임선생님께 알레르기 유발 식품에 대해 알려줍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 아황산류: 식품의 변색을 막기 위한 첨가물, 주로 과실 주스 등에 포함

안내된  식단표를 참고하여 식단표에 아이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학교급식에서는  알레르기를 가진 학생들을 위해 학교 실정에 맞는 대체식품을 PART 5

제공하기도 합니다.

TIP 학교에서의 먹는 물 관리 •학교에서는 질 기준에 적합한 물을 제공하며, 저수조 및 옥내 급수관 등 학교 부록

수도시설에 대한 수질검사를 철저히 합니다.(가급적 끊인 물 제공) •개인위생을 위해 개인 물통을 준비하며 마실 물을 가져오는 것을 권장합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09

건강한 생활을 돕는 보건실

1

보건실의 이용

응급환자가 아닐 경우 쉬는 시간에 이용합니다. 몸이 아프거나 다쳐서 보건실을 방문해야 할 경우 담임선생님께 알린 후 방문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보건실에 도착하면 조용히 앉아 차례를 기다리고, 자신의 증상을 정확하고 자세히 설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보건선생님의 판단에 따라, 증상에 따라서는 보건실 내 있는 침대에서 안정을 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정을 취하는 학생을 위해 보건실 방문 시에는 조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보건실은 학생들이 건강과 관련 또는 성에 관해 궁금할 때 상담하거나, 보건실 주변에는 건강 관련 다양한 자료를 게시하여 지속적으로 건강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2

학교 내 응급 환자 발생 시 조치 방법

학교 응급 환자 발생하여 위급하지 않으나 병원진료가 필요한 경우, 보건실에서 응급조치하고 보호자에게 전화하여 보호자가 동행하여 하교함을 원칙으로 합니다. ※ 자녀에게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알려주세요. 위급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보호자에게 연락 후 교사가 학생과 동행하여 인근 병원으로 우선 후송합니다. 움직이기 어렵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위급상황 발생 시 119구조대에 연락하며, 보건교사와 담임교사가 동행하여 학생을 병원으로 신속히 후송합니다.

11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3

건강 검사 PART 1

목적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생활습관 및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질병을 조기에 발견·치료하여 건강한 삶 도모 나쁜  건강행태 또는 건강문제, 질병이 발견된 학생에 대해서는 교육 및 건강

PART 2

상담, 치료 및 보호 등 적절한 대책 강구

학생 건강 검사 항목 및 대상 검사항목에  따른 대상 및 검사 내용 대상 초1~고3

키, 몸무게(비만도)

검사 내용

건강조사

초1~고3

예방접종 및 병력, 건강형태 및 생활습관 등 구조화된 문진표를 통해 조사

신체의 능력

초 5~고3

건강체력 중심의 신체의 능력검사 실시

건강검진

초1, 초4 중1, 고1

근·골격계 및 척추, 눈·귀, 코·목, 피부, 구강, 기관능력, 병리검사 등 검진기관에서 실시

PART 3

항목 신체의 발달상황

※ 별도검사: 소변검사, 결핵검사, 구강검사, 시력검사

대상 학년 기본항목

초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4학년

PART 4

건강·안전생활

초등학교 건강검진 시행 내용

근·골격계 및 척추, 눈·귀, 코·목, 피부, 구강검사, 기관능력, 소변검사, 혈압 색각검사

건강검진 항목

비만학생 (혈당, 총콜레스테롤, AST, ALT)

PART 5

건강조사

혈액형

식생활 습관, 수면 및 신체활동 등 건강형태 및 건강상담 요구

TIP 학생 건강검진은 가정통신문으로 미리 안내해요

PART 4. 건강·안전생활

부록

가정통신문으로 안내되는 검사 항목에 따른 사전 준비사항을 잘 따라주어야 정확한 검진결과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결과에 대해 이상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 학부모님께 연락해 정밀검사(비용은 학부모 부담)를 받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111

이것이 궁금해요

아침에 갑자기 아이가 열이 나면 어떻게 조치를 해야 하나요? ‌ 학생의 상태파악

•집에 있는 체온계를 이용해 열 체크 •학생에게 질문을 통해 등교 가능 의사 확인

담임선생님께 유선연락

•담임선생님께 학생의 상태를 유선으로 연락

병원 진료

감염병 여부 확인

•병원진료를 통해 감염병 여부 확인

•감염병일 경우 담임교사에게 다시 연락드려서 등교 중지에 대한 안내를 받고 증상이 호전되어 의사소견서상 등교 가능하면 의사소견서를 떼어서 담임교사에게 제출

•감염병이 아닌 다른 질환의 경우 (폐렴, 감기, 장염 등) 병결 처리 됨

TIP 건강조사서는 자세히 기록해주세요! 학기 초 가정으로 배부하는 건강 조사서는 아이가 가진 질병이나 수술 기록, 알레르기 증상에 대해 빠짐없이 기록하여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이 기록한 건강 조사서를 바탕으로 응급상황에 대비하고 급식에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음식을 가려서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건강조사서 양식(예시)

11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감염병 예방 방법

예방접종 및 면역증강 노력 PART 2

국가  필수 예방접종 및 유행 시기별 예방 접종 노력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https://nip.kdca.go.kr)를 활용하여 자녀 나이별 국가 필수 예방 접종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https://nip.kdca.go.kr

입학  전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 PART 3

•DTap 5차(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 폴리오 4차(소아마비), MMR 2차(홍역, 유행선이하선염, 풍진), 일본뇌염 사백신 4차(생백신 2차)

2

법정감염병이란?

생산하는 독성물질(독소) 때문에 일어나는 질환을 감염병이라고 하며, 법정 감염병은 병의 예방, 전염방지, 치료를 위하여 국가가 법령으로 지정한 감염병으로, 제1급, 제2급, 제3급, 제4급 감염병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사람의  몸에 침투한 특정 병원체(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등) 혹은 병원체가

TIP PART 5

법정감염병에 해당되는 질환 분류

해당 질환

제2급 감염병

결핵, 수두, 홍역, 콜레라, 장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막구균 감염증, 폐렴구균 감염증 등 총 20종

제3급 감염병

파상풍, B형간염, 일본뇌염, C형간염, 말라리아, 비브리오패혈증, 진드기 매개뇌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등, 총 26종

제4급 감염병

인플루엔자, 수족구병, 회충증, 편충증, 급성호흡기감염증, 해외유입 기생충감염증, 엔테로바이러스감염증, 사람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 등 총 23종

PART 4. 건강·안전생활

부록

제1급 감염병

에볼라바이러스병, 신종감염병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신종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등 총 17종

113

감염병별 주요증상 및 치료법

3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치료 증상

발열, 두통, 귀밑침샘 (이하선) 부종

잠복기

12~15일

합병증

바이러스성 수막염, 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청력 장애

- 이하선의 통증과 부종을 가라앉히기 위해서 따뜻한 또는 차가운 찜질 - 씹는 일을 줄이기 위해 부드러운 음식을 먹고, 과일 주스와 신맛이 나는 음식은 침샘을 자극해서 분비샘의 통증을 악화시키므로 피함 - 부기가 가라앉을 때까지 격리

수두

증상

미열, 수포성 발진, 가려움증

잠복기

10~21일(평균 14~16일)

합병증

2차적 피부 감염, 폐렴,

치료 - 심각한 합병증이 있지 않는 한 병원에 입원할 필요는 없으며, 수두는 자연 치유되기 때문에 증상 위주의 치료만 시행

뇌염 등

- 피부 병변에 딱지(가피)가 형성되고 건조되기 전까지 감염성을 보이므로 격리가 필요

수족구 치료 증상

미열, 손과 발의 수포, 입 안 궤양

잠복기

3~7일

합병증

드물게 뇌막염, 뇌염,

- 수족구병에 대해서는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 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 수족구병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기침 예절 준수 등 개인위생 준수를 강화하고, 감염된 기간은

심근염이 발생

집에서 격리치료 - 수족구병에 감염된 어린이와의 입맞춤, 안아주기, 생활용품 함께 쓰기 등을 자제

11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유행성 각·결막염 PART 1

치료 충혈, 눈물, 눈곱, 이물감,

증상

- 세균감염을 방지를 위해 항생제를 안약이나 먹는

염증, 동통

약으로 투여하며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곱

잠복기

1~14일

때문에 눈을 뜰 수 없다면 자기 전에 항생제 안연고를

합병증

시력저하, 안구건조증 등

눈에 넣는 것이 좋음

PART 2

- 안대는 눈의 온도를 상승시켜 균을 더 잘 자라도록 하므로 보통의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음

홍역 치료 고열, 기침, 콧물, 결막염

잠복기

7~21일(평균 10~21일)

합병증

설사, 중이염, 기관지염,

PART 3

증상

- 홍역은 발진이 발생한 후 약 4일까지 매우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 다른 사람들과 접촉 하는 활동을 삼가

급성뇌염 등

- 쉬게 하면서 수분 공급을 충분히 해주고, 기침, 고열에 대한 증상조절 치료

감염병 관련 등교중지

PART 4

4

건강·안전생활

출처: 질병관리청

등교중지 기간 규정

PART 5

의료기관  진료 결과 감염병으로 확진되면 완치되어 전염력이 사라질 때까지 등교중지합니다. 등교중지  기간은 전염력이 없다는 의사의 진단 결과에 따르며, 기간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등교중지  기간은 ‘출석인정’으로 처리합니다. 등교중지가  필요한 감염병이 의심되는 경우도 확진 여부를 확인할 때까지 등교 중지를 하며, 진료 결과 감염병이 아니었다해도 결과 확인까지의 기간은 출석으로 인정합니다.

부록

등교 중지 후 제출 서류 진료확인서,  의사 소견서, 진단서 중 1부 제출

PART 4. 건강·안전생활

115

5

감염병 시 행동요령

출처: 학교현장 재난유형별 교육·훈련 매뉴얼(교육부, 2022)

TIP 올바른 손씻기 6단계

11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건강상태 자가진단 참여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PART 1

6

앱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증상이  있을 경우 자가진단앱을 통하여 건강 상태를 입력합니다. 이상이  있는 경우 등교하지 않고, 병원 방문하여 진료를 받습니다. PART 2

자세한  내용은 교육청 및 학교의 안내를 확인합니다.

PART 3 PART 4

건강·안전생활

건강상태 자가진단 참여하기

PART 5 부록

PART 4. 건강·안전생활

117

TIP

출처: 질병관리청(2022)

11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응급상황

1

PART 2

응급상황이 벌어지는 장소는 특별한 곳이 아니고 가정에서도 빈번하게 발생 하므로 응급상황에 맞는 처치법을 알아두면 응급상황이 닥쳤을 때 나와 내 가족의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응급상황의 예 PART 3

다량의  피가 나거나 지혈이 되지 않을 때 숨쉬기가  곤란하거나 기도의 확보가 되지 않을 때 중한  부상을 입어 속히 옮기거나 전문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할 때 의식이  없거나 자발적인 반응이 떨어질 때, 정신적인 판단이 떨어질 때

응급 상황에서는 먼저 119에 신고하고,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 까지 응급처치를 합니다.

차가운 물로 10~15분 냉각 - 물집은 터트리지 않고,

옮기기 - 찬물, 물수건, 선풍기를

벌에게 쏘였을 때 - 벌침이 남아있으면 카드로 밀어서 제거 - 상처를 비누와 물로

기도 폐쇄 - 환자뒤에발을벌리고 서기 - 두손을환자의명치와배

이용하여 빨리 체온을

씻고, 통증이 심한 경우

꼽중앙에놓고주먹을감

낮추기

얼음주머니로 냉찜질

싸쥐고세게밀어올리기

부록

화상부위에 붙어 있는

열사병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PART 5

화상 - 화상부위를 흐르는

PART 4

건강·안전생활

응급처치

물질은 떼어내지 않기

출처: 국민재난안전포털(2023)

PART 4. 건강·안전생활

119

심폐소생술

2

질병이나 사고로 호흡이 멎었거나 심장이 정지된 경우 4분 이내에 응급처치가 시행되어야 영구적인 뇌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8분 이내에 전문가의 처치를 받으면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확인

2. 신고

3. 압박

어깨를 두드리며 환자의

반응이 없을 시 119신고 및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요청하고 호흡을 확인합니다.

가슴 한 가운데를 분당 100~120회로

반응을 확인합니다.

4. 호흡

5. 반복

6. AED

기도를 열고 가슴이 부풀어 오르도록

가슴압박과인공호흡을30:2로

자동심장충격기(AED)가 도착하면

2회의 인공호흡을 합니다.

119구급대원이오기전까지반복합니다.

기계의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강하고 빠르게 누릅니다.

※ ‌질병관리청홈페이지(https://www.kdca.go.kr)-[알림·자료]-[홍보자료]-[영상자료] -‘심폐소생술’을 검색하시면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TIP 연령별 심폐소생술 방법 연령

압박 30번

생후-만1세 영유아

만1~8세 소아

만8세 이상 성인

손가락 2~3개

손꿈치 1개 또는 2개

손꿈치 2개

젖꼭지 사이 정중앙 바로 아래

가슴뼈 아래 1/2지점

가슴뼈 아래 1/2지점

가슴 4cm 깊이 / 분당 100~120회

가슴 4~5cm 깊이 / 분당 100~120회

가슴 5cm 깊이 / 분당 100~120회

2회 호흡 2번

❶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위로 들어올리기

12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❷ 코를 막고 입으로 숨을 두 번 불기

❸ 호흡할 때 가슴이 위로 올라오는 것 확인하기

1

PART 1

학교에 있는 안전장치 안심알리미(U-안심알리미)-등하교 알림 서비스

PART 2

운영 목적 초등학생 유괴·납치 사건 및 성폭력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등학생 대상의 안정적·지속적·일관성 있는 등하교 안전대책 마련의 필요로 안심알리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운영 내용 PART 3

대상: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중심 내용:  휴대용 기기로 위치추적, 긴급통화·문자 등 각종 안전 서비스 제공 ※ 별도의 이용요금이 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우선으로 경제적, 사회적 취약 계층 자녀 학생을 선지원

무상지원 적용 대상 · 취약계층(저학년 학생 우선 지원) - 경제적 취약계층(교육급여대상자)

- 사회적 취약계층(다문화, 장애, 탈북)



- 학교폭력 피해 학생 등

PART 4

건강·안전생활

후 일반학생을 지원합니다.

