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특성화고-내지.새로 Flipbook PDF


70 downloads 98 Views 56MB Size

Story Transcript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 학부모

발간사

그대의 아이는 그대의 아이가 아니다 아이들은 스스로를 그리워하는 큰 생명의 아들과 딸들이니, 아이들은 그대를 거쳐서 왔을 뿐 그대로부터 온 것이 아니다. 또 그대와 함께 있을지라도 그대의 소유가 아니다 그대는 아이들에게 사랑을 줄 수 있으나 그대의 생각까지 주려고 하지 말라 아이들에게는 아이들의 생각이 있으므로. 그대는 아이들에게 육신의 집을 줄 수 있으나 영혼의 집까지 주려고 하지 말라 아이들의 혼은 내일의 집에 살고 있으므로, 그대는 결코 찾아갈 수 없는, 꿈속에서조차 갈 수 없는 내일의 집에, 그대가 아이들과 같이 되려고 애쓰는 것은 좋으나, 아이들을 그대와 같이 만들려고 해서는 안된다 생명은 결코 뒤로 물러가지 않으며 어제에 머무는 법이 없으므로 - ‘예언자’ 중에서, 칼릴지브란 지음, 류시화 옮김 -

우리 아이들은 저마다의 개성과 소질을 지닌 존재 그 자체만으로 이미 완전한 존재입니다. 아이와 부모는 전적으로 다른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고 아이가 스스로 변할 수 있도록 부모가 먼저 변해야하고, 아이가 스스로 자신을 믿고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가 먼저 성장해야합니다. 먼저 성장한 부모의 삶은 자녀들에게는 본보기 그 자체입니다. 자녀를 뛰어난 사람이기보다 따뜻한 사람으로 키워내는 것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육입니다. ‘한 명의 어머니는 백 명의 스승에 견줄만하다’고 했듯이 교육은 원래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하며, 부모보다 더 적합한 교육자는 없습니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모가 자녀에게 따뜻한 사랑을 충분히 주고, 부모 자식 간의 신뢰 관계가 확고하다면 자녀교육의 절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자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최선을 다한 행동에 칭찬과 격려를 해주는 것이 자녀의 꿈과 마음을 키워주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학부모의 성장은 결국 우리 아이들의 성장으로 귀결됩니다. 우리 아이들이 자신의 꿈과 미래를 향해 타고난 역량과 따뜻한 인간미를 한껏 발휘할 수 있는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나는 데 가장 큰 교육자이자 지원자는 바로 학부모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새롭게 변화하는 세상에 힘차게 발을 내딛고 궁극적으로는 자립할 수 있도록 우리 부모님들이 혼신의 힘을 다해서 애써 주셔야합니다. 이에 우리 교육청은 변화된 교육 환경에 맞추어, 최신 교육 정보가 담겨 있는 자녀교육 가이드북을 통해 학부모님의 고민을 해결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책은 소중한 우리 아이들의 성장과 발전적인 내일을 기대하는 학부모의 마음을 담아 제작한 자녀교육 도움자료입니다. 4세 유아부터 초, 중, 고등학교 자녀를 둔 학부모를 위하여, 2013년 이후 벌써 열한 번째 새로운 모습으로 찾아갑니다. 『2023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을 가까이 두시고 자녀교육에 가치 있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우리교육청은 앞으로도 우리 아이들의 더 나은 성장과, 자녀와 학부모님의 행복하고 건강한 관계를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습니다. 끝으로 2023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 발간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애써주신 개발위원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2023. 3. 대구광역시교육감 강 은 희

일러두기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 개요

의무교육 과정인 중학교와는 달리 고등학교는 학생의 진로와 소질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학교 과정에서 진로탐색을 통해 본인의 소질과 적성을 일찍 발견하여 특성화·마이스터고를 선택하였지만, 중학교, 일반고와는 사뭇 다른 학교 환경에 아이들만큼이나 학부모님들께서도 자녀들의 진로선택에 어려움이 생길 것입니다. 특성화·마이스터고는 진로선택의 폭이 넓다고 하는데 막상 진학과 취업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몸도 마음도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아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대화해야 할지, 고민은 많지만 친절하게 하나하나 방법을 가르쳐주는 이도 없습니다. 이 가이드북은 모두 다섯 개의 장으로 나뉘어 특성화·마이스터고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학부모님들께서 자녀를 교육할 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고민을 해결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정보들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을 어떻게 지도하는지 안내하고, 가정에서는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어떻게 대하면 좋을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제1장 교육활동 및 학습 지도 특성화·마이스터고에 대한 안내와 배우는 교과 및 공부 방법, 학교생활기록부, 직업기초능력평가 등 특성화·마이 스터고의 전반적인 교육활동 및 학습 지도 관련 내용 제2장 생활 및 인성 지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지도와 청소년기에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혹에 대처하는 방법 등 생활 및 인성 지도에 관한 내용 제3장 진로 지도

진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특성화·마이스터고의 진로

특성과 학생들의 진학 방법, ‘선취업-후학습’에 대한 안내 제4장 취업 지도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취업 관련 준비 방법과 각종 취업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제5장 기타 교육활동

학부모의 학교 활동 참여에 대한 안내, 학생들의 출석

인정 및 출결상황,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등을 포함한 기타 교육활동에 관한 내용이 한 권의 책이 특성화·마이스터고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학부모님의 든든한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기준으로 제작하였으므로 이후이후 관계관계 법령이나 자료는 발간시점(2023년 발간시점(2023년2월)을 2월)을 기준으로 제작하였으므로, 법령 제도, 지침지침 등의 변경된 부서에서안내하는 안내하는 지침이나 공문을 이나 제도, 등의 변경된내용은 내용은 관련 부서에서 지침이나 공문을 참고 참고해야 법적 행정적 절대성을 갖거나 각종대한 사안에 대한 대응근거로 해야 하며,하며, 법적 행정적 절대성을 갖거나 각종 사안에 대응근거로 사용될 수 사용될 수 없습니다. 없습니다.

자녀교육 가이드북 CONTENTS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현장체험학습..........................................................54 개인별 교외현장체험학습.................................56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58 사이버 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68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청소년 자살 예방 및 대처 방법....................... 71 아동학대 예방교육............................................... 74 학생 정서ㆍ행동 특성검사............................... 77 청소년의 뇌와 도파민, 중독 상관관계.........79

특성화ㆍ마이스터고등학교 안내.................. 12 교육과정................................................................... 18

청소년 흡연 대처 방법........................................ 81 청소년 음주 예방 및 관리.................................84

학교생활기록부..................................................... 27 특성화ㆍ마이스터고 전・재・편입학............... 35

호흡기 감염병 예방 수칙...................................85 청소년 스트레스 대처 방법..............................87

직업기초능력평가................................................ 37 학습 지도................................................................. 40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 예방.............................88 다양한 상담 Wee 프로젝트.............................. 91 학업중단 숙려제....................................................93 성교육 및 양성평등 교육...................................95 성폭력, 디지털 성범죄(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 교육..................................................................98 몸캠피싱의 위험성과 예방 및 대처 방법.....103 저작권 교육........................................................... 106 부모 자녀 의사소통 방법................................. 109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 113 장애학생의 인권 보호........................................ 116 통합교육.................................................................. 117 각종 재난 발생 시 대응 요령.......................... 118 청소년 사이버도박 에방 및 대처법..............124

PART

3 진로 지도 진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132 특성화ㆍ마이스터고등학생의 진로 지도....133 자녀를위한 진로교육의 시작......................134 특성화고등학교의 맞춤형 직업 진로교육 프로그램..............................................................136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진학.......................138 선취업-후학습 제도....................................... 146 창직과 창업........................................................ 152

PART

5 기타 교육활동 학교운영위원회....................................................212 학교발전기금.........................................................213 교원능력개발평가...............................................214 출석인정 및 출결상황........................................216 현장실습 표준협약서.........................................219 학교정보공시........................................................ 224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225 청렴을 기본으로하는 대구교육.................... 226 학교안전사고 보상 공제제도 안내.............. 229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 안내......232 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233 도움 되는 사이트 안내.......................................235

PART

4 취업 지도 현장실습과 취업.................................................. 160 취업지원 프로그램..............................................190 기술자격 취득...................................................... 202

부록 대구교육권리헌장......................................... 240 참고 문헌............................................................248 챗봇 서비스 모두모아................................... 252 찍고보는 자녀교육정보............................... 253

우리 아이 공부 어떻게 도와줄까요? 특성화 · 마이스터고등학교에 진학한 우리아이, 어떻게 공부를 도와주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PART

교육활동 및 학습 지도

1

•특성화ㆍ마이스터고등학교 안내 ������� 12 •교육과정 ······································· 18 •학교생활기록부 ······························ 27 •특성화ㆍ마이스터고 전ㆍ재ㆍ편입학 ����� 35 •직업기초능력평가 ··························· 37 •학습 지도 ······································40

가정은 도덕상의 학교다. 가정에서의 인성 교육은 중요하다. - 페스탈로치 -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특성화·마이스터 고등학교 안내

1

특성화 · 마이스터고등학교에 진학하면

공부해야 하는 양이 많아지고 내용도 어려워짐 수업 시간이 5분 늘어나고 그만큼 학교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짐.  수업도 기초 소양을 위한 보통교과와 전공 기능 연마를 위한 전문교과로 나누어짐. 특성화·마이스터고에서는 학생들의 진로에 따라 공부해야 하는 과목수가 늘어나고. 내용도 심화되며 전공과목의 경우 처음 접하게 됨.