· 스마트폰 미보유자

PART 5

안심알리미  서비스’와 ‘U-안심알리미 서비스’ 가 있으며, 이 중에서 선택하여 운영합니다.(동시 운영도 가능) 구분

안심알리미

U-안심알리미

기능

등·하교 문자발송

긴급호출, 위치정보조회, 긴급 통화 문자, 웹 앱 서비스 제공

서비스  이용 신청 방법 부록

•학기 초 서비스 이용을 위한 신청 안내장이 배부되면 신청을 희망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신청하면 학생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안심알리미 기기가 지급됩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21

2

학생 보호 인력(학교 보안관)

운영 목적 지역사회 전문 인력을 활용하여 학교(성)폭력 및 유해 환경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여 안전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운영합니다.

활동 내용 운영 방법: 자원봉사 형태로 운영 학생 보호 자원봉사인력(학교 보안관)의 주요 활동 •학교 내·외부인 출입 안내 •등·하교 지도 및 교통안전 지도 •취약시간·취약지역 교내 및 학교 주변 순회지도

3

학교안전공제제도

학교안전공제제도는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교안전 사고로 생명·신체에 피해를 입은 학생·교직원 및 교육활동참여자에게 보상하기 위한 제도 입니다.

공제제도를 통해 보상되는 학교안전사고 수업, 특별활동, 현장체험활동 등 학교장 관리·감독 하에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 중 발생하는 사고는 공제회에서 보상 가능합니다. ※ 점심시간, 휴식시간, 통상적인 경로 및 방법의 등·하교 시간 등에 발생한 사고도 보상 가능 학교급식 등 학교장의 관리·감독과 관련한 업무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병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질병(일사병, 식중독, 이물질 섭취 등)도 공제회에서 보상 가능합니다.

12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사고발생

사고통지 학교

청구서 작성 학부모 또는 학교

서류제출

PART 1

학교안전사고 처리 절차 심사 및 결정

학부모 또는 학교

공제회

통지되지  않은 사고는 공제급여 보상이 불가능하므로, 사고가 발생하면 학교에 PART 2

사고통지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학생  치료 중 병원 등에서 발급받는 진료비영수증은 꼭 보관하셨다가 치료비 청구 시 제출하셔야 합니다.

공제급여에 대하여 PART 3

공제급여  •학교안전사고로 인해 입은 피해에 대해 학교안전공제회가 지급하는 요양급여, 장해급여, 간병급여, 유족급여, 장의비, 보전비용, 위로금 공제가입자  및 피공제자 •피공제자: 학생, 교직원 및 교육활동참여자 ※ 다른 법령(공무원연금법, 사립학교연금법, 산업재해보상법 등)으로 보상 받을 수 있는 경우, 공제급여 제한

PART 4

건강·안전생활

•공제가입자: 유치원장, 초·중·고등학교장 및 평생교육시설의 장

공제급여 청구 방법 학부모 또는 학교

언제

치료 종료 후(중간 청구 가능, 청구권 소멸시효 3년)

 교안전사고보상지원시스템(www.schoolsafe.or.kr)에 접속하여 학 청구서 작성 후 구비서류 파일을 첨부하여 온라인(PC, 모바일) 청구 또는 청구서를 내려 받아 수기 작성 후 구비서류와 함께 우편, 방문 제출하는 방식의 오프라인 청구

PART 4. 건강·안전생활

부록

어떻게

PART 5

누가

123

공제급여 청구 시 구비해야 서류 요양급여(치료비) 청구 시 •공제급여 청구서(청구인 서명 또는 날인)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청구인 통장사본 ※ 치료비가 50만 원 이상인 경우 등본 및 진단서 필요 장해, 유족급여 등 청구 시 •공제급여 청구서(청구인 서명 또는 날인) •장해 또는 사망진단서, 청구인 통장사본, 등본

TIP 대구시민 누구나 혜택받는 대구시민안전보험

출처: 대구광역시 공식 블로그

12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교통안전

어린이 교통사고 취약행동 특성 PART 2

▶ 시각적 감지 능력 부족 눈높이가 낮아 교통 상황을 일순간에 파악하기 어렵고, 주변 시야가 좁아 직접 물체의 방향으로 머리를 돌려야 그 물체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성인행동의 모방 PART 3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려는 경향이 강해 부모가 무단횡단을 하면 어린이도 무단횡단을 따라 하는데 이러한 사례가 사고로 연결됩니다.

▶ 전체보다 부분에 집중 현저하게 나타나는 부분에 주의를 집중하는 경향이 많아, 새로운 것, 인식하지 못합니다.

2

안전한 등하교를 위한 가정에서 지도

PART 4

건강·안전생활

놀랄만한 것,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 등을 보게 될 때 다른 주변의 것을

너무  이르거나 늦지 않게, 학교에서 안내하는 등교하는 시간에 맞추어 등교 PART 5

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학교를  마치면 바로 집에 올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친구  집에 갈 때는 부모님께 꼭 허락을 받고 가도록 지도합니다. 등·하교시  핸드폰은 핸드폰 가방에 넣어서 가지고 다니도록 하여 길에서 핸드 폰을 보면서 걷지 않도록 합니다. 날이  흐리거나 눈·비가 내릴 때는 밝은 색깔의 옷을 입습니다.

부록

밝은색  또는 투명한 우산을 사용하여 앞이 잘 보이게 하며, 우산을 눈보다 높이 들어 앞을 보면서 걸을 수 있도록 합니다. 교통질서를  잘 지키며 등교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25

3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어린이보호구역이란?(도로교통법 제12조)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주변도로 가운데 일정 구간을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자동차 등과 노면전차의 통행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해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내 안전 강화를 위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도로교통법 개정 하였습니다.(2020.3.25.) 안전속도 5030정책은 도심부 주요 도로의 제한속도를 기본 50km/h로, 주택가 도로 등 보행 위주 도로의 제한속도를 30km/h로 조정하는 교통 정책입니다.(2021.4.17.)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내 주정차위반 과태료가 상향되었습 니다.(2021.5.11.) 어린이 보호구역 내 주·정차 전면금지가 시행되었습니다.(2021.10.21.) 개정의 주요 내용 어린이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면 무기징역 또는 3년 이상의 징역형, 상해를 입으면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형

도로교통법 개정

특정범죄 가중법 처벌

· 무인 교통단속용 장비 설치가 의무화 되고, 연도마다 순차적으로 설치될 예정 · 횡단보도 신호기, 속도 제한 및 횡단보도 안전에 관한 안전표지, 과속방지시설 등의 안전 시설물을 설치

· 어린이보호구역 내 어린이 사망이나 상해사고를 일으킨 가해자는 가중 처벌

출처: 도로교통공단(2021)

TIP 부모님!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이렇게 해 주세요

126

어린이보호구역 내 주정차 금지

어린이보호구역 내 서행운전

어린이보호구역 내 일시정지

보호자와 운전자 서로를 못 볼 수 있으니 주정차를 해서는 안돼요.

어린이가 도로로 갑자기 뛰어 나올 수 있으니, 좌우를 잘 살피며 서행하세요.

횡단보도에서 어린이가 앞만 보며 나올 수 있으니, 일시 정시 후 출발하세요.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어린이보호구역 횡단 방법

PART 1

4

PART 2 PART 3

출처: 행정안전부

PART 4

건강·안전생활

이것이 궁금해요

‌1학년이 되어 학교를 보내려니 걱정입니다. 가정에서 통학 지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PART 5

PART 4. 건강·안전생활

부록

•교통 안전지킴이를 활용하거나 학교 통학 환경 점검 등 통학로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실시합니다. •입학하기 전 아이와 함께 통학로를 걸어보면서, 집에서부터 혼자 걷는 거리의 반경을 점차 넓혀가며 통학로를 익히는 연습을 합니다. 연습을 할 때에는 등·하굣길의 위험 지역을 함께 확인하고, 횡단보도를 몇 번 건너는지, 눈에 띄는 건물이나 가게는 어디인지 자녀가 길을 익힐 수 있도록 설명해 주세요. 또한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는 안전 수칙을 함께 실천하며 평소 실제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게 도와 줍니다.

127

재난대응

1

학교에서 실시하는 안전교육

7대 안전교육 표준화에 의한 체계적인 안전교육 학년별 51시간 이상 실시 생활 안전교육

교통 안전교육

폭력예방, 신변 보호교육

약물 및 사이버중독 예방교육

재난 안전교육

직업 안전교육

응급 처치교육

12시간

11시간

8시간

10시간

6시간

2시간

2시간

안전교육 실시 방법 •창의적 체험활동(1~2학년): 안전한 생활 •창의적 체험활동 및 교과시간(3~6학년) •조·종례 시간 및 각종 행사 전, 현장체험학습 운영 전과 활동 중·후 실시 •주말 전일, 방학(단기, 여름, 겨울)전 상황별 안전교육을 실시

재난대피훈련 등 실제 체험중심 교육 민방위훈련,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화재대피훈련 실시하여, 재난별 대피 방법을 익히고, 학교 내 비상대피로를 따라 안전한 장소로 대피 방법을 익히고 있습니다.

수상 안전 교육 3~4학년 수영 실기교육 필수 운영 연구시범학교, 수영장 보유 학교, 에어돔 활용 이동식 수영장 운영 학교에서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수영 실기교육을 실시합니다.

12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2

자연 재난에 따른 대응 PART 1

재난이 발생하면 방송 매체(TV, 라디오) 및 인터넷(기상청)을 통해 기상상황을 확인합니다. 등교 시간 조정 및 휴업 여부를 확인합니다.(학교홈페이지 공지, 문자 확인)

PART 2

출처: 학교현장 재난유형별 교육·훈련 매뉴얼(교육부, 2022)

황사·미세먼지 대응 행동 요령 등·하교

· 황사용 마스크, 손수건, 휴지 등을 준비 · 황사·미세먼지가 짙은 경우 교차로, 횡단보도를 건널 때 안전에 유의

PART 3

· 창문을 닫고 실외활동을 자제 - 공기청정기, 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 가정

- 외출 시 손수건이나 휴지, 마스크, 보호용 안경, 긴 소매 옷 착용 · 황사·미세먼지가 지나간 후 실내 공기를 환기 · 외출 후 입은 옷은 즉시 털고 세탁

PART 4

건강·안전생활

PART 5

TIP

생활하는 지역의 대기정보를 알 수 있는 곳

부록

에어코리아(http://www.airkorea.or.kr/)

에어코리아 앱(휴대폰)

PART 4. 건강·안전생활

129

지진 대응 행동 요령 · 책상 밑으로 들어가 머리를 보호 교내 (건물 안)에 있을 경우

- 책상, 탁자 아래에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 잡기 - 근처에 책상이 없을 때는 손이나 책·방석 등으로 머리보호 - 흔들림이 멈추면 출입문 개방, 전열기 및 전원 차단 - 밖으로 나와 최대한 건물로부터 멀리 대피

실외에 있을 경우

· 머리를 보호하며 넓은 공간으로 대피 - 손이나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기 - 흔들림이 멈추면 재빨리 주변의 안전지대로 이동 - 학교 외벽(담벼락)이 건물보다 쉽게 붕괴될 수 있으므로 절대 기대지 않기

태풍ㆍ집중호우ㆍ낙뢰 대응 행동 요령

등·하교

가정

130

· 집중호우로 인하여 빠르게 흐르는 물은 피하기 · 벼락이 치면 몸을 낮추고 건물 안이나 움푹 파인 곳으로 대피 · 물이 고인 웅덩이는 피하고, 간판 등의 낙하물이 있는 곳을 벗어나서 보행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은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우회하여 안전한 길로 등교 · 침수되거나 고립 시 옥상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 구조를 요청 · 가족과 재난대책회의를 가져 비상 시 연락방법, 대피장소를 정하기 · 외출은 삼가되, 부득이 외출할 경우 등·하교 시 행동요령을 따르기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등·하교

· 자외선 차단제로 피부를 보호 · 최대한 햇볕을 피해 그늘로 등교 · 가볍고 얇은 옷을 입고, 모자나 양산 등으로 햇볕을 가리기 · 밀폐된 차 안에 혼자 있지 않음 · 냉방병 예방을 위한 적정온도를 유지 · 창문을 커튼이나 천 등으로 가려 직사광선을 최대한 차단 · 균형 있는 식사 및 식품 안전(물은 끓여 마시고, 날음식은 삼가며, 유통기한을 확인하여 변질이 의심되면 버리기)을 철저히 하기

PART 2

가정

PART 1

폭염 대응 행동 요령

PART 3 PART 5

가정

· 걸을 때 주머니에 손을 넣지 않음(낙상방지) · 횡단보도, 도로 주변, 경사지에서 차량 안전에 유의 · 걸을 때 빙판길이 있는지 확인하고, 최대한 피해서 걷기 · 경사진 빙판길을 지날 때 낮은 자세로 지지물을 잡고 조금씩 걷기 · 체온 유지 용품(옷, 모자, 장갑, 신발 등)을 준비(구두 착용 자제, 미끄러운 신발, 슬리퍼 신지 않기)

PART 4

등·하교

건강·안전생활

대설·한파 대응 행동 요령

· 폭설로 고립 시 건물 밖에 고립표식(적색)을 하고 119에 구조를 요청 · 외출을 삼가되 부득이 외출할 경우에는 등·하교 시 행동 요령을 따르기

부록

PART 4. 건강·안전생활

131

산사태 대응 행동 요령 ·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산지 주변에 가지 않기 교내

· 경사면에서 물이 솟는 등 산사태 징후를 발견했을 때는 즉시 대피하고 119로

(건물 안)에 있을 경우

신고 · 근처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면, 산사태 발생 방향과 수직 방향의 가장 가까운 높 은 곳으로 이동 · 여름철 우기 및 태풍 발생 전, 집 근처 배수시설 등을 사전에 점검하고 위험요 인 발견 시 주민센터 등 지자체에 도움을 요청

실외에 있을 경우

· 산사태 취약지역 및 산 인근에 사는 경우 대피 장소를 미리 확인 · 주민대피령이 발령되면 지정된 대피 장소로 공무원의 지시에 따라 신속히 대피

지진해일 대응 행동 요령

등·하교

· 해안가에 있을 때 지진을 느끼거나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재난문자 등) 빨리 해안이나 하천을 벗어나 긴급대피장소나 높은 곳으로 대피 - 피할 시간이 없다면 주변에 있는 튼튼한 건물의 3층 이상인 곳 또는 해발고 도 10m 이상인 곳(언덕, 야산 등)으로 대피 ※ 지진해일이 오기 전에는 해안의 바닷물이 갑자기 빠져나가거나, 기차와 같은 큰 소리를 내면서 다가 오기도 한다. ※ 지진해일은 한 번의 큰 파도로 끝나지 않고, 수 시간 동안 여러 번 반복될 수 있어 지진해일특보가 해 제될 때까지 대피장소에서 머무른다.

가정

132

· 내가 사는 지역이 지진해일의 위험이 있는 지역인지 확인하고, 주변의 긴급 대피장소 위치 등을 미리 알아두기 ·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학교폭력이란?

PART 2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 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 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학교폭력

PART 3

학생 대상 으로 학교 내 또는 교외 에서 신체, 정신, 재산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

2

학교폭력 유형 및 예시

따돌림

장난을 가장해서 심하게 때리거나 밀치는 행위 등

말로 위협하거나 협박하는 행위 등

다른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게 하는 행위 등

사이버폭력

금품갈취

성폭력

PART 5

언어폭력

PART 4

건강·안전생활

신체폭력

강요

부록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돈이나 물건을 빼앗거나 성적모멸감을느끼도록 본인의의사에반하는 남에게 해를 가하는 감추는 행위 등 신체적접촉을하는행위등 행동을강요하는행위 행위 등 출처/이미지 출처: 에듀넷 도란도란 학교폭력예방 홈페이지

PART 4. 건강·안전생활

133

3

학교폭력의 징후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징후 지각이나 결석이 잦습니다. 성적이 갑자기 혹은 서서히 떨어집니다. 갑자기 최근에 안색이 안 좋고 평소보다 기운이 없습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징후 반항하거나 화를 잘 냅니다. 귀가시간이 늦거나 불규칙합니다. 다른 학생을 종종 때리거나, 동물을 괴롭히는 모습을 보입니다.

사이버폭력 피해 징후 불안한 기색으로 정보통신기기를 자주 확인 하고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단체 채팅방에서 집단에게 혼자만 반복적으 로 심리적 공격을 당합니다. 온라인에 접속한 후, 문자메시지나 메신저를 본 후에 당황하거나 정서적으로 괴로워 보입 니다.

13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교폭력의 예방법

PART 1

4

학교폭력을 당하지 않는 자기 조절법 폭력 발생 시 신고할 수 있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도록 합니다. 비싼 물건은 가지고 다니지 않도록 하고, 소지품이나 돈을 자랑하지 않도록 합니다. 가벼운 놀림이나 조롱에 대해서 ‘싫다’는 의사를 단호하게 표현해야 한다는

PART 2

점을 강조합니다.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호신술을 익히거나 호루라기 등 호신용 도구를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합니다. 외출 시에는 만나는 사람과 장소, 목적, 귀가 시간을 사전에 알리도록 합니다.

PART 3

학교폭력을 가하지 않는 자기 조절법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 보도록 합니다. •단순한 장난이라도 상대방은 괴로워할 수 있으며, 자신도 다른 사람에게서 폭력으로 괴로움을 당할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세요. 화가 날 때는 감정을 조절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니다. · 멈추기

그 자리를 피하거나 하던 말이나 행동을 멈추기

· 생각하기

화를 가라앉히기 위해 심호흡을 여러 번 크게 하기

· 표현하기

화가 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상대방에게 천천히 이야기하기

PART 4

건강·안전생활

감정조절 방법

친구와 다툴 경우에는 대화로 해결하고 친구들이 싸우는 곳에는 가지 않도록 PART 5

합니다.

TIP 학교폭력! 알아두세요. •평소 자녀에 대한 생활지도 시 ‘사소한 괴롭힘’, 아이들이 ‘장난’이라고 가장한 행위도 학교폭력임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분명하게 가르쳐야 합니다.

부록

※ ‌가해자가 학생이 아닌 경우에도 필요 시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35

5

학교폭력의 대처방법

학교폭력의 가장 좋은 대처법은 빠른 신고입니다. 신고하지 않고 방치하면 학교폭력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신고를 통해 학교폭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고 심각한 경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걸쳐 해결합니다.

언제 신고하나요? 자녀 또는 자녀의 친구가 학교폭력을 당할 때, 주저하지 말고 담임 선생님께 도움을 요청합니다. 학교폭력 신고는 ‘고자질’이 아니라 정의를 실천하는 것입니다. 고자질쟁이는 자기만의 이익을 위해 선생님이나 어른에게 이야기하는 것이고, 신고는 나뿐만 아니라 학생 전체를 위해서 알리는 것임을 아이에게 말해 주어야 합니다.

어떻게 신고하나요?(교내 신고 방법) 구두, 이메일, 휴대전화(담임교사, 책임교사, 보건교사, 상담교사, 교감) •학교폭력이 발생한 구체적인 날짜, 장소, 학교폭력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이야기합니다. 선생님이 질문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주저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감정적으로 있었던 사실을 부풀려 이야기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설문조사(모든 학생에게 신고 기회 부여) 학교홈페이지(학교홈페이지 비밀 게시판 활용)

학교 내 신고가 두렵다면(교외 신고 방법) 117 학교폭력 신고센터(24시간 상담, 신고, 도움 운영) •전화: 전국에서 국번없이 117 •문자: #0117 휴대전화 문자신고 •인터넷: ‘안전Dream’으로 검색하여 신고(http://www.safe182.go.kr) •방문: 117센터에 방문하여 신고·상담 학교전담경찰관(문자 또는 전화로 신고)

13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6

학교폭력 사안 처리 흐름도

PART 2 PART 3 PART 4

건강·안전생활

PART 5 부록

출처: 에듀넷 도란도란 학교폭력예방 홈페이지

PART 4. 건강·안전생활

137

7

학교폭력에 대한 학부모의 자세

학교폭력 피해를 당했을 때 대처법 자녀에게  비난보다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해 주고 문제를 끝까지 잘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과 확신을 심어 주어야 합니다. 빨리  피해 상황에 대한 정확한 사실을 확인하고 피해 상황을 정확히 기록합니다.

피해 상황을 확인할 때는 · 가해 학생 신분 확인 · 피해 사실이 큰 경우 ‘언제, 어디서, 누가, 어떻게’ 했는지 ‘얼마 동안 일어난 일인지’ 자녀에게 물어서 작성 · 자녀가 상해를 입은 경우에는 보건 교사나 의사에게 자문하여 피해 사실을 입증할 객관적 자료를 준비 · 주변 친구의 증언과 물증(사진과 녹음 등), 다친 경우 의사의 진단서 등을 증거 자료로 확보

학교폭력 가해를 했을 때 대처법 자녀가  학교폭력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모른 척하거나 감싸기보다는 잘못을 객관적으로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자녀가  폭력을 행사한 주변 상황과 근본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자녀에게  피해 학생의 피해 상황과 고통을 객관적으로 알려 주고 자녀가 피해 학생과 입장을 바꾸어 생각해 보게 합니다. 가해  학생 부모는 피해 학생 또는 그 부모에 대해 최대한의 성의를 보입니다. 자녀에게는  피해 학생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알려주고 진심으로 사과하고 다시는 폭력을 행사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게 하는 한편 재발 시 가중처벌 받음을 인식시킵니다.

13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학교폭력인지 아닌지 모호한 경우가 있는데 어떻게 판단하지요? PART 2

‌ 교폭력의 기준은 때리거나 괴롭히는 가해자 입장이 아닌, 모든 것을 학 피해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나는 장난으로 했는데 상대방이 상처를 받았다”면, 이것은 학교폭력입니다. 돈을 빌린 것과 갈취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 돈을 빌려 간 사람에게 언제든 갚으라고 편안하게 말할 수 있으면 빌려준 것이고, 무서워서 갚으라고 말 못하면 갈취 즉, 뺏는 것입니다.

PART 3

‌장난과 폭력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장난은 모두가 즐겁게 웃어야 해요. 한쪽이라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 으로 괴로우면 폭력입니다. ‌친구의 SNS에 장난으로 ‘나쁜 X, 못된 X’라고 몇 자 적었는데, ‌ 평소 사용한 ‘나쁜×, 못된×, 도둑×, 미친×’ 등은 모두 언어폭력이며, 이것은 상대방의 인격을 비방하는 모욕에 해당합니다. 휴대전화로 욕설 문자를 보내는 것도 모욕, 협박에 해당된다는 것 잊지 마세요.

PART 4

건강·안전생활

이것도 학교폭력인가요?

PART 5

TIP 학교폭력! 이것만은 반드시 기억하세요! •학교폭력은 피해 학생 혼자서는 절대 해결할 수 없습니다. •학교폭력은 학생들이 진급하면서 조직화되고 있습니다.

부록

•사소한 장난, 정서적 괴롭힘도 학교폭력입니다. •학교폭력은 신고가 최선의 예방입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39

성폭력 예방 및 대처방법

1

성폭력의 정의와 유형

성폭력이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성을 매개로 가해지는 모든 폭력(신체적·심리적· 언어적·사회적)행위로 성희롱, 성추행, 성폭행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적자기 결정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성폭력 피해 관련 개념 성희롱: 타인에게 정신적·신체적으로 성적인 불쾌감과 피해를 주는 행위로 상대방의 의사와 관계없이 성적인 수치심을 주는 말이나 행동을 의미합니다. 성추행: 일방적인 성적 만족을 얻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신체접촉을 가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성적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성폭행: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강간, 강제추행 등을 포함합니다.

2

성폭력 피해 후의 징후

잠들기 어렵거나 악몽에 시달립니다. 지나치게 자주 씻는 등 청결에 대한 강박적 행동을 보입니다. 평소와 다르게 까다롭거나 갑작스러운 극도의 수줍음을 보입니다. 낯선 사람에 대한 지나친 공포, 어둠에 대한 갑작스러운 공포감을 느낍니다. 안정감 상실과 정상적인 시간표에 부적응이 생기며 학교생활에 변화가 옵니다. 음식을 거부하거나 선호하는 오락, 텔레비전 프로그램, 활동 등을 즐기지 못합 니다. 고민이 있는 것처럼 보이며 안절부절못하는 행동이 증가하고 분노가 폭발할 수도 있습니다. 신체적 손상, 비뇨기와 관련된 질병이나 두통, 위장 장애와 같은 신체적 질병의 징후가 보입니다.

14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성폭력 예방 교육 방법

PART 1

3

자신과  타인의 몸을 소중히 여기도록 가르칩니다. 신체구조와  차이에 대해 솔직하고 자연스럽게 깨우쳐 줍니다. 자녀  역시 다른 친구의 신체 부위는 함부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를 줍니다. PART 2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피할 수 있도록 상황에 맞는 표현과 대처 방법을 가르쳐 줍니다. ※ 칭찬 등을 핑계로 자꾸 몸을 만지려는 어른이 있으면 한 걸음 물러나며 “고 맙습니다. 그런데 몸을 만지는 건 싫어요.” ※ 차량, 골목, 계단 등 인적이 없는 으슥한 곳으로 데려가려 할 때는 “싫어요.

PART 3

엄마한테 갈래요.” 하며 엄마나 선생님 있는 방향으로 뛰어오도록 합니다. 만약  누군가(잘 아는 가까운 사람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몸을 만지거나 만지려고 하는 일이 있었다면 바로 교사나 부모에게 이야기하도록 합니다. 학교(유치원),  통학로와 집 근처 약국, 편의점, 이웃집 등 위급할 때, 도움을 청할 곳 (학생 안전 지킴이)을 알려주고 미리 위치와 안면 등을 익혀두도록 합니다.

성폭력 발생 직후 대응 절차

의심되는 경우

PART 4

건강·안전생활

4

• 자녀의 성폭력 피해가 의심되나 확실하지 않은 경우 - 여성 긴급전화 1366(국번없이 1366), ONE-STOP 지원센터(대구의료원), 해바라기아동센터(경북대병원 맞은편), 성폭력상담소, 아동보호전문

PART 5

기관(1577-1391)에 연락하여 문의 및 상담 피해를 알게 된 경우 • 경찰(112)이나 ONE-STOP 지원센터에 신고 신고 직후(증거수집) • 성폭력이 의심되는 근거들을 보존 - 가해자 식별의 주요 단서가 되는 의학적 근거는 진찰을 받아야 얻을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하기 때문에 신속한 조치가 필요 • 학교에 연락한 후 긴밀히 협력하고 지원 및 배려를 요청



• 사건 수사, 민사 소송 등 법적 문제, 자녀 치료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부록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성폭력 상담소 등 전문기관과 긴밀히 협력

PART 4. 건강·안전생활

141

성범죄 상담기관 단체

위치 및 연락처

대구해바라기센터(아동)

중구 국채보상로140길 32, ☎421-1375

대구해바라기센터

서구 평리로157, ☎556-8117

대구여성통합상담소

중구 서성로 14길 112, ☎745-4502

대구여성장애인통합상담소

달서구 월배로 410, ☎637-6064

대구여성의 전화부설 여성인권상담소 피어라

남구 봉덕로41, ☎471-6483

대구경찰청 여성청소년과

☎804-7045

여성긴급전화

☎1366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1388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02-735-8994

경찰 신고 어플리케이션

112긴급신고, 스마트국민제보

5

디지털 성범죄

디지털 성범죄란? 디지털 기기 및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온·오프라인상에서 발생하는 폭력으로, 동의 없이 상대의 신체를 촬영하거나 유포·유포 협박·저장·전시하는 행위 및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의 성적 자율권과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포괄합니다.

디지털 성범죄 유형

웹하드, 포르노 사이트, SNS 등에 업로드, 단톡방에 유포

가족이나 지인에게 유포하겠다는 협박, 이별 후 재회를 요구하며 협박, 유포협박으로 금전요구 등

비동의 유포 재유포

유포, 협박

사이버 공간 내에서 성적 내용을 포함한 명예훼손이나 모욕 등의 행위

성적 괴롭힘

불법 촬영

유통, 공유

사진 합성

치마 속, 뒷모습, 전신, 얼굴, 나체 등 용변 보는 행위, 성행위 등

웹하드, 포르노 사이트, SNS 등의 사업자 및 이용자

피해자의 일상적 사진을 성적인 사진과 합성 후 유포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피해 촬영물, URL 등의 증거 확보

14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상담신청 www.women1366.kr/stopds 전화 02-735-8994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센터에 삭제 요청

디지털 성범죄를 예방을 위한 7가지 안전수칙 PART 1

아동이 알아야할 디지털 성범죄 예방 안전수칙 7가지 •타인의 사진, 영상을 퍼뜨리겠다고 위협하지 않습니다! •타인의 사진, 영상에 성적 이미지를 합성하지 않습니다! •나와 타인에 대한 개인정보를 올리거나 전송하지 않습니다! •잘 모르는 사람이 보낸 인터넷 링크나 파일을 클릭하지 않습니다!