직업교육을 진행 특성화·마이스터고의 학과 선택은 미래의 직업을 선택하는 것과 같아 기계과를 선택했다면 이 학생은 앞으로 학교에서 기계와 관련된 이론과 실습을 배워 기계 관련 기능을 연마하고 기계 관련 직업을 가지게 됨. 특성화·마이스터고는 학생이 관련 전공의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해당 분야의 기능과 기초 소양을 가르치는 고등학교임. 특성화고의 경우 전공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졸업 후, 대학 진학도 가능하며, 마이스터고의 경우 선취업 후, 다양한 후학습의 제도에 따라 진학을 할 수 있음.

취업의 질은 학교생활에서 결정 취업을 위해서는 서류전형, 전공 및 직업기초능력 시험, 면접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기업체는 필요에 따라 2~3단계를 거쳐 신입사원을 채용. 서류전형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출결, 성적, 특기사항 등), 자기 소개서를 보며, 전공 및 직업기초능력 시험에서는 전공기초지식 및 업무를 수행할 능력

1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생이  학교생활(수업, 각종 대회, 자격증 취득, 동아리 활동 등)을 충실히 하면 학교생활기록부 및 자기 소개서 내용이 알차서 1차 서류전형 통과 확률이 높아 질 것이고, 직업기초능력의 결과도 잘 나올 수 있어 취업에 유리함.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의사소통능력, 수리활용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을 평가.

부모의 관심이 중요 PART 2

고등학교  3년간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실습 비중이 높고 입시 위주의 교육 에서 벗어난 다양한 활동 중심의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므로 학생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더욱 요구됨. 바쁜  일상과 고단함을 조금 뒤로 하고 하루에 10분 정도 아침 또는 저녁 시간에 학생과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음.

PART 3

담임  및 학생 진로 담당 선생님과 한 학기에 두 번 이상 상담(전화 상담을 하여도 됨) 을 하면 좋은 결과가 나올 것임.

‘선취업-후학습’을 활용 고졸  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정부는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지원제도, 청년 PART 4

내일 채움 공제제도(취업지원프로그램 참조)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으며 취업 후 3년 이상의 경력이 있으면 재직자 특별전형으로 원하는 대학교에 진학을 할 수 있음.

PART 5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13

2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

고등학교 직업교육을 대표하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는 체제를 개편한 후 취업 중심의 명품 학교로 거듭나고 있음.

특성화고등학교 특정 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소질과 적성에 맞는 교육을 통해 좋은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함.

마이스터고등학교 특수목적고등학교로서 전문적인 직업교육 발전을 위하여 산업계의 수요에 직접 연계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목적으로 하며 특징은 다음과 같음. • 교장 공모제로 책임 있는 학교 운영 보장 •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을 교육과정으로 개발하여 운영 • 기숙사 제공 •교  사와 학생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과 체험 중심의 수업 운영을 위해 학급당 학생 수를 18명 내외로 편성

1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이것이 궁금해요

특성화 · 마이스터고등학교 바로 알기 PART 2

‌ 대구광역시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알려 주세요. 특성화고등학교(16교) •공업 계열: 경북공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대구하이텍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

PART 3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상업·정보 계열: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가사·실업 계열: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마이스터고등학교(4교) PART 4



•경북기계공업고등학교, 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대구일마이스터고등학교

PART 5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15

3

배우는 과목

이것이 궁금해요

배우는 과목이 일반고등학교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고등학교는 보통교과[국어, 수학, 영어, 사회(역사/도덕 포함), 과학, 체육, 예술(음악/미술), 기술·가정, 제2외국어, 한문, 교양 과목] 위주로 배우지만 특성화고등학교와 마이스터고등학교는 보통교과와 해당 전공학과에서 교육하는 전문교과Ⅱ 를 동시에 배우게 됩니다.

보통교과와 전문교과Ⅱ의 편성 이수 학점은 어떻게 되나? 학 ‌ 교는 교과(군)의 총 이수 학점 174학점 중 필수 이수학점으로 보통 교과를 66학점 이상, 전문 교과Ⅱ를 86학점 이상 편성·운영하여야 하며, 학생의 적성·진로와 산업계 수요를 고려하여 자율 편성 학점을 22학점 편성·운영해야 합니다.

전문교과는 어떻게 구성되어 진행되는가? 특 ‌ 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전공계열 과목은 전문교과Ⅱ로 분류되며 전문 교과Ⅱ에는 17개 교과(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문교과Ⅱ는 전문 공통과목, 기초과목, 실무과목으로 구분되며 실무과목은 NCS 기반 과목입니다.

•17개 교과(군) : 경영·금융/보건·복지/디자인·문화콘텐츠/미용·관광·레저/음식 조리/건설/기계/재료/화학공업/섬유·의류/전기·전자/정보·통신/식품가공/인쇄· 출판·공예/환경·안전/농림·수산해양/선박운항

•전문 공통과목 : 성공적인 직업생활 •기초과목 : 17개 교과(군)에 따름 •실무과목 : 17개 교과(군)에 따르며, 실무과목에는 능력 단위에 따라

학습모듈이 포함됨 ※ ‌계열의 전공 학과마다 학교의 실습실 환경과 여건에 따라 다양한 전문 과목을 선택하여 가르치고 있습니다.

1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에 진학 시 유리한 점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전문 기능·기술 습득으로 취업에 있어 일반고등학교에 비해 유리함.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4

전문화된 학습으로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결정할 수 있음. PART 2

선취업-후학습(재직자 특별전형: 졸업 후 3년간 기업체 재직 시 대학 진학 가능, 등록금 지원)과 대기업 및 유망 중소기업과의 산학협정 체결로 인해 취업이 매우 유리. 내실 있는 현장실습 교육으로 취업을 위한 직업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취업 기회를

PART 3

조기에 확보할 수 있음. 첨  단 기술을 학교 교육에 접목하여 실무능력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현장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 계  속 교육을 희망하는 학생은 대학의 각종 특별전형 및 대학별 독자전형 등의

PART 4

방법으로 진학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음. 자  격증과 연계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해 1인 1개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어 취업 및 대학 수시모집 등에 유리.

PART 5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17

교육과정 1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OECD 4C

창의력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의사소통

Creativity

합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지식 정보 처리 능력

Communication

협업

Collaboration

다양한 경험을 융합적으 로 활용해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능력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미래 인재 핵심 역량 4C 비판적 사고력 Critical Thinking

공감,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 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존 중하는 능력

지역, 국가, 세계 등 공동 체 발전에 적극 참여하는 능력

2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보통교과

기초/탐구/체육·예술/생활·교양

전문교과Ⅱ

17개교과(군):경영·금융/보건·복지/디자인·문화콘텐츠/ 미용·관광·레저/음식조리/건설/기계/재료/화학공업/ 섬유·의류/전기·전자/정보·통신/식품가공/인쇄·출판· 공예/환경·안전/농림·수산해양/선박운항

교과군

창의적 체험활동

자율/동아리/봉사/진로 활동

※ 2022학년도 신입생 적용(각시도 교육청별 교과 배당 기준 상이함)

1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국어

국어(8)

수학

수학(8)

영어

영어(8)

한국사

한국사(6)

사회(역사/도덕 포함)

통합사회(8)

과학

통합과학(8)

24

12

체육

8 6

기술·가정/제2외국어/ 한문/교양

10

PART 3

17개 교과(군) 등

학생의 적성, 진로와 산업계 수요를 고려하여 편성

6

예술(음악/미술)

소계 전문 교과Ⅱ

공통과목(학점) 필수 이수학점 자율편성학점

PART 2

보통 교과

교과(군)

PART 1

특성화·마이스터고 교과배당 기준 교과영역

교 과 (군)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

66 22

86

창의적 체험활동

18(288시간)

총 이수 학점

192

PART 4 PART 5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19

4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NCS의 개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태도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을 의미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념도

직무능력 일을 할 수 있는 On-spec인 능력, 직업인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공통능력,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지식, 기술, 태도)

NCS의 활용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교육훈련기관의 교육훈련과정,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및 교재 개발 등에 활용되어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에 기여하며,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개발경로 개발, 직무기술서, 채용·배치·승진 체크리스트, 자가진단 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2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PART 2 PART 3

5 직업계고 학점제 PART 4

고교학점제란 고등학생이 자신의 진로·적성 및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고 기준학점을 채우면 졸업을 인정하는 제도를 말한다. 기존 마이스터고와 더불어 2022학년도부터 특성화고 모든 학교에 적용되며 기존 204단위에서 192학점으로

PART 5

졸업 기준이 줄어들며 학생들이 전공과목 이외의 다양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어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직업계고 학점제 교육과정 학점제형 교육과정의 적용: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해 진로 및 학습 수준에 따라 영역별·단계별 선택이 가능한 교육과정으로 개정 및 적용 부록

선택형 교육과정 안착: 과목 개설에 대한 학생 수요 적극 수용 학교 밖 학습 경험 인정: 학교 내 과목 개설을 원칙으로 하되 지역사회 연계등 학교 밖 경험을 학점으로 인정 확대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21

직  업계고 학점제 안착

- 전공 심화형(학과내)· 전공 융합형(학과 간) 교육과정 활성화 - 3학년 2학기에는 취업 준비, 현장 실습 등을 위한 학점 집중 이수 - 학생희망에 따라 전공 과목 중점 또는 현장 실습 과목중 선택