PART 2

•타인의 동의 없이 사진, 영상을 찍지도, 보내지도, 보지도 않습니다! •촬영, 유포, 협박 등으로 두려움을 느낄 때 전문기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잘 모르는 사람이 개인정보를 묻거나 만남을 요구하면 어른에게 알립니다! 부모님이 알아야 할 디지털 성범죄 예방 안전수칙 7가지 •피해 사실을 알았을 때 전문기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아동·청소년의 피해 사실 관련 증거자료를 수집합니다!

PART 3

•아동ㆍ청소년의 온라인 활동에 관심을 갖고 충분한 대화를 나눕니다! •개인정보를 온라인에 올리거나, 타인에게 전송하지 않도록 알려줍니다! •잘 모르는 사람이 개인정보를 묻거나 만남을 요구하면 반드시 알릴 것을 당부합니다! 알려줍니다! 출처: 여성가족부(2020)

PART 4

건강·안전생활

•불법촬영, 비동의 유포, 성적 이미지 합성 등 디지털 성범죄 위험성에 대해

TIP PART 5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센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센터이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라면 누구나 상담을 신청할 수 있으며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전화번호 ☎02-735-8994) •상담과 피해 촬영물에 대한 삭제지원을 받으실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https://d4u.stop.or.kr/

부록

수 있고, 또한 기존 성폭력 피해자 지원 제도와 관련 연계 기관을 활용하여 피해자가 원하는 수사와 법률 등의 지원, 의료·심리치유 지원, 쉼터로의 연결 등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43

TIP 디지털 성범죄에 이렇게 대처해요!

출처: 대구광역시교육청

14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아동학대란?

PART 2

1

PART 1

아동학대 예방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 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동학대자 및 유형별 현황

PART 3

PART 4

건강·안전생활

출처: 2021 아동학대주요통계 - 보건복지부 아동학대대응과(2022.8.)

TIP PART 5

아이지킴콜 112 앱 •아동학대 정보 검색과 점검 그리고 신고까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보건복지부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함께 제작한 모바일 앱

부록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앱 스토어’에서 ‘아이지킴콜’ 또는 ‘아동학대’를 검색 후 설치(무료)

PART 4. 건강·안전생활

145

아동학대의 유형 및 처벌

2

신체학대 •아동에게 행하는 신체적 폭력 및 가혹 행위 •직접적으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 도구를 사용하여 신체를 가해하는 행위, 완력을 사용하여 신체를 위협하는 행위, 신체에 유해한 물질로 신체에 가해하는 행위

아동복지법

처벌 아동학대처벌법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상해, 폭행, 특수폭행, 폭행치상 등으로 처리 가능함. 특히 아동학대치사 시 무기징역 및 5년 이상 징역에 처함.

정서학대 •아동에게 행하는 언어적 모욕,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 •언어적 폭력행위, 정서적 위협, 형제나 친구 등과 비교·차별·편애·왕따 시키는 행위, 아동에게 비현실적인 기대 또는 강요를 하는 행위

아동복지법

처벌 아동학대처벌법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체포/감금(미수), 중체포/감금(미수), 특수체포/감금(미수), 체포감금치상, 협박(미수), 특수협박(미수) 등으로 처리 가능

성학대 •자신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18세 미만의 아동에게 행하는 모든 성적 행위 •자신의 성적 만족을 위해 아동을 관찰하거나 아동에게 성적 노출을 하는 행위, 아동을 성적으로 추행하는 행위, 아동에게 유사성행위를 하는 행위, 성교를 하는 행위, 성매매를 시키거나, 성매매를 매개하는 행위 등

아동복지법

처벌 아동학대처벌법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 •강간(미수), 유사강간(미수), 강제추행(미수), 준강간, 추행 등 목적 약취/유인, 인신매매 등으로 처리 가능

방임 •물리적 방임: 기본적인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은 행위, 상해와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지 않은 행위 •교육적 방임: 보호자가 아동을 학교(의무교육)에 보내지 않거나 아동의 무단결석을 방치하는 행위 등 •의료적 방임: 아동에게 필요한 의료적 처치 및 개입을 하지 않는 행위 •유기: 아동을 보호하지 않고 버리는 행위, 아동을 병원에 입원시키고 사라진 경우 등

아동복지법

처벌

14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아동학대처벌법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유기, 학대, 아동혹사, 유기 치상 등으로 처리 가능

3

가정폭력이란? PART 1

남편과  아내, 부모와 자녀, 형제자매 및 기타 동거가족을 포함한 가족구성원 중의 한 사람이 다른 구성원에게 의도적으로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거나, 정신적인 학대를 통하여 고통을 주는 행위입니다. 법에서  정의하는 가정폭력은 가족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4

PART 2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입니다.(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제2조제1호)

가정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서로  간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합니다. 다툼이  있을 때, 상대방을 비난하지 않고, 서로 공감하면서 대화하는 기술을 PART 3

익혀야 합니다. 부모는  자신 말과 행동, 교육이 아이에게 큰 영향력이 가짐을 알고, 가족 내에서의 가족구성원의 의견에 경청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5

가정폭력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범죄피해자  보호 지원기관 또는 여성·학교폭력피해자 해바라기 센터 이주여성  전화 다누리콜(☎1577-1366): 13개국 모국어 상담가능

PART 5

이것이 궁금해요

PART 4

건강·안전생활

여성긴급전화센터(☎국번없이  1366)

부부싸움은 남의 집 일이니 내가 상관할 바가 아니다? 가정폭력은 ‌ ‘싸움’이 아닌 ‘학대’이며, 외부의 개입 없이 막기 어려운 폐쇄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변의 관심과 신고가 가정폭력을 멈출 수 있습니다. 내 아이니까 내 마음대로 때릴 수 있다?

부록

‌ 자녀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독립적인 인격체입니다. ‘체벌’은 벌이 아닌 폭력이며, 누구에게도 타인의 신체를 훼손할 권리는 없습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47

자녀를 지도할 때 기억해야 할 3가지

6

어떠한 경우라도

심호흡과 함께

사랑스런 눈빛과 함께

때리지 마세요

감정을 추스르고

아이에게 알려주세요

체벌은

아이와

상황에 대해

지도가 될 수 없습니다.

눈을 맞춰주세요!

충분히 설명해 주세요!

7

발달단계에 따른 바람직한 양육법

8~13세의 어린이 발달 단계 특성 자아가 형성되며 정체성을 확립 사회적 질서를 배워가는 시기 친구와 집단 활동에 많은 관심 천성적 기질이 극대화

자녀를 지도하는 바람직한 방법 자녀를 존중하는 권위 있는 부모가 되어줍니다. 자녀의 성장과 안녕을 위해 부모로서의 책임과 사명감을 가집니다. 자녀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자라도록 해줍니다. 자녀의 부적절한 행동을 가족 전체 속에서 보려는 노력을 기울입니다. 자녀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자녀를 중심으로, 자녀와 함께 의사결정을 합니다. 가치와 존엄을 존중하고, 자녀에게 애정과 격려를 통해 긍정적 발달을 도와줍 니다.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가지는 동시에 자녀의 의견을 소중히 여기고 귀 기울여 줍니다. 자녀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질서나 규칙을 함께 선정하고, 합의하여 지켜나가 도록 도와줍니다. 부모 자신의 긍정적·낙천적·진취적인 삶의 가치들을 자녀에게 전해주는 훌륭 한 모델이 되어줍니다. 14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실종·유괴 예방 유괴범에 대한 편견

PART 2

유괴범이  꼭 무섭게 생긴 것은 아닙니다. 교육 자료에 유괴범이 무섭게 그려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개념을 심어 줄 수가 있습니다. 유괴범일수록 선한 인상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는  사람도 유괴범이 될 수 있습니다. 아는 사람이라 해도 보호자와 함께 있지 않을 경우에는 조심해야 한다고 가르쳐야 합니다.

PART 3

항상  어른에 대해 복종하고 겸손해야 한다고 강조하지 않습니다. 학생의 믿음과 존경을 나쁘게 이용하는 어른들이 있음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2

유인행동의 유형 부모가 병원에 입원했다고 하거나 부모님과 아는 관계라고 거짓말하여 유인하는 방법으로, 어린 학생들은 가족이 아프다고 하면 쉽게 믿게 됩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위급상황 이용

도움 요청 학생에게 길을 가르쳐 달라고 하거나 짐을 집에까지 들어 달라고 부탁합니다.

PART 5

물건 이용 과자를 사 주거나 돈을 주는 방법은 고전적인 방법이나 지금도 잘 이용되는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이름 이용 소지품에이름을새겨주는경우,유괴범이이름을부를수있습니다.이는학생들에게유괴범을낯선 사람이아닌사람으로착각하게만드는경우가있어이름은안보이는안쪽에쓰도록합니다.

부록

권위 이용 어른에게 예의 바르게 행동해야 한다고 가르치는 경향이 강해 이러한 예절을 악용하여 유괴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49

3

실종 및 유괴 예방법

부모님이 알아 두어야 할 수칙 아이의 지문 등 사전 정보를 미리 등록하세요. 지문과 사진 등 신상 정보를 경찰시스템에 미리 등록해 실종되었을 때, 등록된 자료를 활용해 신속히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안전Dream홈페이지, 가까운 지구대나 경찰서에서 등록 가능 자녀를 혼자 두지 마세요. 아이를 혼자 집에 두고 다니는 일은 삼가고, 특히 아이가 잠든 틈에 외출 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외출 시에는 항상 자녀와 함께 다니세요. 아이와 함께 가까운 곳에 외출했을 때에 잠시도 아이 혼자 두지 않습니다. 특히, 가까운 백화점, 슈퍼, 시장, 쇼핑몰, 영화관, 공원, 공중화장실 등에서 주의하세요. 목걸이, 팔찌, 이름표 등 인식표를 활용해요. 아이가 너무 어리거나 장애가 있어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항상 연락처가 적힌 목걸이, 팔찌, 이름표 등 인식표를 착용 ※ 인식표가 바깥으로 쉽게 드러나지 않도록 해주세요. 자녀에 관한 정보들을 기억해 주세요. 자녀의 키, 몸무게, 생년월일, 신체 특징, 버릇 등 상세한 정보를 알아두는 것은 실종 학생 예방 및 발생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매일매일 자녀가 어떤 옷을 입었는지 기억해두고, 아이의 인적 사항을 적어둔 카드를 집에 비치해둡니다. 자녀의 하루 일과와 친한 친구들을 알아두세요. 집에 오지 않는 아이를 신속히 수소문할 수 있으려면 아이가 누구와 놀고 있는지를 알아두어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자녀 사진을 찍어두세요. 실종학생이 발생할 때 아이들은 특히 성장이 빠르므로 너무 오래된 사진은 찾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15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자녀에게 가르쳐야 할 수칙 낯선  사람을 따라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 처음 보거나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을 따라가지 않도록 주의시키고, 구체적인

PART 2

예를 들어 설명해줍니다. 길을 가르쳐 달라거나 부모 또는 선생님이 데려오랬다고 접근할 때도 단호히 거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위급상황  시 대처 방법을 알려 주고 충분히 연습합니다. 놀이공원 등에서 길을 잃을 경우 그 자리에 멈춰 서서 기다리거나 주위 어른들 또는 경찰관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하는 연습을 해 봅니다. 마트, 편의점, 문방구,

PART 3

약국 등 사람이 많거나 친근한 장소로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아동안전지킴이집」 · 학교 주변에는 위험한 상황에 처한 아이들을 보호해주는 ‘아동안전지킴이집’이 있습니다. 위험한 상황에서는 ‘아동안전지킴이집’

PART 4

건강·안전생활

스티커가 부착된 가게에 들어가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세요. · 아동안전지킴이집 찾기 사이트 http://www.safe182.go.kr/keeperMain.do

아이에게  이름과 나이, 주소, 전화번호, 부모 이름 등을 기억하도록 가르칩니다. 단순히 길을 잃었을 때는 이름과 연락처 등을 아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PART 5

평소에 익숙해지도록 반복해서 연습을 하도록 합니다. 밖에  나갈 때는 누구랑 어디에 가는지 꼭 이야기하도록 가르칩니다. 아이가 반드시 어디서, 누구와, 언제까지 놀 것인지 알리고 나가도록 합니다. 유괴를  당했을 때 침착하게 대응하도록 가르칩니다. 아이가 유괴를 당했을 때 심한 저항을 하거나 울거나 하여 죽임을 당하는 사례가 있으므로 유괴범의 말을 잘 따르고 주는 음식을 잘 먹어 힘을 비축한 후

부록

탈출 상황을 엿볼 수 있도록 가르칩니다.

PART 4. 건강·안전생활

151

이것이 궁금해요

‌어른들을 보면 인사하라고 하는데 낯선 사람이라고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뭔가요? ‌ 괴범은 낯선 사람을 포함하여 아이들과 안면이 있거나 심지어는 부모 유 와도 잘 알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낯선 사람을 경계하도록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아는 사람이라도 무작정 따라가지 않고 부모님께 먼저 말씀드리는 습관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놀이터에서 길 잃은 아이를 보았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① 아이의 불안한 마음을 잘 달래어 진정시켜 주세요. ② 그 자리에 서서 함께 아이의 부모를 기다립니다. ③ 아이의 이름과 연락처 등을 물어봅니다. ④ 혹시 안내방송이 가능하다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⑤ 112나, ‌ 경찰청 실종아동찾기센터(국번없이 182)에 신고하시고 인근 치안센터에 데려다줍니다. ※ 절대로 집으로 데려가지 마세요! (유괴범으로 오인)

TIP 실종 예방 3단계 구호 아이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게 반복하여 지도해 주세요.