직업계고 학점제 8가지 운영 모형 구분

운영 모형 세부전공 학

코스형

내용 학과 교육과정 내 인력 양성 유형에 따라 다양한 세부전공 (코스)을 선택 이수

과 내

후학습 지원형

기본 모형 학

타학과 융합형

선취업·후학습 대비 기초 학력 보장을 위한 해당 과목 학점 확대 및 교과 선택 기회 제공 학과 전공과 관련 있거나 학생이 이수를 원하는 타 학과 과목 선택 기회 제공

과 간

부전공 이수형

[공동교육과정] 학

1:1 매칭형

교 간

타 학과 과목을 심화 이수 예) 타 학과의 과정평가형 자격 이수 등 인접한 두 학교 간 공동 교육과정 운영 예) 직업계고-직업계고, 직업계고-일반고, 일반고내 직업과정-일반과정 등

[공동교육과정]

지역 내 학교 간 고용 교육과정 운영

연합 캠퍼스형

예) 공동실습소, 교육청 산하 연수원 등

선택 모형

학교 밖 연계형

지역 및 국외 산업체, 대학 등 교육 프로그램과 시설 활용 예) 산업체, 각종 교육원, 직업훈련기관등

학 교 밖

블렌디드 학습형

2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원격 수업+학교 밖 체험+ 학교 내 수업을 혼합 예) 원격 교육기관의 콘텐츠를 활용하는 온라인 교육

맞추어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 학과

기계과

교육과정

A직무

경영사무과 A직무

B직무

필수과목

과목

선택I

기계

유형

조작원

C직무

선택II

선택II

금형원

회계 사무원

C직무

필수과목

선택I

선택II

인력양성

B직무

필수과목

선택I 선택II

선택II

PART 2

(전문교과II)

디자인과

선택II 출판편집

총무 사무원

디자이너

디자인 실무원

PART 3

후학습 지원형: 선취업 후학습 지원을 위해 후학습 지원을 위한 기초학력과정을 이수하고 코스형에서는 학생이 선택한 교과를 이수하는 제도 (예시) 유형

학과

후학습 지원형

코스

1학년

3학년

펌웨어 개발

보통교과

로봇

전문교과 (필수)

PART 4

코스형

2학년

보통교과,전문 보통교과,전문 교과 교과

기초학력과정 스마트 팩토리과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세부 전공 코스형: 학생이 소속되어 있는 학과안에서 원하는 인력양성유형에

전문교과 (선택) 전문교과 (선택)

타 학과 융합형: 학생이 소속된 학과의 전공과목이외에도 타학과의 과목을 PART 5

선택하여 융합하여 교과목 이수 (예시) 기계과

전자과

스마트팩토리과

전자과 B직무

B직무

스마트팩토리 과 C직무

C직무

기계과 A직무

필수/선택I

선택II

필수/선택I

선택II

필수/선택I

선택II

회로를 이해하는 기계/밀링 조작원

자동화설비를 이해하는 전자 설비 보수원

부록

A직무

기계구조를 파악하는 자동화 라인 운용원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23

6

성취평가제

성취평가제의 기본방향 성취평가제는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책무성 강화, 창의적 교실 수업 구현, 진학과 취업에서 학교교육 성과 중시 등을 통해 학교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교육과정 재구성-수업-평가-기록 성취기준 중심 수업

4

성취평가제

타당도 확보

평가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기록

과정중심 수행평가

피드백, 세특 고려

성취평가제의 기본 방향

성취평가제를 실시하는 이유 성취평가제는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책무성 강화, 창의적 교실 수업

성취기준 (교육현장구현)

교육 과정

4

평가 성취평가제기록

성취평가제의 기본 방향

성취평가제는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책무성 강화, 창의적 교실 수업

구현, 진학과 취업에서 학교교육 성과 중시위주의 등을 통해 학교교육의 경쟁력가지는구현, 취업에서 점수 경쟁에서 학생들이 학업진학과 스트레스 완화학교교육 성과 중시 등을 통해 학교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서로 존중하고 협력할 수 있는 학교문화 정착

성취평가(준거참조평가)의 특징창의·인성교육의 실현 성취평가(준거참조평가)의 특징 학교의  교과별 점수분포 및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파악하여 부풀리기 방지 교육은 본래 목표를 추구하는 인간 활동이라고 본다. 교육은 본래 목표를성적 추구하는 인간 활동이라고 본다. 학생이 무엇을 성취하였는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였는지에 관심이 있다.

학생이 무엇을 성취하였는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였는지에 관심이 있다.

대부분의 학생이 기대하는 성취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이 기대하는 성취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상대평가와 비교 교육평가의 기능을 교수·학습의 과정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해한다. 상대평가

비교집단 내의 상대적인 서열 비교

성취평가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 판단 개인성취율



A B C D

9

8

7

6

5

4

3

2

1

4%

7%

12%

17%

20%

17%

12%

7%

4%

E



교육평가의 기능을 교수·학습의 과정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해한다.

상대평가

비교집단 내의 상대적인 서열 비교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 판단

기준성취율

2023 자녀교육 점수 위주의 경쟁에서 24 학생들이 가지는가이드북 학업 스트레스 완화

A B C



성취평가제를 실시하는 이유

개인성취율



⬅ ⬅

성취평가

D 9

8

7

6

5

4

3

2

1

4%

7%

12%

17%

20%

17%

12%

7%

4%

E

⬅ ⬅

기준성취율

⬅ ⬅

성취평가제를 실시하는 이유

점수 위주의 경쟁에서 학생들이 가지는 학업 스트레스 완화

서로 존중하고 협력할 수 있는 학교문화 정착

서로 존중하고 협력할 수 있는 학교문화 정착

창의·인성교육의 실현

창의·인성교육의 실현

학교의 교과별 점수분포 및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파악하여 성적 부풀리기 방지

학교의 교과별 점수분포 및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파악하여 성적 부풀리기 방지

•사전에 잘 정의된 준거에 비추어 특정 영역의 성취 여부나 정도에 따라 평가

•개인이 얻은 점수를 비교집단의 규준에 맞추어 상대적인 서열에 의해 판단하는 평가

목적

•학생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개인차 변별 및 상대적인 위치 파악 •개인과 개인

점수 기록 •A-B-C-D-E 등

•석차 9등급, 과목별 석차 •상호경쟁으로 발전 유도 •학습 결과 중심으로 평가함에 따라 학습 촉진 곤란 및 교수·학습 이론 부적절 •집단 내 지나친 배타적 경쟁 유발로 인성교육에 부적절 •학생들 간의 협동학습 통한 나눔과 배려가 부족 •교육의 질적 수준 분석이 어려움.

PART 3

•내용과 과정에 대한 심층적 분석으로 교수·학습방법 개선 용이 •협동학습 분위기 조성 •탐구정신의 발휘와 지적 성취 유발 통한 창의·인성 수업 방식 활성화 •경쟁을 통한 외적 동기 유발 부족

PART 2

비교 대상 •준거와 수행

PART 1

상대평가 (규준참조평가)

평가 방식

장점 및 단점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성취평가 (준거참조평가)

PART 4

성취도 평가 교과별 평가계획에 명시되어 있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점수 반영비율에 따라 합계 점수와 원점수를 산출한 후 분할점수에 따라 성취도(A-B-C-D-E 또는 A-B-C 등)를 평정한다. 분할점수는 학교 학업성적관리규정에 제시된 교과별 기준 성취율을 준거로 정해진다.

PART 5

기준 성취율의 예시 성취도

90% 이상

A

80% 이상 ~ 90% 미만

B

70% 이상 ~ 80% 미만

C

60% 이상 ~ 70% 미만

D

60% 미만

E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부록

성취율(원점수)

25

이것이 궁금해요

성취평가제 바로 알기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무엇인가요? 성취기준: 각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성취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을 진술한 것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실질적인 근거로 교사가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해야 하는지, 학생이 무엇을 공부하고 성취해야 하는지에 관한 실질적인 지침입니다.



성취수준: 학생들이 교과목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취 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몇 개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에 있는 학생들의 지식, 기능, 태도의 특성을 설명한 것입니다. 성취수준은 ‘성취기준 단위 성취 수준(상, 중, 하)’과 ‘학기 단위 성취수준(A-B-C-D-E 등)’으로 구분됩니다.

학기 단위 성취수준은 어떻게 활용되나요? 학기 단위 성취수준은 학기말 성취도(A-B-C-D-E)의 각 수준에 있는 학생들이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종합적으로 기술한 것으로, 성취기준과 함께 평가 계획 수립, 평가도구 및 채점기준 개발, 학생의 교과목별 성취수준 파악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됩니다.

TIP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별 성취기준·성취수준」 자료 탑재 사이트 안내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ncic.re.kr), ‘교육과정자료실’→‘평가기준’ •학생평가 지원포털(http://stas.moe.go.kr)

2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학교생활기록부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시 참고사항

PART 2

학교생활기록부는 학생의 성장과 학습 과정을 상시 관찰·평가한 누가기록 중심의 종합 기록이어야 함. 학교생활기록부에는 학교교육계획이나 학교교육과정에 따라 학교에서 실시한 각종 교육 활동의 이수상황을 기재하는 것이 원칙임.