152

1단계

2단계

3단계

멈추기

생각하기

도움 요청하기

평소 아이에게 길을 잃거나 부모님이 보이지 않으면 그 자리에 멈춰서 부모님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합니다.

혼자 부모님을 기다리며 서 있기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자신의 이름과 연락처 등을 생각하며 기다리게 합니다.

부모님이 찾으러 갈 수 없을 때나 자녀가 길을 잃었을 경우, 주위에 있는 아주머니(아이와 함께 있는)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지도합니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PART 4 건강·안전생활

PART 5

부록

153

PART 4. 건강·안전생활

한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나선다.

제5장은 삶을 주도하며 미래를 만들어갈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교육공동체가 함께 노력하는 다양한 교육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참여와 소통의 교육문화를 조성하고 학생,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가 하나의 교육공동체가 되어 함께 참여하고 소통하는 교육문화를 만들어 갈 때 우리 모두의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리라 기대합니다.

PART

교육활동 이해

5

1. 미래를 준비하는 대구미래학교························· 158 2. 출석 인정 결석···············································160 3. 학교 입학ㆍ전학·············································· 161 4.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 163 5. 학교ㆍ학급홈페이지 활용································ 166 6. 나이스 학부모서비스······································ 168 7. 학교알리미···················································· 170 8. 학교운영위원회··············································· 171 9. 학부모의 학교 참여··········································173 10.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안내·············176 11. 교원능력개발평가 학부모 만족도 조사···············177 12. 교육활동 보호로 학생의 학습권 보호하기··········179 13. 교육기부로 좋은 세상 만들기·························· 182 14. 청렴을 기본으로 하는 대구교육······················· 184 15. 행정지원·······················································187

대구미래역량교육은 학생들이 꿈꾸는 미래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미래를 배워야 하며, 배움의 과정 또한 한 학생도 소외되지 않고 자신의 잠재력을 꽃 피울 수 있도록 함께 성장하는 교육을 추구합니다.

미래를 준비하는 대구미래학교

'대구미래학교'란? 학생의 기초역량을 바탕으로 삶과 배움을 잇는 탐구와 학습자 주도성을 강화하여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힘을 기르는 학교

1

대구미래학교 운영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상황과 학교·지역사회의 여건을 반영한 교육과정 운영 으로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함양 학생 맞춤형 교육활동 및 교육취약지역 학교 교육력 강화로 미래교육을 선도하 는 학교 체제 구축

2

2023 대구미래학교 운영 내용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학생주도수업 운영 기본생활습관,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등 기초교육 강화 학기 초 학급세우기 실천으로 따뜻한 교실 분위기 조성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학생의 삶과 연계한 교육과정 재구성, 개념 기반 탐구학습, 주제 중심 프로젝트학습 등

학생의 잠재력을 키우는 맞춤형 교육활동 지원 심리·적성검사, 직업체험·진로캠프, 문화예술 프로그램, 스포츠클럽, 세계시 민교육 학교별 맞춤형 교육활동 전개

15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3

소통과 협력의 민주적 학교 문화 조성 PART 1

존중과 배려, 소통과 협력, 자율과 책임이 있는 학교 문화 - 다양한 교육 주체의 적극적인 의사결정 참여로 학교에 대한 책무성 및 창의적 해결 노력 강화 - 학생의 학교 정책 결정 참여 기회 확대 및 관계 존중 문화 조성(학생 자치제,

PART 2

학생참여 예산제, 회복중심 생활교육 등) 학급 및 학년 단위의 협력적 수업 연구 문화 조성 - 교사 간 수업 개방과 성찰 실천 강화(전문학습공동체 등 연계)

2023 대구미래학교 운영 현황

4

PART 3

대구미래학교 87교(초등학교 48교, 중학교 39교) 행정구역

학교

동구 (7)

공산초, 덕성초, 서촌초, 지묘초, 해서초, 해안초, 효동초

중구 (4)

명덕초, 수창초, 종로초, 동덕초 지산초, 파동초

서구 (5)

내서초, 북비산초, 비봉초, 서평초, 이현초

북구 (8)

관천초, 대산초, 매천초, 산격초, 서변초조야분교, 태전초, 팔달초, 삼영초

남구 (4)

남대구초, 남덕초, 남명초, 영선초

달성군 (11)

가창초, 구지초, 금포초, 논공초, 동곡초, 반송초, 북동초, 천내초, 하빈초, 남동초, 현풍초

PART 5

내당초, 신당초, 신서초, 월곡초, 월성초, 학산초, 덕인초 교육활동 이해

달서구 (7)

PART 4

수성구 (2)

부록

PART 5. 교육활동 이해

159

출석 인정 결석

1

경조사로 인한 출석인정

종류 및 일수 주5일제로 인하여 학교생활기록부 출결 상황은 아래의 경조사별 휴가 일수를 적용합니다. 구분 결혼 입양

대상 · 형제, 자매, 부, 모 · 학생 본인 ·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 증조부모, 외증조부모 · 형제·자매 및 그의 배우자 · 부모의 형제·자매 및 그의 배우자

사망

2

일수 1 20 5 3

비고 ※ 토요일 및 공휴일은 경조사 일자에 산입하지 않음

1

그 밖에 출석으로 인정하는 결석

종류 지진, 폭우, 폭설, 폭풍, 해일 등의 천재지변 또는 법정 감염병(학교 내 확산 방지를 위해 학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비법정 감염병을 포함)으로 출 석하지 못한 경우 학교장의 허가를 받은 ‘학교·시도교육청·국가를 대표한 대회 및 훈련 참가, 산업체 실습과정(현장실습), 교환학습, 교외체험학습, 「학교보건법」제8조 에 따른 등교 중지 등’으로 출석하지 못한 경우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31조(학생의 징계 등)제1항에 따른 학교 내의 봉사, 사회봉사, 특별교육이수기간 초·중등교육법 제28조제6항에 따른 상담, 진로 프로그램 등 숙려제 참여 인정 기간

16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학교 입학·전학

초등학교 입학은 이렇게 해요 PART 2

초등학교 배정 읍, 면, 동장 관내 취학 대상자를 조사 교육장 통학구역 결정 읍, 면, 동장 입학할 학교 지정

PART 3

TIP 초등학교 배정 원칙

PART 4

초등학교 배정은 교육장이 취학 학생 수와 통학 거리 등을 고려하여 일정지역 거주자는 특정 공립초등학교에 취학하도록 설정한 통학구역에 의해 배정합니 다. (통학구역에 대하여 대구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교육마당/통학구역 안내 에서 확인)

내용

입학연기

만7세가 되는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에 입학을 원하는 경우 읍·면·동의 장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 취학 의무를 1년간 늦춤

취학유예

취학 전 교육감이 정하는 질병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해당 학년도에 취학하여 교육받을 의무를 다음 학년도까지 보류함

유예

재학 중 교육감이 정하는 질병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의무교육 받을 의무를 다음 학년도까지 보류함

면제

취학 전 또는 취학 후 특수교육도 이수하기 어려운 정도의 장애가 있거나 사망, 인정유학, 정당한 해외 출국 등의 사유로 인해 의무교육 이행이 불가능한 경우 취학의무를 면함

PART 5. 교육활동 이해

부록

종류

PART 5

교육활동 이해

입학 관련 참고사항

161

2

주소 이전으로 다른 학교로 전학할 때

재학 중인 학교(담임)에 전학 사실을 통지합니다. 주소지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를 전학하고자 하는 학교에 제출합니다. · 주소지 행정복지센터(주민자치센터)에서 취학통지서 등을 발급합니다. · 학생과 함께 해당학교 교무실 방문, 접수 후 당일 학급 배정합니다. ※ 이외 준비할 다른 서류는 없으나, 행정실에서 스쿨뱅킹 관련 안내받습니다.

TIP •재외동포·외국 학생도 청강을 할 수 있습니다. 단계

담당

내용

신청서 제출 부모 및 학생

·학교에 청강관련 신청서 제출

검토 및 결정

·검토 후 허가 여부 결정 및 통고

학교

통보 및 안내 학교, 학생ㆍ 부모

실시

학교, 학생ㆍ 부모

종료

학교

·서약서 제출 ·교육활동에 소요되는 제반 비용 부담 ·학적을 생성하지 않고 청강생 신분으로 교육활동 참여 ·부모는 학교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협조 ·부모 요청 시 학습 후 학교장 명의의 수료증 (혹은 확인서) 발급

•학교교육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학교의 종합적 상황을 고려하여 학교에서 청강을 허가할 수 있습니다.

16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

교육급여와 교육비는 무엇이 다른가요?

1

내용

교육급여

· ‌기초생활 보장제도의 일환으로 전국의 지원 기준이 동일

· 교육활동 지원비 (초등 415,000원)

교육비

· ‌시·도교육청의 예산에 맞추어 지원하는 사업으로 시도별로 지원 기준이 다름

· ‌방과후자유수강권, 교육정보화지원 (PC, 인터넷 통신비), 현장체험학습비

2

지원항목

※ 교육급여 신청 시 교육비도 함께 신청할 수 있음

PART 3

비고

PART 2

구분

신청 기간 및 방법 내용

집중신청 기간

· ‌2023년 3월 2일(목)∼3월 17일(금),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신청 · 연중 신청 가능하나 학년 초부터 지원받을 수 있도록 집중 신청기간에 신청

교육급여 지원 대상

· ‌가구의 소득과 재산(자동차 포함)을 계산한 월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학생(4인 가구 기준 월 270만원)

① 방문신청 신청 방법 (택1)

· 교육비원클릭시스템(oneclick.moe.go.kr) · 복지로 (bokjiro.go.kr)

부록

제출 서류

· 학부모 주민등록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② 온라인 신청 (학부모 공동인증서 필수)

PART 5

·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가족보호 대상자, 법정차상위 대상자 · 소득 인정액(중위소에 따른 지원 항목) - 중위소득 80% 이하: 방과후자유수강권(연60만원, 특수대상 연96만원)

교육활동 이해

교육비

PART 4

구분

· 신청서, 소득재산신고서, 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등(서식 주민센터 비치)

PART 5. 교육활동 이해

163

3

신입생 신청 시 유의사항

종류

내용

비고

신규신청

· ‌자녀 중 이미 지원받는 자녀가 있더라도 입학 이후 신규 신청이 필요 · ‌교육급여만 신청을 원하는 기초생활수급가구의 경우 행정복지센터에 유선 또는 구두로 수급 의사를 전달하는 것으로 지원받을 수 있음

교육비 납부유예

· ‌법정 자격 대상자(기초, 한부모, 차상위)의 경우 행정실로 납부 유예를 신청하시거나, 저소득수급자 보유자격증명서 (행정복지센터 발급)를 제출하면 납부 유예가 가능함

단, 심사결과에 따라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경우, 즉시 교육비를 납부하여야 함

수급자격 취득 후

· ‌교육급여 수급 자격을 얻는 경우 주민세 비과세, 전기요금 할인, 도시가스요금 감면, 이동전화 기본료 및 통화료 감면, 문화누리카드 발급, 정부양곡할인 구입, 교육복지우선 지원사업 참여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수급자격을 얻은 뒤 개별 사업 기관에 지원 신청함

이것이 궁금해요

교육비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 해진 신청기간 동안 학부모(또는 보호자)가 인터넷(교육비 원클릭 정 신청시스템, 복지로)으로 신청하거나, 부모 또는 자녀의 주민등록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주민자치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신청의 경우 부모 모두 공인인증서로 개인인증을 받아야 하며, 구비서류는 스캔 또는 촬영하여 등록하면 됩니다. 교육비 신청 기간에 신청을 하지 못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신청 기간 마감 이후에는 행정복지센터(주민자치센터)에서 신청을 받지 않으므로 해당 학교 또는 담임선생님께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정의 경제적 여건 등이 일정 요건에 해당하면 별도의 심사를 거쳐 학교장 추천으로 교육비를 지원받을 수도 있습니다.(※교육급여는 연중 상시 신청 가능합니다.)

16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전년도에 교육비를 지원 받았는데 금년도에 다시 신청하지 않아도 PART 1

되나요? ‌ 년도에 행정복지센터(주민자치센터 및 인터넷)로 교육비를 신청했던 전 학생 중에서 교육비를 지원받은 학생(심사 탈락 후 학교장 추천을 받은 학생 포함)은 금년도에 교육비를 신청한 것으로 간주하여 처리되므로 별도 신청을 할 필요가 없이 심사를 받게 됩니다.(교육비원클릭 신청 시스템에서 다시 확인)

PART 2

‌큰 아이가 전년도에 교육비를 지원받았고, 작은 아이는 올해 초등

학교에 입학합니다. 교육비 신청을 해야 하나요? 큰 ‌ 아이는 교육비를 신청하지 않아도 되지만, 작은 아이가 교육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신청 기간에 반드시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신청 서만 작성하면 됩니다.

PART 3

‌가정형편이 갑자기 어려워졌는데 교육비 지원 기준에 해당이 되지

않으면 다른 방법이 없나요? 담임교사의 ‌ 추천을 받으면 지원받을 수도 있으며, 상세한 사항은 해당 학교로 문의하면 됩니다. ‌부모가 있으나 아이를 돌보지 않고 다른 사람(예: 삼촌, 고모 등

PART 4

친인척 또는 지인)이 아이를 돌보고 있습니다. 부모와 연락이 되지 않고 있는데 어떻게 교육비를 신청하나요?

PART 5

교육활동 이해

‌ 학생을 사실상 보호하고 있는 보호자가 신청합니다. 부모와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 ‘연락 두절 확인서’를 작성(행방불명으로 간주)하고 보호자를 신청인으로 하여 교육비를 신청하고 가구원은 학생을 단독 가구(형제가 있는 경우 형제 각각 신청)로 구성하여 학생의 소득과 재산을 조사합니다. 그러나 부모와 연락이 되거나 부모가 양육비를 부담하고 있다면 부모가 교육비 지원을 신청하고 부모의 소득재산을 조사합니다.

TIP 지원대상 지원단가 급식기관 신청방법

PART 5. 교육활동 이해

부록

아동 급식비 지원

· 기초생활수급가정, 한부모가정, 저소득 맞벌이가구 아동 중 결식우려 아동 ·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관 들의 아동복지프로그램 이용아동 · 담당교사, 담당공무원 등이 추천하는 아동으로서 아동급식위원회에서 결정한 아동 1식 8,000원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일반음식점 편의점(CU, GS25, 7eleven), 부식배달 등 주소지 행정복지센터(주민자치센터) 방문신청

165

학교·학급 홈페이지 활용 1

학교 홈페이지

학교 홈페이지는? 학교 홈페이지는 학교와 학부모가 지속적으로 의사소통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학교와 학급에서 일어나는 행사, 대회 안내 등 다양한 정보와 각종 활동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➊ 학기 초, 요청 시 학교 홈페이지에서 가입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➋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개인별로 학생 회원 및 학부모 회원 각각 가입을 신청합니다. ➌ 업무담당자의 승인 후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학교 홈페이지 활용(예시) · 학교장 핫라인

- 학부모들에게 상담 기회 제공, 비밀 유지



- 학교장이 상담하며 신속한 고민 해결

· 공지사항 가정통신문

- 각종 대회, 행사, 채용 결과 발표 등 각종 안내



- 보호자 동행 개인별 체험학습 신청서 및 보고서 양식 탑재



- 가정통신문(안내장) 탑재

· 학생방, 학부모방 선생님방 - 학  생교육활동, 알림장, 학부모참여활동, 교원교육활동 안내 · 월별 행사

16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월별, 일별 교육활동 행사 안내

학급 홈페이지

PART 1

2

학급 홈페이지에는? 학교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을 하면 학급 홈페이지 회원 가입은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됩니다.

PART 2

학급  홈페이지는 학급의 담임교사와 학생, 학부모가 소통하며 해당 학급별 정보가 쌓이므로 자녀의 학급 생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학교 홈페이지와 학급 홈페이지 메뉴는 학교별, 학급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ART 3

학급 홈페이지 활용 - 학생, 학부모에게 자유롭게 글을 올려서 대화의 장 마련



- 학생, 학부모에게 상담기회 제공, 비밀 유지, 고민 해결

· 알림장

- 학부모, 학생이 볼 수 있도록 알림장 지원

· 사진방

- 학급의 교육활동 사진 안내

· 시간표

- 학급의 요일별 시간표를 게시하여 학습준비 지원

PART 4

· 게시판

PART 5

교육활동 이해

TIP •학교 홈페이지 정보는 회원가입 없이도 일부메뉴를 열람할 수 있으나 학교의 정보보호를 위하여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일반인은 일부 메뉴를 읽을 수 없습 니다.

부록

•대구광역시교육청(http://www.dge.go.kr), 4개(동부, 서부, 남부, 달성)의 교육 지원청 사이트에서도 교육관련 다양한 정보들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PART 5. 교육활동 이해

167

나이스 학부모서비스 1

나이스 학부모서비스란?

학부모의 교육 참여를 통해 교육기본법 제13조에서 보장하는 학부모의 교육할 권리와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내 자녀 바로 알기’ 학부모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학교를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자녀의 학교생활(성적, 출결, 학교생활 기록부 등) 자녀의 학교생활을 인터넷으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단, 당해연도 성적은 열람 제한)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하여 가정통신문, 선생님과의 상담(온라인) 등 쌍방향 의견 교환할 수 있습니다. 학업지도, 인성지도, 진학지도, 진로지도, 특수아지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학부모서비스 이용방법 및 절차 공동인증서 준비

나이스 학부모서비스 회원 가입 (http://par.dge.go.kr)

등록한 인증서 로그인

(내)자녀등록(자녀의 학교, 이름, 관계, 생년월일 입력)

학교에서의 부모 여부 확인 후 승인

자녀 정보 열람

 학부모서비스 신청과 학교에서의 승인과정은 단 1회만 거침. 이후에는 로그인 하여 바로 자녀 정보 열람

TIP 공동인증서가 없는 경우, 학부모서비스 전용 무료인증서를 온라인으로 발급 신청 (https://keris.signgate.com)

16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3

나이스 학부모서비스 제공 현황

학부모서비스  제공 서비스: 92종(학생정보 15종, 학생생활 23종, 학생건강 11 종, 학생상담 3종, 학생교육 19종, 의사소통9종, 이용안내 12종) 서비스 내용 시간표, 출석부, 학교생활기록부, 교육비납입현황, 성적, 성적표, (내)자녀등록, 자녀정보조회 (※단, 당해연도 성적 및 성적표는 열람 제한)

학생생활

학교안내, 학사일정, 식단표, 가정통신문, 과목 및 담당교사,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학교생활통지표, 개인별맞춤학습, 국가수준학업성취도, 봉사활동내역, 진로활동내역

학생건강

건강기록부, 건강체크, 신체활동, 스포츠클럽, PAPS, 예방접종내역

학생상담

공지사항, 신청 및 조회

학생교육

학업지도, 인성지도, 진학지도, 진로지도, 특수아지도, 에듀넷학습정보, 학원교습소안내, PAPS학습모형

의사소통

학습자료, 대입전형자료, 홍보자료

PART 3

학생정보

PART 2

구분

PART 4 부록

https://www.neis.go.kr / 학부모서비스 / 대구광역시교육청 선택

PART 5. 교육활동 이해

PART 5

교육활동 이해

나이스대국민서비스를  활용하세요.

169

학교알리미

1

학교알리미란?

학부모와 국민들이 궁금해 하는 학교 및 교육 전반의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2

학교알리미의 목적

초·중등학교의 주요정보를 공시하여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학생·학부모의 학교 선택권 보장 및 학교교육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단위 학교의 정보를 ‘학교알리미’를 통해 공시하여 학교의 책무성 및 학교 운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3

학교알리미 이용방법

인터넷 검색창에서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라고 입력하면 해당에 사이트에 접속됩니다.

4

학교알리미에서 제공하는 학교의 정보

학교규칙 등 학교운영에 관한 규정 학교규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 등 16항목을 제공합니다.

17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학교운영위원회 학교운영위원회의 개념

PART 2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에 학부모, 교직원, 지역인사가 참여함으로써 학교정책결정의 민주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고, 지역실정과 학교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심의·자문하는 기구입니다.

2

학교운영위원회의 법적 성격 PART 3

법정  위원회 「초·중등교육법」 및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등에 근거하여 설치·운영하는 기구입니다. 독립된  위원회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장과는 독립된 기구입니다.

PART 4

심의·자문기구  학교운영에 관한 주요사항에 대해 국·공립학교의 경우는 심의하고, 사립 학교의 경우는 자문하는 기구입니다.

3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의 정수 및 구성비율

학생 수 200명 미만 200명 이상 1,000명 미만 1,000명 이상

위원 수 5-8명 9-12명 13-15명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의 정수는 학생 수를 기준으로 학교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당해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으로 정함

PART 5

교육활동 이해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의 정수

초등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의 구성 비율 구분 당해 학교의 학부모를 대표하는 자 당해 학교의 교원을 대표하는 자 학교운영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지역 인사

비율(%) 40∼50 30∼40 10∼30

PART 5. 교육활동 이해

부록

학부모위원 교원위원 지역위원

171

4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의 자격 및 선출 구분

학부모 위원

내용 당해 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 · 학부모 전체회의에서 직접 선출

교원위원

당해 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원 · ‌교직원 전체회의에서 무기명투표로 선출(사립학교의 경우 교직원 전체회의 에서 추천한 자 중 학교의 장이 위촉)

지역위원

당해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을 생활 근거지로 하는 자로서 예산·회계·감사·법률 등 전문가, 교육행정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 당해 학교가 소재하는 지역을 사업 활동의 근거지로 하는 사업자, 당해 학교를 졸업한 자, 기타 학교 운영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자 · ‌학부모위원 또는 교원위원의 추천을 받아 학부모위원 및 교원위원이 무기명 투표로 선출

운영위원회에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인을 두되, 교원위원이 아닌 위원 중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

5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학교헌장과 학칙의 제정 또는 개정 학교 예산안과 결산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운영 교과용도서의 선정 교복·체육복·졸업앨범 등 학부모 경비 부담 사항 방과후학교 운영 공모 교장의 공모방법, 임용, 평가 등 초빙교사의 추천 학교운영지원비의 조성·운용 및 사용 학교급식 운영계획 학교운동부의 구성·운영 학교발전기금의 조성·운용 및 사용 학교운영에 대한 제안 및 건의사항

17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학부모의 학교 참여 학부모회

PART 2

학부모들이 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 학교교육활동에 참여하여 학교교육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TIP 학부모회와 학교운영위원회는 어떻게 다른가요?

목적

학교운영위원회 초·중등교육법 심의·자문기구(필수기관) 중요한 학교운영사항 심의·자문 학부모위원, 교원위원, 지역위원 학교운영에 필요한 정책결정의 민주성, 투명성, 타당성 제고

PART 4

2

학부모회 학부모회 규약(자율조직) 의결 및 집행기구(임의기구) 학부모회 활동에 관한 사항 의결 학부모 학교교육활동 참여 및 지원활동, 상호친목 도모

PART 3

구분 설치근거 성격 조직권한 구성원

학부모의 학교 참여 활동

학교 설명회 시기:  매년 3월(학교별 계획에 따라 년 1~2회 실시) 방법:  학부모교육, 교육상담 등과 연계 운영 내용:  학교 소개, 학교생활 가이드, 가정 교육 및 지원 방법 등 실제적 도움 제공

PART 5

교육활동 이해

대상:  초, 중, 고, 특수학교 학부모(보호자) 전체

학부모 학교 참여 우수사례 시기:  매년 10월경 부록

대상:  초, 중, 고, 특수학교의 학부모회 또는 학부모 동아리 방법:  학부모의 학교 참여 사례를 보고서로 제출 ⇢ 교육부 추천 ⇢ 시상 내용:  학교별 학부모 자치 문화 확산 노력(학부모 자발적 구성 및 활동)

PART 5. 교육활동 이해

173

학교교육 모니터링 학부모 의견이 학교 교육 운영 전반에 반영되도록 단위 학교에서 모니터링 강화 전체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기별 1회 이상 의견 수렴 모니터링 주제(예시): 학교수업 및 교육과정 운영, 생활지도, 학교 시설 운영, 방과후학교 운영, 학교급식, 수학여행 및 체험활동, 교원능력개발 평가 등 학교교육의 질 제고와 관련된 주제

3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설립 목적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는 초・중・고・특 단위학교별 학교평생학습관 운 영을 지원하고, 학부모역량강화 심화과정, 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하며, 상설 가족코칭 프로그램 및 자녀교육과 관련된 학부모 궁금증을 원스 톱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설립된 곳입니다.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가 제공하는 서비스 학부모에게 자녀교육 관련 교육 및 정보 제공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기회 확대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는 자녀의 인성교육, 소통을 위한 대화법, 자기주 도학습 지도 방안, 미래의 꿈을 열어 줄 진로ㆍ진학 교육 등 각종 정보를 제 공, 교육정책 문의 및 상담 서비스 등도 제공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교육정 책 문의 및 상담 서비스 등도 제공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주요 운영 프로그램 학부모교육 심화과정(자녀교육 가이드, 하브루타, 인문학, 부모역할, 자기주도 학습 등)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와 함께하는 학부모 행복교육

17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진로·진학  지원 아카데미(개정 교육과정, 입시제도의 이해 및 전략, 학생과 학 PART 1

부모가 함께 하는 맞춤형 진학 코칭 등) 학부모  마음챙김 교육(생각 알아차리기, 마음 알아차리기, 스트레스 시대에 의 미있는 일 실천하기 등)

프로그램 참여 신청 PART 2

홈페이지: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http://parent.dge.go.kr) 회원가입/학부모교육 ⇢ 수강신청 ⇢ 희망 강좌 신청 모바일:  모바일 스마트폰 [대구학부모교육]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 채팅방 아래 [학부모교육 수강신청] ⇢ [수강신청 바로가기] 메뉴 ⇢ 신청하기 ⇢ 로그인 후 희망 강좌 신청

PART 3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에 대하여 더 알고 싶어요.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http://parent.dge.go.kr/ 주소  :대  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PART 4

31길 150 (우42412) 상담전화  : 053-231-1482~3 / FAX : 053) 621-7710

자녀교육역량을 기르고 싶은데, 참여가 어려우시다면 ‘찾아가는 학부모 교육’을 신청해 주세요!

PART 5

교육활동 이해

TIP

- 지자체, 기관, 직장, 어린이집, 종교단체, 군부대 등으로 찾아가고 전문 강사와 교재를 지원해드립니다. - “손안의 학부모교실”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교육으로도 지원합니다. - 찾아가는 손안의 학부모 교실 문의 ☎053-231-1483 구분

내용 •20인 이상의 교육 희망자가 있는 모든 곳에서 신청 가능 ※ 취약계층 학부모의 교육신청이 있을 경우는 인원수에 상관없이 신청 가능

운영 방법

•교육을 원하는 학교 급, 희망하는 날짜, 시간, 장소를 정해 신청 •각 주제별로 전문화된 강사 인력풀, 만족도가 높은 강사 파견 및 교재 지원

부록

지원 기준

PART 5. 교육활동 이해

175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 안내 학부모 자녀교육 온라인 콘텐츠 종류 및 내용 탑재 콘텐츠 학부모를 위한 5분 특강 598편 학부모를 위한 러브레터 63편 학부모 i 러브레터 48편 On(온)기로운 학부모생활 58편 ♥러브마이셀프! 마음정원 (학부모 마음챙김) 22편 기타 자녀양육 관련 콘텐츠 94편 등

https://www.youtube.com/ 대구학부모교육 구분

콘텐츠 내용 및 접속 방법 학부모를 위한 5분 특강

- 인성교육, 부모 역할 등 학부모교육 특강

학부모를 위한 러브레터

- 학부모 자녀교육 정보 제공 카드뉴스

학부모 i 러브레터 유튜브 채널 【대구학부모교육】

- 코로나19 감염병 이해, 심리방역 지원 등

ON기로운 학부모생활

- 에듀테크, 디지털리터러시, 미래교육 등 최신 교육 트렌드에 대한 정보 제공

♥러브마이셀프! 마음정원 학부모교육 학부모 e클래스 대구학부모 원스톱지원센터 홈페이지

학부모정보 모두모아 학부모 상담

대구시교육청 공식 SNS 채널 학교홈페이지 가정통신문

17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인성교육 및 심리방역 관련 들리는 카드뉴스

학부모를 위한 마음백신

- 학부모의 마음챙김을 위한 명상 영상 - 진로진학 아카데미, 저명강사 초청 학부모 아카데미 등 자녀교육 전문가의 강의 제공 - TBC 제3교실, T-브로드 학부모특강자료 - 4차 산업혁명, 자기주도학습, 공부 방법 - 자녀 연령별, 영역별 자녀교육 관련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정보 제공 - 사이버 상담, 자녀교육 Q&A - 학부모 교육칼럼

· [대구광역시교육청]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카카오톡 채널 운영 · [대구학부모교육] 카카오톡 채널 운영 ※ 각종 대구교육 소식 및 학부모 자녀교육 관련 정보 제공 학부모를 위한 5분 특강 학부모를 위한 러브레터 학부모 i 러브레터

- 인성교육, 학부모 역할 등 자녀교육 관련 온라인 콘텐츠 제공 - 각 학교 홈페이지 가정통신문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PART 1

교원능력개발평가 학부모 만족도 조사 “참여하는 만큼 교육의 질은 높아집니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학부모 만족도조사는 학부모와의 소통을 통하여 선생님의 교육활동에 대해

PART 2

진단하여 좋은 점은 발전시키고 부족한 점은 개선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고 이를 통해 선생님 들은 더 나은 교육활동을 위해 능력을 개발하고 전문성을 신장시키게 될 것입니다.