PART 3

※ 학  교교육계획 이외의 체험활동은 교육관련기관에서 주최하고 주관한 행사, 봉사 활동 실적 등만 학교장이 승인한 경우에 한해 기재 가능함.

사교육 유발 요인이 큰 사항은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란을 포함하여 학교 생활기록부의 어떠한 항목에도 기재할 수 없음. ※ 예시 PART 4

• 각종 공인어학시험 참여 사실과 그 성적 및 수상 실적 • 교과·비교과 관련 교외대회 참여 사실과 그 성적 및 수상 실적 • 교내대회 참여사실과 그 성적 및 수상실적 • 자격증 명칭 및 취득 사실

PART 5

※ 학  교교육. 학교생활기록부에는 학생이 재학(또는 졸업 예정)한 고등학교를 알 수 있는 내용은 ‘인적·학적사항’, 수상경력의 ‘수여기관’, 봉사활동 실적의 ‘장소 또는 주관기관명’을 제외한 어떠한 항목에도 기재할 수 없음.

학교생활기록부에 ‘항목과 관련이 없거나 기록해서는 안 되는 내용의 기재’, ‘단순 사실을 과장하거나 부풀려서 기재’, ‘사실과 다른 내용을 허위로 기재’ 하는 등 학교생활기록부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함.

부록

학교장의 참가 허락을 받아 참여한 각종 교외대회에서의 수상실적도 기재 불가함.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27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영역

2

영역

내용

인적·학적사항

출결상항

수상경력 자격증 및 인증 취득상황

자율활동

창의적

동아리활동

학생정보, 학적사항, 특기사항 ※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사항 제8호, 9호 입력 수업일수, 결석일수, 지각·조퇴·결과 횟수 및 특기사항 ※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사항 제4,5,6호 입력 교내상 기재, 교외상은 입력하지 않음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자격증,국가공인 민간자격증

자치·적응활동, 창의주제활동 등

예술·체육활동, 학습문화활동, 실습노작활동, 청소년단체활동 등

체험활동 상황

교과학습 발달상황

봉사활동

이웃돕기활동, 환경보호활동, 캠페인활동 등

진로활동

자기이해활동, 진로탐색활동, 진로설계활동 등

공통기재

교과, 과목, 단위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보통교과

성취도(수강자수), 석차등급,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전문교과

성취도(수강자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독서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2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독서기록장, 독서포트폴리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등의 증빙자료를 통한 기재 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종합의견을 문장으로 입력 ※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사항 제1,2,3,7호 입력

학생부 신뢰도 및 공정성 강화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구분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 학교생활기록부 주요 변경사항

(2024학년도 대입)

교과활동

・ 방과후학교 활동(수강) 내용 미기재

PART 2

・ 영재・발명교육 실적 대입 미반영 ・ 자율동아리 대입 미반영

동아리활동

・ 청소년단체활동 미기재 ・ 소논문 기재 금지 ・ 특기사항 미기재

비 봉사활동

과 영 역

・ 개인봉사활동 실적 대입 미반영 단 학교교육계획에 따라 교사가 지도한 실적(학교)로 등록)

PART 3



은 대입 반영 진로활동

・ 진로희망분야 대입 미반영

수상경력

・ 대입 미반영

자격증 및 인증취득

・ 대입 미반영

상황

PART 4

독서활동

(국가직무능력 표준이수상황은 제공) ・ 대입 미반영

대입전형별 주요 평가 요소 교과성적 위주 + 수능최저(상위 4년제)

교과 + 비교과(학생부 종합)

대입 전형 3요소

학생부 교과전형

학생부 종합전형

수능 최저 (일부)

대입 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최저학력기준, 정시)

교과 역량

논술전형

정시 수능전형

논술 역량

교과 역량

수능 최저 (거의 대부분)

수능성적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부록

대학별고사 (논술, 면접)

교과연계활동

수능 최저 (대부분)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교과활동)

PART 5

교과 성적 교과 성적

29

교과학습발달사항(성적일람표)

4

[입력 예시] 2015 개정 교육과정 원점수/과목평균 (표준편차) 구

석차 등급

분 과목 원점수 평균

보 통 교 과

표준 편차

성취도

수강 자수





공동과목







5단계





·(성취도3단계) 과학탐구실험 ※과학탐구실험은 석차 등급 미 산출

기초/탐구 생활·교양







5단계





·교양 교과(군) 제외

체육·예술

­­-

­­-

­­-

3단계

­­-

­­-

·수강자수 입력하지 않음

3단계



­­-

·진로선택으로 편성된 전문교과 Ⅰ·Ⅱ’ 포함 ·교양 교과(군) 제외, ·‘석차등급’ 및 ‘표준편차’삭제, ‘성취도별 분포비율’ 입력

일반 선택 과목

진로 선택 과목 ※기초/탐구/생활·교양/ 체육·예술





*성취 도별분포 비율입력

교양 교과(군)

­­-

­­-

­­-

P

­­-

P







5단계











5단계



-

·석차등급은 산출하지 않음

전문교과Ⅲ







5단계



-

·석차등급은 산출하지 않음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에 한함

보통교과 및 전문교과Ⅰ중 수강자수 13명 이하인 과목







교과(군)별 3단계 또는 5단계



‘-’ 또는 ‘○’ 등급

학교 간 통합선택교과 (공동 교육과정)과목







교과(군)별 3단계 또는 5단계



-

전문교과Ⅰ

전문교과Ⅱ

30

성취도 (수강자수)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성취도3단계)융합과학 탐구, 과학 과제연구, 물리학 실험, 화학실험,생 명과학실험,지구과학실험,사회탐구 방법,사회과제연구

·보통교과 공통과목 과학탐구실험,진로 선택과목(진로 선택으로 편성된 전문교과 포함),체육,예술교과(군)의 일반 선택과목 제외, 교양교과(군)의 과목 제외

·보통교과 진로선택과목(진로선택으로 편성된 전문교과포함) 체육,예술 교과(군)의 일반 선택과목,교양교과(군)의 과목 제외

적용 교과목 교과 영역

성취도

과목

•공통 과목, 일반 선택 •공통 과목(과학탐구실험 제외), 일반 선택 •일반 선택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전문 교과 I (과학 계열, 체육 계열,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사회 탐구 방법, 사회과제 연구 제외

예술 계열, 외국어 계열, 국제 계열)

•전문 교과 II, III •체육·예술 •기초, 탐구, 생활

A, B, C, D, E

•전체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진로 선택, 공통 과목(과학탐구실험)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PART 2

•기초(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역사/도덕 포함), 과학) •생활(기술·가정/제2외국어/한문)

A, B, C

•교양 (철학, 논리학 등)

•전체 과목

PART 3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사회 탐구 방법, 사회과제 연구 제외

•전문 교과 I (과학 계열, 국제 계열)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교과별 평정방식

5

P

보통교과 및 전문교과Ⅱ 성적일람표 예시

6

PART 4

보통교과 성적일람표 2023학년도 제1학기 국어과 성적일람표 제1학년 (강의실명)

명칭,영역 (반영 비율) 반/번호,성명

수행평가 (40%)

1회 2회 ○○○ ◇◇◇ □□□ △△△ (30%) (30%) (10%) (10%) (10%) (10%) 28.50 29.40 25.50 19.20 30.00 9.95 23.42 21.24

8.80 6.00

9.60 8.00

8.80 7.00

합계 원점수 성취도

10.00 95.10 5.00 70.70

95 71

A C

석차 등급

석차 (동석차)/ 수강자수

1 5

4(15)/532 273/532

30.00 10.00 10.00 10.00 10.00 100.00 10.00 5.00 6.00 7.00 5.00 42.95 25.74 8.40 8.16 8.76 7.59 82.07 24.43 8.50 7.52 8.91 7.35 77.95

부록

1/1 김길동 1/2 나민주 1/3 수강자 최고점 수강자 최저점 수강자 평균 강의실 평균 과목 평균 과목 표준편차

지필평가 (60%)

) (인)

PART 5

평가 방법 (반영 비율)

교과담당교사(

82.1 10.1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1

등급별 학생수 산정 방식 예시 누적인원 등급

등급비율

누적비율 1학급(21명)

2학급(42명)

3학급(63명) 3

1

4%

~4%

1

2

2

7%

~11%

2

5

7

3

12%

~23%

5

10

14

4

17%

~40%

8

17

25

5

20%

~60%

13

25

38 49

6

17%

~77%

16

32

7

12%

~89%

19

37

56

8

7%

~96%

20

40

60

9

4%

~100%

21

42

63

전문교과Ⅱ 성적일람표 2023학년도 제1학기 상업경제과 성적일람표 제1학년 (강의실명) 평가 방법 (반영 비율) 명칭,영역 (반영 비율) 반/번호,성명

지필평가 (60%)

교과담당교사(

) (인)

수행평가 (40%) 합계

원점수

성취도 (수강자수)

1회 2회 ○○○ ◇◇◇ □□□ △△△ (30%) (30%) (10%) (10%) (10%) (10%)

1/1

김길동 28.50

29.4

8.80

9.60

8.80

10.00

95.1

95

A(553)

1/2

나민주 25.50

19.20

6.00

8.00

7.00

5.00

70.7

71

C(553)

30.00 3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3 수강자 최고점

32

수강자 최저점

9.95

10.00

5.00

6.00

7.00

5.00

42.9

수강자 평균

23.42

25.74

8.40

8.16

8.76

7.59

82.0

강의실 평균

21.24

24.43

8.50

7.52

8.91

7.35

77.9

과목 평균

82.1

과목 표준편차

10.1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실무과목(능력단위) 성적처리

나이스 기재 영역 : [교과학습발달상황] 실무과목 성적처리(예시 : 선반 가공) 고사/영역명

반영비율 (A)

영역 만점

점수 (B)

환산점수 (AxB)

중간고사

10%

100

75

7.5

기말고사

10%

100

75

7.5

홈·테이퍼 작업

20%

100

83

16.6

능력단위1

편심·나사 작업

30%

100

82

24.6

능력단위2

장비 유지 관리

30%

100

88

26.4

능력단위3

82.6

B(성취도*)

비고

PART 2

평가구분

지필평가

수행평가

PART 3

합계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7

※ 기준 성취율의 분할점수가 90점(90%), 80점(80%), 70점(70%), 60점(60%)인 경우 ※ 위 예시는 지필평가 횟수가 2회이고, 능력단위 3개를 수행평가 영역으로 설정하여 평가한 경우임.