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

교원 전문성 신장을 통한 공교육의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PART 3

2

학부모 만족도조사 평가참여자

학부모는 교장, 담임교사 외 1인 이상 총 3인 이상의 교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 참여합니다. PART 4

평가 개시일까지의 기간 중 2개월 미만 재학한 학생의 학부모는 참여자에서 제외합니다. 2자녀 이상이 동일 학교에 다닐 경우, 지도 교원 각각에 대해 만족도 조사에 참여하고, 동일 교원에 대해 중복 참여하지 않습니다. 학부모 만족도 조사 익명성 보장: 만족도 조사는 ‘누가’, ‘어떻게’ 응답했는지 조손가정, 위탁시설 학생 등 학부모가 현실적으로 참여가 어려운 경우, 보호자에 준하는 자(법정대리인)가 참여 가능

3

PART 5

교육활동 이해

전혀 알 수 없도록 익명성이 철저하게 보장됩니다.

학부모 만족도조사 내용 부록

교장, 교감: 학교 경영 담임교사, 교과전담교사, 수석교사: 학습지도/생활지도 비교과 교사(보건, 영양, 사서, 원어민 교사): 학습지도/생활지도(학생 지원)

PART 5. 교육활동 이해

177

4

학부모 만족도조사 참여 방법

➊ [http://www.eduro.go.kr] 접속

➋ 대구광역시교육청 선택

➌ 학부모 만족도 조사 버튼 클릭

➍자  녀정보 확인(학교, 학년, 성명, 본인확인번호 입력)

1

2

3

4

5

6

➎ 자녀정보 확인 완료 화면 · [➊ 학교찾기] 자녀의 학교 찾기 · ‌[➋ 학년] 자녀의 학년 선택 · ‌[➌ 성명] 자녀의 성명 입력 · ‌[➍ ‌학부모본인확인번호] 학교에서 발급한 학부모 본인확인번호 입력 · [➎ 자녀추가] 참여대상 자녀가 2인 이상일 시 선택하여 추가 등록함 · [➏ ‌자녀정보조회] 선택하면 자녀정보 확인 후 학부모 만족도 조사 참여

17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교육활동 보호’란?

PART 2

1

PART 1

교육활동 보호로 학생의 학습권 보호하기

교육활동은  모든 교육주체(학생, 학부모, 교원)가 향유하는 공통의 이익 이므로, 교육활동을 보호함에 있어서 교육주체 간 이견이 발생 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교원 보호의 궁극적인 목적이 교육활동 보호에 있다면, 학생과 학부모 또한 교육활동을 보호하는 주체가 될 수 있습니다.

PART 3

2

교육활동 침해행위를 하면 안 되는 이유

학생의  학습권 보호 학생의 학습권

PART 4

가정교육

사회교육

학교교육

학생들의  안전에 위협

PART 5

교육활동 이해

학생들의  인성에 위협

부록

PART 5. 교육활동 이해

179

3

‘교육활동 침해 행위’란?

교원지위법 제15조제1항 소속  학교의 학생 또는 그 보호자 등이 교육활동 중인 교원에 대하여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입니다. 침해 행위

교육활동 침해행위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경우

폭행, 상해

- 교원의 신체를 밀치거나 멱살을 잡고 흔든 경우 - ‌큰 소리로 폭언을 하여 피해교원이 정신을 잃고 쓰러지게 하고 우울증 등으로 치료를 요하게 한 경우

협박

180

- 위험한 물건을 교원의 목에 겨누면서 찌를 것처럼 위협한 경우

명예훼손 모욕

- ‌학부모가 다른 학부모들과 함께 있는 자리에서 특정 교원의 외모를 지칭하여 경멸적으로 말하는 경우

손괴

- ‌수업 중 지도하는 교사에 대한 불만으로 유리창을 주먹으로 쳐서 깨는 경우

성범죄

- ‌휴대전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성적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교원의 신체를 몰래 촬영한 경우

불법정보 유통

-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인터넷까페 자유게시판에 허위사실을 해당 교사가 누구인지 알아볼 수 있게 게시한 경우 - ‌담임교사에게 불만을 품고 새벽 시간을 포함한 수일 동안 저주가 담긴 문자메시지를 수십여 차례 보내 교원에게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 발한 경우

공무집행 방해/업무 방해

- ‌학생의 아버지가 자신의 아들을 괴롭힌 학생을 혼내준다며 수업 중인 교실로 들어가 관련학생들을 교실 밖으로 불러내 무릎을 꿇게 하고 이를 만류하는 교사를 협박하여 수업 진행을 방해한 경우

그 밖에 교육 활동 침해 행위

- ‌교사를 무시하여 학생들에게 교사의 말을 듣지 말라고 종용하는 경우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4

학교교육환경 이해하기

학교의 업무 상황 학교 행사 학교에는 체육대회뿐만 아니라 입학식, 졸업식, 수학여행, 학술제, 학생교류, 대피훈련 등 학교 상황에 맞는 다양한 활동이 많고, 유관기관(경찰서. 소방서 등)과 협조하고 있습니다.

교무행정업무 학생의 학습권을 위해 수업 준비에 여념이 없어야 하지만, 행정업무로 인해 교육활동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PART 3

전문성 개발 교사들은 학기 중 뿐만 아니라, 방학 중에도 각종 연수(직무, 자격, 자율연수 등)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능동적으로대처하고있습니다.

PART 2

교육활동 교사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 입니다. 성적에 대한 민원제기가 많고, 수업-평가-기록이 일원화되어 업무부담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PART 4

업무영역의 확대 교사 중심에서 학생 중심 교육환경으로 변화 다문화 학생 증가 및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교육, 배려 필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시대의 변화에 맞는 다양한 교육 필요 미세먼지 증가, 각종 전염병 등으로 학생 보건교육 절실

학생 특성 이해 및 생활지도 업무의 어려움 사이버 폭력

타인 배려 부족

입시교육

분노 조절장애

자해 증가

생활지도 거부

ADHD

학업중단 학생 증가

사회성 부족

부록

폭력적인 학생들

PART 5

교육활동 이해

학생의 정신과 육체 건강을 위해 급식, 영양, 상담 등 중요

PART 5. 교육활동 이해

181

교육기부로 좋은 세상 만들기 1

대구사랑나눔교육기부란?

21세기가 요구하는 더불어 살아가는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기업·대학· 공공기관 등 사회가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과 개인의 재능을 활용하여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분야의 나눔 운동입니다.

2

대구사랑나눔교육기부의 절차

TIP

18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대구광역시교육청 교육기부 홈페이지 운영: www.dge.go.kr/gibu •각 교육지원청별 특색 있는 교육기부 매칭 코너 운영 ‌동부(100인의 멘토), 서부(행복나눔), 남부(행복로딩), 달성(꿈·사랑·행복 더하기)

3

인문도서 기부 릴레이 PART 1

인문도서 기부릴레이란? 개인·기관·단체  등 기부자들이 대구 학생들의 인문학적 소양을 높이기 위해 ‘인문도서 책 꾸러미 기부금’을 지정 학교에 기탁하는 릴레이식 교육기부 운동입니다.

PART 2

책  꾸러미 기부금: 한 꾸러미 10,000원 기준 릴레이식  기부: 기부자가 다음 기부자를 추천하는 방식의 기부

인문도서 기부 릴레이 참여 방법 ➊ 앱 설치하고 시작하기

➋ 기부하기 들어가기 PART 3

•PLAY 스토어 검색 및 QR코드 활용 - 아이폰은 앱 실행이 되지 않음

•하단의 인문학 배경 사진 중 선택하기

•기부자 및 릴레이 주자 정보 입력하기 - 다음 릴레이 주자를 다수 추천할 경우 소속은 입력하지 않고 이름만 입력하기

➏ 메일, 문자, SNS로 전송하고 ➐ 지정 계좌로 기부금 송금하기

PART 5. 교육활동 이해

부록

•1:1 또는 1:다수 대상에게 문자, 카톡 등으로 사진 전송 - 담당자 이메일로 전송 ⇢ 교육기부 홈페이지에 사진 및 기부 현황이 탑재됨 •지정 계좌로 기부금 송금

PART 5

•말 풍선에 다음 릴레이 주자에게 남기고 싶은 메시지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

➌ 기부자 정보 입력하기

교육활동 이해

➎ 인문학 관련 메시지 남기기

PART 4

➍ 인문 도서 기부 참여 인증샷

183

청렴을 기본으로 하는 대구교육 1

청렴의 중요성

청렴(integrity, anti-corruption) 개인의 청렴은 가정의 평화와 조직의 건강, 사회 발전의 공통된 요소이며 상호작용 속에서 청렴문화는 성장해 갈수 있습니다. 청렴문화의 성장은 사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킵 니다. 국가의 청렴 수준은 그 국가의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대외적 이미지, 국가 경쟁력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상위권 청렴도 유지

2022년도 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평가 결과 국민권익위원회는 2002년부터 실시해온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를 2022년 부터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의 종합평가체계로 새롭게 개편하여 시행하 였습니다.

18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2022년도에는 501개 공공기관에 대한 종합청렴도평가가 실시되었습니다.





(장관급) (차관급) 25

21

지방자치단체 (243개) 광역

17

기초

기초

기초

(시)

(군)

(구)

75

82

69

PART 1

중앙행정기관 (46개)

공직유관단체 (195개)

교육청 (17개)











(공기업) (준정부 (준정부 (중점) (지방공사 일반) 중소형) 17

35

57

공단)

36

30

37

PART 2

우리교육청의 2022년도 종합청렴도는 전년대비 1등급 상승한 2등급입니다. 구분

종합청렴도

청렴체감도

청렴노력도

대구시교육청

2등급

3등급

2등급

구성원 청렴의지

기관장 청렴인식

소통ㆍ공감의 조직 문화

공무원 행동강령 등 규정 강화

청렴교육ㆍ 홍보

기타

38.4%

32.6%

19.5%

4.9%

4.2%

0.4%

PART 4

3

PART 3

청렴도향상에 필요한 주요요인(2022년도 자체설문결과)

내실있는 반부패・청렴 정책 추진

변화된 청렴환경과 구성원 의견을 반영하여 효율성이 낮은 청렴정책과 학교 현장의 업무 가중되는 청렴시책 정비 부패 신고 및 신고자 보호 강화: 대구교육청 홈페이지 메인화면 배너를 통해 상시 안내(링크를 통한 바로가기 포함)

PART 5

교육활동 이해

고위공직자 청렴도 평가를 통한 자율적인 자기 관리 및 청렴 문화 확산

비위공직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금품 등 수수시 해임ㆍ파면 원칙 등 위드 코로나 시대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맞춤형 청렴교육 부록

대구광역시 교육청과 함께하는

대구광역시교육청 부패신고센터

PART 5. 교육활동 이해

185

이것이 궁금해요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인 학부모는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이다? ‌ ·중등교육법령에 따라 설치된 학교운영위원회의 학부모위원은 공무 초 수행사인으로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입니다. ※ 학교교육활동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채용한 운동부 코치·감독에게 학생(학부모)이 선물을 드려

서는 안 된다? 학생(학부모)이 ‌ 드리는 선물은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 목적을 벗어 나므로 안 됩니다. ‌학부모는 담임교사에게 케이크, 기프티콘 등의 선물을 드려서는

안 된다? ‌ 학생에 대한 지도와 평가를 하고 있는 담임교사와 학부모 사이의 선물은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 목적을 벗어나므로 안 됩니다. 담임교사가 결혼할 때 학생들(학부모)이 축의금을 제공해도 된다? ‌ 생(학부모)이 교사에게 제공하는 축의금은 부조의 목적을 벗어나므로 학 안됩니다. ※ 학생들이 불러주는 축가는 사회 상규 상 가능합니다. 학생(학부모)이 작년 담임교사에게 감사의 선물을 드릴 수 없다? ‌ 재 담임교사, 교과목 담당교사 등이 아닌 경우에는 사교·의례 목적으로 현 제공되는 5만 원 이하의 선물은 가능합니다.

18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행정지원

스쿨뱅킹 절차

신청 동의서 작성

담임· 행정실 동의서 수합 계좌 등록

은행

행정실

행정실로부터 계좌 송신

은행의 허가 승인

PART 2

학부모

학부모 안내장 배부 후 통장에 입금, 지출 확인

PART 3

교육비 신용카드 납부가 가능 → 학교 행정실에 동의서 제출 후 카드사에 신청

2

증명서 발급

방문발급

3

증명서 작성

PART 4

민원 접수

교부 및 발급

민원 신청 방법

직접 방문

자체발급 또는 FAX 송부

교부 및 발급

민원서류 수령

PART 5

교육활동 이해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 홈페이지 홈에듀 민원 서비스 사이트(http://hdu.dge.go.kr) 접속 후 공동인증서 로그인

민원 신청

수수료 입금

부록

인터넷 (홈에듀)서비스

민원서류 발급

PART 5. 교육활동 이해

187

4

학생관련 민원서류

민원 신청 방법에 따라 민원서류 종류가 다르므로 시교육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대상

내용 합격증명서, 성적증명서, 과목합격증명서

검정고시생/ 재학생/ 졸업생

합격증서 재교부, 합격자 기재사항 정정신청 졸업(예정) 증명서, 성적 증명서(중,고), 제적 증명서 생활기록부 사본, 재학 증명서, 수상 확인원, 교육비 납입 증명서

이것이 궁금해요

민원을 신청하면 언제 발급받을 수 있나요? ‌ 른 업무 보다 우선으로 처리합니다. 증명서 발급은 되도록 신청 하는 다 날 발급을 합니다. 그러나 민원의 종류에 따라 처리 기간이 다릅니다. 민원 신청 시 필요한 준비물은 없나요? ‌ 민원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주민등록증, 여권, 청소년증, 자동차운전 면허증, 공무원증 등 각종 행정기관 발급 증명서 중에 한 가지를 가져 가야 합니다. 민원인 확인 후 발급 처리합니다. 또한 대리인의 경우 대리인 신분증과 위임장, 민원인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도 필요합니다.