PART 4

나이스 기재 영역 : [자격증 및 인증취득상황]

『국가직무능력표준 이수상황』

국가직무능력표준 이수상황(예시) 학년

학기

세분류

능력단위 (능력단위코드)

이수 시간

3

2

선반가공

홈·테이퍼 작업 (1502010106_14v2)

34

83

B

[실무과목] 선반가공

3

2

선반가공

편심·나사 작업 (1502010107_14v2)

34

82

B

[실무과목] 선반가공

3

2

선반가공

장비 유지 관리 (1502010109_14v2)

17

88

B

[실무과목] 선반가공

원점수 성취도

비고

PART 5 부록

※ 기준 성취율의 분할점수가 90점(90%), 80점(80%), 70점(70%), 60점(60%)인 경우 ※ (비고)정규교육과정에서 이수한 능력단위임을 알 수 있도록 실무과목명을 기재함. ※ 과목단위의 능력단위 수행평가 결과는 나이스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로 연동되어 기재됨.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3

TIP 고교 과목별 내신 성적 반영 방식 변화에 대해 알아두기 •공통과목(고교 1학년 이수)과 일반선택과목(대개 고교 2학년 때 이수)은 '상대평가+성취평가' •진로선택과목(대개 고교 3학년 때 이수)은 '성취평가'만 반영 ※ 현재 고교 내신 성적 반영방식은 모든 과목이 '상대평가+성취평가'이다.

「학교생활기록부」 자료 탑재 사이트 안내 •학교생활기록부 종합지원 포털(https://star.moe.go.kr)

3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특성화·마이스터고 전•재•편입학

용어의 정의 PART 2

전입학 현재 재학하고 있는 학교에서 학업의 중단됨이 없이 소정의 절차를 거쳐 동급의 타 학교로 학적을 옮기는 것을 말한다.

PART 3

재입학 학업을 중단한 자가 중단 이전의 학교에 재학 당시 학년 이하의 학년으로 다시 입학하는 것을 말한다. 편입학

PART 4

학업을 중단한 자가 중단 이전의 학교에 재학 당시 학년의 차상급 학년으로 다시 입학하거나 다른 학교로 다시 입학하는 것을 말한다.

원적교 PART 5

학생이 전입학·재입학(복학 포함)·편입학(이하 ‘전·재·편입학’이라 한다)한 학교 이전의 학교를 말한다.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5

전·재·편입학 기준

2 구



특성화·마이스터 고등학교 추첨 배정 일반고등학교

일반고등학교 (선지원 일반고 포함) 특성화고등학교

교육환경 전환을 위한 전입학

기 준

구비서류

•시기 : 1학년 2학기 초(8월 까지), 2학년 1학기 초(3월까지) • 직전 학기 이수한 보통교과 중 공통 과목(4~6과목 8단위 이상) 성적이 석차등급제로 모두 3등급 이내인 자 •학교장이 일반고등학교 교육과정 이수에 지장이 없다고 판정한 학생 •거주지 정원 내로 결원이 있는 2개의 학교 중 무작위 추첨 배정

•추 첨 배 정 받 은 일 반 고 등 학 교 전입학 추천서 •고등학교전입학배정원서 •주민등록등본 •학교장 추천서 •성적증명서

•고등학교전입학배정원서 •시기 : 2학년 1학기말(7월 말일) 이전 •주민등록등본 •교육과정 이수에 지장이 없는 범위 안에서 •학교장 추천서 학교장이 정원 내로 허가 •성적증명서

•시기 : 교육과정 이수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3학년 1학기말(7월 말일) 이전 •학교장이 학생의 교육상 교육환경을 바꾸어 줄 필요가 있다고 인정한 자에 대하여 부모의 동의를 얻어 다른 학교로 전학을 추천 •특성화고는 당해 학교장간의 협의에 의하여 시행

•전(편)입학 추천서 고등학교전입학배정원서 (교육환경전환 및 전학조치대상-서식) •주민등록등본 •학생선도위원회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회의록 사본 •상담기록부 사본 •담임 의견서 •학부모동의서 •학교생활기록부 사본 •학생지도일지 사본 •기타 증빙서류

학교폭력 피해학생 관련 전입학 신설 내용 가해학생이 학교폭력심의위원회를 통해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7조제1항제4호 이상의 조치결정을 받은 경우로서, 피해학생 측에서 전학을 요청하고, 학교장이 피해학생 보호를 위해 전학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신청할 경우에는 거주지 학군과 관계없이 결원 범위 내에서 학교를 배정 ※ 학교폭력 피해학생 보호를 위해 적·부 심사를 생략할 수 있음 3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직업기초능력평가

최근 각 기업체에서 특성화·마이스터 고교 졸업생을 채용하는 데 가장 중요한 PART 2

기준으로 학교성적, 자격증보다는 인성과 직업기초능력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특히 직업기초능력이 특성화·마이스터 고교 졸업생 채용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PART 3

직업기초능력이란? 직무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이고 공통적인 능력이며, 단순히 글을 읽거나 셈을 하는 기초능력의 범위를 넘어 직무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인 능력을 의미 한다.

PART 4

직업기초능력평가란? 직업기초능력평가(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는 특성화·마이스터 고등학생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평가로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직업역량 보유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평가이다.

PART 5

직업기초능력평가의 구성 기초능력군(3개) : 의사소통 국어, 의사소통 영어, 수리활용 업무처리능력군(1개) : 문제해결 직장적응능력군(1개) : 직무적응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7

영역

능력군

의사소통(국어)

기초능력군 기초능력군 기초능력군

업무처리능력군

영역

직무 관련 문서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

평가요소

직무 상황에서 영어 대화 혹은 직무 관련 영어 의사소통 업무수행을 음성 언어 및 문서를 이해하고 의사소통(영어)효과적인 효과적인 업무수행을위해 위해 음성 언어 및평가 문서를 이해하고 � 문서를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을 의사소통(국어) (국어) 표현하는 능력능력 표현하는 수리적 이치나 절차를 활용하여 업무를 해결하는 직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어로전달되는 전달되는 간단한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어로 간단한� 수리활용 직무를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 음성정보를 이해하고 의도한 메시지를 � 의사소통(영어) 문자정보나

문자정보나 음성정보를 이해하고 의도한 메시지를 표현하는 능력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문제를 올바르게 창의적이고 문제해결 표현하는 능력 인식하고 적절하게위해 해결하는 능력을 직무를 수행하기 계산, � 수학적평가 원리 및 수리적 � 수리활용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계산, 수학적 원리 및 수리적 수리활용 사고를 활용하는 능력 직장 내 적응과 업무 수행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사고를 활용하는 능력 직무적응 (영어)

문제해결

비인지적 특성(성격, 동기,태도 등)을 진단 직업장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업무처리능력군 문제해결

직업장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직장적응능력군 직무적응

직무적응 및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량

직장적응능력군

직무적응

직무적응 및 업무수행에 필요한 역량

2 직업기초능력평가 영역과 NCS직업기초능력과의 관계 NCS 연계 직업기초능력평가 영역

PART� PART�

직장적응능력군 업무처리능력군

평가요소

PART� PART�

능력군

PART� PART� PART�

평가 방식 : ICBT(Internet-Computer Based Test)

3평가시행 직업기초능력 평가 일정(학교별 상이) 평가 방식 도구로 : ICBT(Internet-Computer Based Test) 학교 저난실 PC를 활용한 평가 시행

- •시 평가결과 학생 취약점 분석 등을 통한대한 장학결과보고서 및교수 · 학습자료로 및 평가참여 학교에 제공 활용 가능 •도교육청 -•평가결과 2017년 시행 학교별 평가 장학 결과및 공시 학생평가부터 취약점 분석 등을 통한 교수 학습 자료로 활용 가능 •추진

3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녀교육 ● 자녀교육 가이드북 가이드북

31 21

부록부록

평가시행 도구로 학교 전산실 PC를 활용한 평가 시행 대상 : 초4~고1 1학년: 2023. 6. 1.(목) - 6. 13.(화) - 결과인증 결과 활용등급 설정 및 학생 개발 결과인증서 제공을 통해 산업체 2학년: 2023. 6. 14.(수) - 6. 25.(일) 인력 선발에 활용할 있는 근거 마련 •결과인증 등급 설정 및수 학생 개발 결과인증서 제공을 통해 산업체 인력 3학년: 2023. 7. 11.(화) - 7. 14.(금)(예비소집일 포함) - 시· 도교육청 및수 평가참여 학교에 선발에 활용할 있는 근거 마련 대한 결과보고서 제공

PART� PART

평가 방식 및 결과 활용

평가 방식 및 결과 활용

평가 방식 ICBT(Internet-Computer Based Test), 평가시행 도구로 학교 PC를 활용한 평가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4

시행 PART 2

결과활용 결과인증 등급 설정 및 학생 개발 결과인증서 제공을 통해 산업체 인력 선발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 마련 시·도교육청 및 평가참여 학교에 대한 결과보고서 제공

PART 3

평가결과 학생 취약점 분석 등을 통한 장학 및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 가능

TIP 「직업기초능력평가」 자료 탑재 사이트 안내 PART 4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s://teenup.or.kr/) - 평가일정, 모의평가체험 탑재

PART 5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39

학습 지도

1

학습 환경의 변화

실무 중심 교육 전문교과Ⅱ의 실무과목에는 NCS(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능력단위)이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직무 능력을 배우고 익힐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과 관련된 내용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학생은 자신이 선택한 학과에 맞는 실무 과목을 통해 자신의 직무 능력을 향상시킨다.

직업기초능력 배양 보통교과 및 전문교과Ⅱ를 통해 직업기초능력도 배운다. 직업기초능력이란 직장에서 업무를 수행할 능력을 갖추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신입사원들이 맞닥 뜨릴 수 있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으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 등 10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특성화·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3학년 때 ‘직업기초능력평가’를 실시하며 평가 결과는 5등급 체계로 표시된다.

보통교과 수업시간의 축소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Ⅱ로 나누어지며 3개년 동안 배우는 비율은 4:6 정도로 전문교과Ⅱ를 더 많이 배운다. 보통교과에는 국어, 영어, 수학,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체육, 미술, 음악, 제2외국어 등이 포함 되어 있다. 보통교과의 학습량이 일반고에 비해 많이 적지만, 전문교과Ⅱ를 통한 실무 중심 교육을 하게 된다. 진학은 수시모집으로 진행되므로 학교 성적이 매우 중요하다. 학교 성적은 수업시간에 열심히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4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원격수업 운영

천재지변 또는 법정 감염병 등으로 인해 출석(집합)수업이 곤란한 경우에 실시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2

원격수업 준비 단계 PART 2

주간단위 원격수업계획서(학생 안내용)를 학교 홈페이지에 수업 전 주에 담당교사를 지정하여 탑재한다.

원격수업 운영 단계(예시) 단계

기한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원격수업 시행 일정 알림

PART 3

1

세부 내용

시작 전날

•매일 출석점검, 학생 건강 및 학습 상황 확인 - 일정한 시간을 정해 출석부 작성 (온라인 조· 종례 활용)

2

정기적 (주 2~3회)

PART 5

•담임교사와 교과담당 교사간의 학생의 과목별 학습 진행 상황 공유 - 일정한 주기를 정해 학생의 수업참여 여부/참여도 알림

매일 PART 4

3

•시간표에 따른 학습 진행 - 댓글, 쪽지, 게시판 등을 통해 학습 진행 상황 파악 - 질문/답변, 긍정적 격려 피드백 등을 통해 학습 동기 부여 - 학생활동 결과분석→다음 학습 자료/과제의 양/난이도 조절

•담임교사는 정기적으로 학부모와 소통 - 학생의 학습 상황 안내, 상담

원격수업 종료 단계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부록

불가피하게 원격수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을 대상으로 대체(보충)학습 실시한다.

41

3

자기 주도적 학습의 중요성

취업을 위해서 일반적인 기업체의 채용방법은 이력서 및 입사지원서, 자기소개서, 직업기초 능력을 바탕으로 한 직무적성 검사, 면접, 전공 실무 능력, 자격증 등을 통해 채용 이 이루어 진다. 취업을 위한 준비는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및 방과후학교 수업 등을 활용하면 된다. 학생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자기소개서 준비, 직무적성 검사 및 면접 연습, 자격증 취득, 실무 과목을 통한 전공 실무 능 력을 향상시킨다면 원하는 기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스스로 익히는 공부, 3배수 법칙 중요한 공부 법칙 중에 ‘3배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학교 수업이나 학원 강의를 통해 배운 내용을 완전히 자기 것으로 만들려면 그 3배의 노력이 들어 가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학생들의 상황은 어떠한가? ‘배우는 과정’ 에만 주력하다 보니 스스로 ‘익히는 과정’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실정이다. 배운 내용을 익히는 활동은 그 누가 대신해 줄 수도 없다. 스스로 시간을 들이고 노력을 들여 익히는 능력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이다.

4

자기 주도 학습의 필요성

자기 주도 학습은 평생 공부의 좋은 습관을 길러 준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 다시 창조경영사회, 제4차 산업혁명 시대로 변모 하고 있어 지식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습득한 지식의 수명도 점차 짧아지고 있다. 이런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암기력보다는 창의성, 문제해결력이 필요하며, 학력보다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 교육의 무게 중심도 가르침에서 배움으로 옮겨졌고, 우리는 이제 평생 자기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평생학습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공부 하는 방법과 습관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면 공부는 그저 일회성으로 그치게 될 수도 있다. 올바른 공부 방법과 습관의 바탕이 되는 것이 자기 주도 학습능력이다.

4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기 주도적 학습의 실행과정과 절차

자기 주도 학습은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는 과정이다. 자기 주도 학습이란, 말 그대로 학습자 자신이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5

학습 방법을 말한다. 즉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실태를 분석하여 학습할 목표를 PART 2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방법을 설정하여 하나하나 실천하고, 그 이후 이런 일련의 과정을 스스로 반성하고 평가하여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공부해 나가는 것이다.

가정에서 부모님이 학습 코치가 되어 주어야 한다. PART 3

그런데 많은 아이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은 하는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몰라 조금 해보다가 “나는 공부를 해도 안 되는 구나!” 하며 포기해 버리고 만다. 이런 상황에서는 주변 사람들이 도움을 주어야 한다.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방법을 알려 주고 훈련을 시켜야 한다. 이런 학습 코치의 역할을 교사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학부모님이 맡아 주어야 한다. 학습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요령을 모르는 아이들이나 학습 방법을 몰라 성적이

PART 4

제대로 나오지 않는 아이들을 위하여 아이들의 공부 방법을 분석하고 그들의 수준과 특성에 맞게 동기를 유발하고 공부 계획을 같이 짜보고 공부 방법과 전략을 지도하여 공부를 혼자서도 제대로 할 수 있는 습관이 들도록 관리하고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서서히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어 언제 어떤 과목을 하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실행해 나갈

PART 5

수 있다.

이 모든 것을 학습자 스스로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43

6

자기 주도적 학습의 구성 요인

동기적 요인 동기적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은 자신감과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 으로 학습에 접근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공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이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공부하기보다는 재미와 흥미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인지적 요인 인지적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은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한 후, 자기 점검과 자기 평가를 통해 반성하여 수행 과정을 수정 보완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서 자신의 공부 계획을 세워서 자신에게 맞는 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공부한 후, 제대로 알고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이다.

행동적 요인 행동적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성공적 으로 이끌기 위해 가장 적합한 환경을 선택하고 구조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주변을 정리한다든가, 방해 요소를 제거하거나, 조용한 곳을 찾아 가는 등의 구체적 행동으로 실천해 가는 과정이다.

부모의 역할 자녀를 주도적 학습자로 키우기 위해서 부모가 해야 할 실질적인 과제는 학습 과정에 작용하는 동기·인지·행동적 요인을 자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부모가 안내하고 도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4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생 참여 배움 중심 협력학습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 시간을 줄이고, 학생이 배움의 주체가 되어 문제 상황을 친구들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을 늘려 학생이 실제 할 수 있는 능력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7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습 방식이다. PART 2

학생들의 삶과 연계된 실제적인 과제를 접해 보면서 몰입의 과정을 통해 앎의 즐거움을 깨닫도록 하는 학습을 의미한다. 협력학습 수업을 통해 협력하는 태도, 배려와 경청의 자세를 익히고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5대 역량을 몸으로 체득해 나가도록 한다.

PART 3

‘배움의 공동체, 거꾸로 수업, 하브루타, 비주얼 씽킹, PBL’ 등 다양한 수업 철학과 방법들이 활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은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하고, 마침내 수업목표를 달성하여 결과에 도달하는 것이다.