TIP 참고사이트 •대구광역시교육청(http://www.dge.go.kr)/전자민원창구 •대구광역시교육청 나이스홈에듀 민원서비스(http://hdu.dge.go.kr)

18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PART 4

PART 5 교육활동 이해

부록

189

PART 5. 교육활동 이해

부록 대구교육권리헌장·············································· 192 챗봇서비스모두모아···········································202 찍고보는 자녀교육정보·······································203

대구교육권리헌장 전문 학교는 교육 공동체의 소중한 만남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학생, 교원, 부모 등 보호자, 교육행정기관, 지역 사회 등 모든 교육 주체들은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모두가 소망하는 미래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함께 노력한다. 학생은 존엄하고 가치 있는 인격체로 인정받아야 한다. 모든 학생은 인간으로서, 세계 시민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가지며, 이에 상응하는 성실한 의무를 지닌다. 교원은 전문직으로서 교직을 성실히 수행해야 하며, 학생 및 교육 관련 주체들로 부터 존경을 받아야 한다. 교원은 수업 활동과 생활 지도 활동 등을 통하여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고 보람을 느끼고, 학생 및 그 부모 등 보호자에게 사랑과 신뢰를 줄 수 있도록 그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며 의무를 성실하게 실천하여야 한다. 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에 대한 최종 책임자이며, 공교육의 책임을 국가에 위임한 자이다. 또한 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 교육에 대한 동반자로서, 학생의 건강하고 건전한 성장 및 발달을 위하여 교육 활동이 바람직하게 전개되도록 그 권리와 의무를 다한다.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각 교육지원청 등 교육행정기관은 학생들이 자유롭고 정의로운 민주 시민으로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며, 인성과 실력을 갖춘 미래 주도 인재를 육성하는 숭고한 역할을 다한다. 이에 우리는 대한민국헌법, 유엔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교육기본법, 초·중등 교육법 등의 정신과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구광역시 교육의 기본방향을 바탕으로 교육 주체들의 권리와 의무를 담아 대구교육권리헌장을 제정한다.

19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1장 학생의 권리와 책임 PART 1

제1조 인간의 존엄성과 차별받지 않을 권리 ① 학생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타인의 인격을 존중하여야 한다. ② 학생은 성별, 나이, 종교, 사회적 신분, 출신 민족·국가·지역, 장애·용모 등의 신체조건, 가족의 형태나 상황,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병력(病歷), 징계, 성적 (成績) 등으로 인해 정당한 사유 없이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PART 2

제2조 폭력 및 체벌로부터 자유 ① 학생은 신체적·언어적 폭력을 당하거나 체벌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타인에게 신체적·언어적 폭력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

PART 3

제3조 개성을 실현할 권리 ① 학생은 복장, 두발 등 용모에 있어서 자신의 개성을 실현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교는 두발의 길이를 규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두발의 형태는 예외로 한다. ③ 제①, ②의 권리는 제10조의 절차에 따라 학생이 참여하여 제·개정한 학교의

PART 4

규정에 의해서만 이를 제한할 수 있다.

제4조 사생활의 자유를 보호받을 권리 ① 학생은 사생활의 자유를 가지며, 개인 물품을 소지·관리함에 있어서 부당한 간섭을 받지 아니한다. PART 5

② 학생은 일기장이나 개인 수첩 등 개인적인 기록물을 보여주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③ 학생은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개인 물품을 학교 내에서 소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④ 학생은 정당한 사유와 절차에 의해서만 휴대 전화사용을 규제받는다.

부록

부록

193

제5조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 ① 학생은 가족, 교우관계, 성적·징계기록 등의 학생생활기록과 건강검사에 대한 자료 등 개인적인 정보를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교외에서 이름표 착용을 강요받지 아니한다.

제6조 정보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본인에 관한 학교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② 학생은 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수 있다. ③ 학생은 본인에 관한 기록 중 사실과 다른 내용에 대해 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정정 및 삭제를 요구할 수 있다.

제7조 양심·종교의 자유 ① 학생은 양심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② 학생은 양심에 반하는 내용의 반성, 서약 등을 강요받아서는 아니 된다. ③ 학생은 특정 종교 의식 참여 및 대체과목 없는 종교 과목의 수강을 강요받지 않아야 한다.

제8조 의사 표현의 자유 ① 학생은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교신문 등 언론 활동, 홈페이지 운영 등에서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받고, 필요한 시설 및 행ㆍ재정적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학생은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경우 법령이나 규정에 의하지 않는 간섭 또는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제9조 자치활동의 권리 ① 학생은 자치활동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생 자치기구의 구성, 소집, 운영 등의 활동에서 자율과 독립을 보장받고, 성적 등을 이유로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제한받지 아니한다.

19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10조 학교 규칙의 제·개정에 참여할 권리 PART 1

① 학생은 학교규칙 등 학교규정의 제·개정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교규칙 등 학교규정의 제·개정 과정에서 학생자치 기구를 통하여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③ 학생은 학교규칙 등 학교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PART 2

제11조 정책 결정에 참여할 권리 ① 학생대표는 학생의 학교생활에 직접 관련이 있는 사안에 관하여 학교운영 위원회가 요청할 경우 회의에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제12조 청구 및 청원권에 대한 권리 PART 3

① 학생은 인권 침해 사실이 있는 경우 상담 및 조사 등을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상담, 조사 등의 청구권 행사에 관하여 비밀을 보장받으며, 부당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 ③ 학생은 인권 침해에 관한 청구 및 청원 결과를 통보받을 권리를 가진다.

PART 4

제13조 정당한 절차를 보장받을 권리 ① 학생에 대한 포상 및 징계는 명확하고 정당한 절차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② 학생에 대한 징계는 사유에 대한 사전 통지, 소명 기회 보장, 이의 신청 등 적법 절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PART 5

제14조 학습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법령과 학교규칙에 근거한 정당한 사유 없이 학습권을 침해받지 아니한다. ② 학생은 다른 학생의 학습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③ 학생은 선생님을 존경하며, 선생님의 교육·연구 활동을 방해하거나 학내의 질서를 문란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부록

부록

195

제15조 교육과정 이외의 교육 활동의 자유 ① 학생은 교육과정 이외의 교육 활동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다. ② 학생은 자유롭게 선택한 교육 활동에 대하여 성실하게 참여하여야 한다.

제16조 급식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안전하고 균형 잡힌 급식을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제17조 문화 활동을 누릴 권리 ① 학생은 다양한 문화 활동을 누릴 권리를 가진다.

제18조 건강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전인적인 발달을 위하여 적절한 휴식을 취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적정한 치료를 받고, 보건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 ③ 여학생은 생리로 인하여 결석하거나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불이익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④ 학생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교원에게 알려야 한다.

제19조 복지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적성발견, 진로 탐색 등 자기계발을 위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습 부진, 폭력 피해, 가정 위기, 비행 일탈 등 각종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학생은 각종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하여 상담 등의 활동에 성실하게 참여하여야 한다.

제20조 소수자 학생의 권리 ① 빈곤, 장애,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청소년 가장 가정, 다문화 가정, 학생운동 선수 등 경제·사회·문화적 사유로 권리 실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은 그 특성에 따라 필요한 권리를 보장받고, 우선적으로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19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21조 교육환경 및 안전에 관한 권리 PART 1

① 학생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교 시설 및 환경을 고의로 훼손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2장 교원의 권리와 책임 제22조 교육활동에 관한 권리 PART 2

① 교원은 교육 활동 중 학습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학생을 보호하여야 한다. ② 교원은 일시적 장애를 포함한 장애 학생, 다문화 가정 학생, 예체능 학생, 학습 곤란을 겪는 학생 등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③ 교원은 학생이 수업을 방해하거나, 물리적, 언어적 방법으로 교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할 경우 학교장에게 징계를 요청하거나 그 밖의 교육적 방법으로

PART 3

지도할 수 있다. ④ 학부모가 교원의 학생 지도를 부당하게 간섭하거나 교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할 경우, 법령과 학칙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23조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전문성 보장 PART 4

① 교원은 학문의 자유를 가진다. ② 교원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교육 내용 선택, 교육 방법 결정, 평가 및 학생 지도에 있어서 전문성을 보장받는다. ③ 교원은 교육자로서의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PART 5

제24조 교육 연구자로서의 권리 ① 교원은 교육과정과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 ② 교원은 교육 연구자로서 연구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받아야 한다. ③ 교원은 양심과 법령에 따라 연구하여야 하며, 그 결과물을 학습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활동에 활용할 때에는 정치적·종교적 중립을 유지하도록 노력하여야

부록

한다.

부록

197

제25조 건강에 관한 권리 ① 교원은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하게 교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제26조 신분을 보장받을 권리 ① 교원은 직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교육 관련 법규에 규정된 신분상의 권리를 가진다. ② 교원은 교육 행정 기관 등 사회 제반 기관과 단체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교원에 대한 징계는 명확하고 정당한 절차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④ 교원은 징계가 확정되기 이전에는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⑤ 교원은 교육자로서의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품위를 지키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27조 교권을 보호받을 권리 ① 교원은 교육 관련 법규에 의하여 교권을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교원은 육아와 교육 활동을 조화롭게 전개할 수 있도록 지원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교원은 무고한 행위로 인해 교권이 침해받을 경우 교육 행정 기관으로부터 적절한 조치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④ 교원은 교권 침해를 당했을 때 심리적 안정과 원만한 교단 복귀를 위한 상담 등 적절한 조치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⑤ 교원은 교육 관련 법규에 규정된 교육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방해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제28조 학교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① 교원은 학교의 의사 결정 과정에 의견을 개진하고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② 교원은 학생 및 부모 등 보호자의 정당한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 활동에 반영 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③ 교원은 학교의 정당한 공동 사무에 협력하여야 한다.

19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29조 정보에 관한 권리 PART 1

① 교원은 개인 정보를 보호받아야 한다. ② 교원은 학생 및 부모 등 보호자에 관한 정보를 적법한 절차와 수단에 따라 수집·처리·관리하여야 한다.

제30조 전문적 단체 조직 및 참여 권리 PART 2

① 교원은 각종 전문적 단체를 조직하여 교직 전문성을 계발하는 일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제3장 부모 등 보호자의 권리와 책임 제31조 의견을 제시할 권리 PART 3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 등 피보호자의 교육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정당한 절차에 따라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제32조 교육 활동 내용을 공지 받을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가 기준 등에 대해 공지 PART 4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안건, 안건 자료, 회의 일정, 회의 결과 등을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에서 시행되는 학생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설문의 결과와 활용에 대해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PART 5

④ 부모 등 보호자는 장학생, 수상자, 특별 프로그램 수강자, 추천 등의 학생 선발 기준에 대하여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제33조 학생 신상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 내에서의 따돌림, 폭력, 미인정결석, 부적응, 급식 거부 등 자녀 신상의 중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부록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의 질병, 장애, 신체적ㆍ정서적 특이 사항 등 학교 교육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학교에 알려야 한다.

부록

199

제34조 학생 상담에 관한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 교육과 관련된 상담을 요구할 수 있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 교육과 관련된 상담 요구에 응해야 한다.

제35조 시정을 요구할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민주주의의 원칙에 반하는 학교규칙에 대하여 시정을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에서의 비인격적 대우, 차별 등 인권에 반하는 사항에 대하여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교육과정 운영에 위배되는 사안에 대하여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의 종교적 자유가 침해될 경우 이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⑤ 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의 안전과 건강의 침해에 대해 시정을 요구할 권리와 책임이 있다.

제36조 무기명을 보장받을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의견 제시, 이의 제기, 시정 요구 등을 할 때 인적사항에 대한 비밀을 보장받을 수 있다. ② 부모 등 보호자의 무기명을 보장받지 못한 설문 및 평가 결과는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없다.

제37조 편의 제공 등을 요구할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자원 봉사를 할 경우 자발적 의사를 보장받아야 한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가 쾌적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안전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학교 급식을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가 학교에서 동료 학생, 교원, 외부인 등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학교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20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⑤ 부모 등 보호자는 빈곤, 장애, 한 부모 또는 조손 가정, 다문화 가정, 청소년 PART 1

가장 가정, 부적응 학생 등 학생 소수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요구할 수 있다. ⑥ 부모 등 보호자는 교복 등 교육 소비재 공동 구매와 관련하여 학교에 편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다. ⑦ 부모 등 보호자는 학부모회 등의 소집 및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에 편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다.

PART 2

제38조 민주적 학교 공동체를 위한 책임 ① 부모 등 보호자는 학습권과 교권 보호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에 대한 유·무형의 특별대우를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금품 향응을 제공해서는 안 되며, 요구받았을 경우 거절할

PART 3

책임이 있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교사의 교육활동을 침해해서는 아니 된다. ⑤ 부모 등 보호자는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위배되는 요구를 하지 않아야 한다. ⑥ 부모 등 보호자는 강제성 모금, 불법 찬조금 등 부조리에 응하지 않아야 하며,

PART 4

이의 근절을 위해 교육주체로서의 책임을 다 해야 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헌장은 2012. 9. 1.부터 시행한다.

PART 5 부록

부록

201

20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03

20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05

20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07

20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09

MEMO

21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MEMO

211

초등학교(1~3학년)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 발행일 2023년 3월 발행처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 76길 11 ☏ 053)231-0000 ※ 이 책에 실린 모든 내용에 대하여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Get in touch

Social

© Copyright 2013 - 2024 MYDOKUMENT.COM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