PART 4

•가장 효과적인 학습방법은 ‘실습(실험)’, ‘체험’ , ‘남을 가르치기’이다. 모르는 친구들

에게 설명해주는 것은 절대로 시간 낭비가 아니다. 자신이 알고 있다고 생각한



것도 친구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고 사례를 통해서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메타인지이다. •기존 교육에서는 경쟁학습을 통한 빠른 성과를 강조했지만, 개인의 성장만으로는 사회 전체의 안정과 번영이 보장되지 않는다. 혼자만 성장하면 언젠가는 무너질



수 밖에 없다. 수많은 전문가의 연구를 통해 협력학습이 개별화 학습보다 더 효과



적인 것임이 입증되고 있다. 한 명의 열 걸음보다 열 명의 한 걸음에 더 의미를 부여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PART 5



부록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45

배움의 공동체 백워드

Jigsaw

2가고 2남기

육색사고 모자기법

브레인 스토밍

프로젝트 학습(PBL)

거꾸로 교실

하브 루타

Visual Thinking

학생 활동중심 수업 액션 러님

마인드 맵

문제중심 학습(PBL)

브레인 라이팅

연꽃 기법

PMI 기법

학생 활동중심 수업모델 배움의 공동체 수업 ‘한 명의 아이도 소외되지 않고 질 높은 교육’을 위해 학생들의 삶과 연계된 배움에 초점을 맞춘 수업을 지향한다. 수업은 1개의 프로젝트를 해결하기 위해 3단계(홉-스텝-점프)로 된 소과제가 주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4인이 1개의 모둠으로 협력하고,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교재에 집중하고, 타인의 이야기에 경청하고 자신의 삶과 연결 지으며 협력과 표현을 통해 서로 배우고 함께 성장하게 된다.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 교실에서 수업을 받고, 집에서 과제를 하는 전통적인 수업 방식과 달리 수업에 앞서교사가 제공한 자료(영상, 자료 등)를 사전에 학생 스스로 온라인으로 학습 하고, 교실에서는 토론, 과제 풀이와 같은 상호작용을 하는 형태의 수업방식 이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듣기만 하는 수업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고, 공부에 재미와 깊이를 느껴 성적 향상에도 도움을 받게 된다.

4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대 1로 짝을 지어 질문을 하고 토론하는 유대인식 탈무드 토론법으로, 친구들의 다양한 해답을 경청, 공감, 배려, 소통하는 과정에서 인성교육은 물론 창의성과 사고력까지 기를 수 있다.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하브루타 수업

비주얼 싱킹(Visual Thinking) PART 2

글  , 도형, 기호, 이미지, 색상 등을 활용하여 생각과 정보를 표현·기록하는 사고방법으로 생각을 시각화하는 활동이다. 미적 감각과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복잡한 학습내용을 단순화하고 이미지화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PART 3

PBL 수업(Problem-Based Learning) 문  제중심학습 또는 문제기반학습은 제시된 실제적인 문제를 학습자들이 해결 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진다. 학생 중심의 학습 환경에서 학생 스스로 문제의식을가지고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 조사, 분석, 발표, 평가에 이르기 까지 학습 전 과정에서 학생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자기 주도 학습이다.

PART 4

역량 구현 학생 주도 수업

학생 스스로 자신이 어떻게 배우고 문제를 해결하는지 학습의 과정을 되돌아보고찰 성찰

역량 구현 여러 교과에서 배운 내용을 서로 연결하고 통합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

교과 간 연계와 통합

역량은 지식과 기능 뿐 아니라 동기나 태도와 같은 정의적 특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과제를 수행하고 문제를 해결할 때 통합적으로 작동

부록

학습 과정에 대한 성찰

깊이 있는 학습

PART 5

학생의 삶과 연계한 실생활 맥락 속에서 학습 내용을 습득, 적용 실천하는 교과 교육과정

삶과 연계한 학습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47

8

교내 평가 대비하기

교내 평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우수 기업체 추천 또는 원하는 대학의 전공으로 진학하기 위해서는 교내 평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성취평가제로 인하여 서술형 평가나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단 교내 평가에 성공하는 기본은 수업 시간에 충실하고 이해를 바탕으로 공부 내용을 꼼꼼히 정리해 두는 것, 그리고 예습과 복습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지필 평가, 학교 수업에 충실하라. 지필 평가는 5지 선다형과 서술형으로 출제되며, 시험문제는 당연히 교과 담당 선생님이 출제한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않고 시험이 다가와서야 사설 학원에서 정리해 주는 요약지에 기대는 것만큼 나쁜 습관은 없다. 교과서를 중심 으로 선생님이 강조하는 부분을 평소 잘 정리해 두었다가 공부에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수행 평가, 학교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라. 수행 평가는 과정형 평가로 이루어진다. 대체적으로 보통교과 과목은 전체 40% 이상, 실무과목은 성적의 70% 이상이 수행평가로 이루어진다. 과정중심 수행평가는 수업 진행 과정에 평가하는 것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실무과목은 수업 중 기술을 습득하고 평가도 받으며, 실습 시 안전에도 유의해야 한다.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이 수업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받을 수 있다.

4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기다려주고 코치해주는 부모님이 필요

모든 부모는 자녀가 잘 자라도록 돌봐주고 이끌어 주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평생 아이 곁을 떠다니는 헬리콥터가 되기보다는 넓은 경계만 그어두고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9

부모는 자신의 삶을 열심히 살아가는 적당한 거리와 시간이 필요하다. PART 2

• 부모가 알고 있는 방법(길)을 먼저 제시하기보다는 자녀들이 찾을 수 있도록 기다려 주는 지혜가 필요하다. 아이도 어른도 모두 자신이 결정하지 않은 일에 대해서, 특히 나쁜 결과에 대해서는 남 탓을 하기 마련이다. 또한 결과가 좋은 경우에도 자신이 스스로 하지 않은 경우에는 성적은 좋으나 자존감이 낮을 수 있다.

• 자녀에게 좋은 책을 읽으라고 말하기보다 부모가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PART 3

한다. 독서를 통한 간접 경험은 학습적인 효과를 넘어 인성교육과 진로 선택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책을 읽는 것에 그치지 않고 토론이 병행될 수 있도록 친구, 가족, 이웃이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보는 것도 좋다. 학교에서도 교과 수업과 동아리 활동, 진로 활동을 통해서 같이 책 읽고 토론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PART 4

• 고등학교 시기에는 많은 학습량 때문에 자칫 독서를 소홀히 할 수 있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강조하고 있으며, 독서이력을 매 학기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또한 대부분의 교과 수업에서 책 읽기를 바탕으로 한 토론과 글쓰기를 수행 평가의 중요한 요소로 반영하고 있다. 독서가 모든 공부의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자녀와 함께 책을 읽고 나누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기를 바란다.

PART 5

TIP 공부와 성적에 대한 학부모들의 오해들 •좋은 학원에 보내면 성적이 오를 거야! •명문 대학 출신의 과외선생을 붙이면 공부를 잘하겠지!

부록

•우리 아이는 머리는 좋은데, 공부하는 것을 단지 귀찮아해서 성적이 안 나오는 거야! •책상에 오래 앉아 있으면 공부를 많이 하겠지!

PART 1. 교육활동 및 학습지도

49

부모는 자녀의 영원한 사표(師表)랍니다. 자녀는 태어나서부터 부모를 보고 배우며 자랍니다. 부모의 말투와 태도, 행동, 식사습관, 잠자는 모습, 심지어 부부 싸움 모습까지 무의식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또한, 부모님이 세상을 떠난 뒤에도 생전의 모습과 상황 대처 방법을 떠올리며 따르게 됩니다. 자녀의 인성 함양은 부모의 바른 기본 생활 태도, 건강한 생활 태도에서 비롯됩니다.

PART

생활 및 인성 지도

•현장체험학습 … ………………………… 54 •개인별 교외현장체험학습 … …………… 56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 ………… 58 •사이버 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 68 •청소년 자살 예방 및 대처 방법 ………… 74 •아동학대 예방교육 … …………………… 74 •학생 정서ㆍ행동 특성검사 ……………… 77 •청소년의 뇌와 도파민, 중독 상관관계 … 79 •청소년 흡연 대처 방법 … ……………… 81 •청소년 음주 예방 및 관리 … …………… 84 •호흡기 감염병 예방 수칙 … …………… 85 •청소년 스트레스 대처 방법 … ………… 87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 예방 … ………… 88

2

•다양한 상담 Wee 프로젝트 … ………… 91 •학업중단 숙려제 … ……………………… 93 •성교육 및 양성평등 교육 … …………… 95 •성폭력, 디지털 성범죄(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교육 … ……………………………… 98 •몸캠피싱의 위험성과 예방 및 대처 방법 …103 •저작권 교육 … ………………………… 106 •부모 자녀 의사소통 방법 … ………… 109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 … ……………113 •장애학생의 인권 보호 ……………………116 •통합교육 … …………………………… 117 •각종 재난 발생 시 대응 요령 ………… 118 •청소년 사이버도박 예방 및 대처법 … 124

가정이 인간을 만든다. - 새뮤얼 스마일즈 -

출처: 중앙일보

현장체험학습

1

현장체험학습이란?

현  장체험학습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일체의 교육활동으로 수학여행·수련활동 등 숙박형 현장체험학습과 1일형 현장체험학습으로 구분한다. 숙박형  현장체험학습은 수학여행, 수련활동(초6 대상: 대구교육팔공산수련원, 중1 대상: 대구교육낙동강수련원, 고1 대상: 대구교육해양수련원(포항)) 기타 숙박형 현장체험학습이 있다. 1일형 현장체험학습은 하루에 이루어지는 관광, 관람, 견학, 강의 등 숙박형 현장체험 학습을 제외한 단위학교의 자체 계획에 의하여 운영되는 비숙박형 현장체험학습을 의미한다. 각  학교에서는 안전하고 교육적인 현장체험학습을 위해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받기 전에 안전영향평가 및 안전대책 강구를 위한 안전영향평가단을 구성하여 운영 한다.

2 청소년 수련시설의 종류 다  양한 청소년 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청  소년수련원: 숙박기능을 갖춘 생활관과 다양한 청소년 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각종 시설과 설비를 갖춘 종합수련시설 청  소년문화의 집: 간단한 청소년 수련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춘 정보·문화·예술 중심의 수련시설 청  소년특화시설: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 환경 등 특정 목적의 청소년 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 청  소년야영장: 야영에 적합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청소년 수련활동 또는 야영

5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편의를 제공하는 수련시설 PART 1

유  스호스텔: 청소년의 숙박 및 체류에 적합한 시설·설비와 부대·편익시설을 갖추고, 숙식편의 제공, 여행 청소년의 활동지원 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시설 ※ 청소년 수련활동 지원은 「청소년활동진흥법」제11조에 따라 허가된 시설·설비의 범위에 한정

안전영향평가단의 구성 및 운영

평가단은 단장(당연직 교감) 포함 11명 이하로 구성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3

학부모 위원(50% 이상), 교원 및 안전 전문가(30% 이상) 위원으로 구성 PART 3

4

안전영향평가단의 역할과 심의 내용

현장 답사 참여 및 현장체험학습 운영 심의: 교육적 목적 부합 여부, 학부모·학생· 교사의 희망, 전년도 평가 결과, 시기와 장소 선정, 현장 답사 자료(답사 생략 시 안전 PART 4

대책), 프로그램, 경비 등 사전 답사 내용 및 안전 대책 논의: 현장체험학습 전 시설, 위생, 생활지도, 일정 및 코스 등을 점검하고 문제점 보완, 학생 안전교육 등 계약 방법에 따른 심의 실시 결과 평가 및 다음 연도 개선 필요 사항 건의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55

개인별 교외현장체험학습 1

학습형태, 학습내용, 학습방법 및 학습기간

학습형태

학습내용

학습방법

학습기간

자매학교 교환학습

•도시·농촌 간의 다양한 자연 환경, 생활 이해와 체험 등

•학급, 학교 간 자매결연 •자매 학교장 간 상호협의 후 이동 수업 실시

연10일 이내 (공휴일 제외)

교류 학습

•도시·농촌 간 생활, 다양한 생활문화 이해 및 체험 •조상에 대한 뿌리 교육 등

•대구 이외의 다른 지역 학교에서 학습 •학부모가 대상 학교장의 허락 후 신청 •학교장의 승인 후 실시

연30일 이내 (공휴일 포함)

•부모 등 보호자 동행 체험학습 •부모 등 보호자가 미동행 시 체험학습목적에 부합하고 학생안전 확보를 위한 인솔자가 있어 이를 부모 등 보호자가 동의할 경우도 승인할 수 있음 •인솔자는 학생을 보호할 수 있는 실질적 대상자로, 고등학생 이하의 학생은 인솔자가 될 수 없음 ※ 부모 등 보호자의 개념 ① 전통적 개념의 부모 ② 실제 학생을 부양하고 있는 자 ③ 학생의 직계 존속(친가, 외가 포함)

연15일 이내 (공휴일 제외)

•향교, 서원, 영어마을 등에서 수학 •희망 교육기관장 및 학교장의 승인 후 실시

연10일 이내 (공휴일 제외)

보호자 동행 (동의) 개인별 체험학습

위탁학습

•경로효친 및 가족공동체 이해 •문화유적 이해 및 국토사랑교육 •다른 문화의 이해 •진로관련 개인 활동 등 •가정학습 ※ 감염병 위기 단계가 ‘심각’, ‘경계’단계인 경우에 한함 •전통예절 및 충·효, 어학교육 •조상에 대한 뿌리 교육 등

연속 5일 이상 교외현장체험학습(가정학습 포함) 시 주1회 이상 학생이 담임교사와 통화하여 목적에 부합되는 체험학습 실시 여부 및 안전·건강상태 확인

5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2

보호자 동행(동의) 개인별 학습 절차 PART 1

신청서제출 (학생, 학부모) 3일 이전

체험학습 실시

출석 인정, 학교생활기록부 등에 반영

PART 3

① 부모 등 보호자가 미동행 시 신청서와 함께 동의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체험학습 보고서 제출 7일 이내

학교장 승인

② 신청서 내에 보호자가 나타나 있고 부모 서명이 있으면 동의서로 간주한다. ③ 1일 단위 실시를 원칙으로 하되, 특별한 경우 반일(4시간)도 운영 가능하다. (단 학칙으로 규정) ④ 신청서 및 보고서 제출기한은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예외 인정 가능하다.

PART 4

⑤ 감염병으로 인한 ‘가정학습’사유의 체험학습은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승인한다. ⑥ 감염병으로 인한 ‘가정학습’사유의 체험학습은 충실한 가정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학습계획서와 학습보고서를 작성 제출하여야 하며, 가정학습 기간 동안 일과 중 외출 및 학원교습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자 서약서를 제출 하여야 하며 위반 시 ‘미인정 결석’으로 처리한다.

PART 5

※ 신청서 양식은 자녀의 학교홈페이지에 탑재되어 있음.

3 학습결과 처리 ① 학생과 학부모의 신청을 받아 학교장이 승인하여 실시하며, 체험학습 기간은 출석으로 인정. 부록

② 국외체험학습 후에는 증빙서류(항공탑승권 등) 첨부. ※ 부모나 보호자의 서류는 필요하지 않음. ③ 체험학습활동 보고회 등 다양한 발표기회 부여.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57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1

학교폭력이란?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유인, 명예훼손·모욕, 공갈, 강요·강제적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 정보 등에 의하여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2조

2

학교폭력의 유형

언어 폭력

괴롭힘

사이버 폭력

성 폭력

5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신체 폭력

위협 및 협박

금품 갈취

폭력 조직 가입 유도

따돌림

강제적 심부름

3

세심한 관찰로 학교폭력 근절하기 PART 1

학교폭력의 피해 징후 늦잠을 자고, 몸이 아프다하며 학교가기를 꺼린다. 성적이 갑자기 혹은 서서히 떨어진다.

학교나 학원을 옮기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꺼낸다. 대화 중 학교생활 및 친구 관계에 대한 부분에서 예민하게 반응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특정 시기부터 안색이 안 좋고 평소보다 기운이 없다.

멍하게 있고, 무엇인가에 집중하지 못하고 예민하게 반응한다. 밖에 나가는 것을 힘들어하고, 집에만 있으려고 한다. PART 3

쉽게 잠에 들지 못하거나 잦은 생리적 현상을 호소한다. 용돈을 평소보다 많이 달라고 하거나 스마트폰 요금이 많이 부과된다. 스마트폰을 보는 자녀의 표정이 불편해 보이거나 괴로워한다. 교복이 찢기거나 더렵혀진 경우가 많다.

PART 4

갑자기 짜증이 많아지고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한다. 수련회, 봉사활동 등 단체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려고 한다.

사이버 폭력의 피해 징후 불안한 기색으로 정보통신기기를 자주 확인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PART 5

단체 채팅방에서 집단에게 혼자만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당한다. 용돈을 많이 요구하거나 온라인 기기의 사용요금이 지나치게 많이 나온다. 부모가 자신의 정보통신기기를 만지거나 보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 온라인에 접속한 후, 문자메시지나 메신저를 본 후에 당황하거나 정서적으로

부록

괴로워 보인다. 사이버상에서 이름보다는 비하성 별명이나 욕으로 호칭되거나 야유나 험담이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59

많이 올라온다. SNS의 상태글귀나 사진 분위기가 갑자기 우울하거나 부정적으로 바뀐다. 컴퓨터 혹은 정보통신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다 잘 모르는 사람들이 자녀의 이야기나 소문을 알고 있다. 자녀가 SNS계정을 탈퇴하거나 아이디가 없다.

학교폭력의 가해 징후 친구들이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종종 교사의 권위에 도전하는 행동을 한다. 자신의 문제행동에 대한 이유와 핑계가 많다. 성미가 급하고 충동적이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화를 잘 내고 공격적이다. 친구에게 받았다고 하면서 비싼 물건을 갖고 다닌다. 자기 자신에 대해 과도하게 자존심이 강하다. 작은 칼 등 흉기를 소지하는 등 과장되고 위협적으로 행동한다. 등ㆍ하교 시 책가방을 들어주는 친구나 후배가 있다. 종종 손이나 팔 등에 붕대를 감고 다닌다. 부모와 대화가 적고, 반항하거나 화를 잘 낸다. 폭력과 장난을 구별하지 못하여 갈등상황에 자주 노출된다. 평소 욕설 및 친구를 비하하는 표현을 자주한다. SNS상에 타인을 비하, 저격하는 발언을 거침없이 게시한다.

6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4

학교폭력 신고 PART 1

언제 신고해야 하나? 학  교폭력을 당하거나 알게 되었을 때 주저하지 말고 담임 선생님께 도움을 요청한다. 이익을 위해 선생님이나 어른에게 이야기하는 것이고, 신고는 나뿐만 아니라 학생 전체를 위해서 알리는 것이다.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신  고는 ‘고자질’이 아니라 정의를 실천하는 것이다. 고자질쟁이는 자기만의

학  교폭력이 발생한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 내용 등 사실을 이야기 하되, 감정적 으로 있었던 사실을 부풀려 이야기하는 것은 금물이다. PART 3

TIP 학교폭력! 신고는 이렇게

PART 4

< 교내 신고 > •(구두) 학교폭력을 목격하거나 겪은 학생 또는 보호자가 직접 교사에게 신고. •(신고함) 학교내에 설치된 신고함을 통한 신고 •(홈페이지) 학교 홈페이지 비밀 게시판을 통한 신고 •(설문조사) 학교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 응답으로 신고

PART 5

< 교외 신고 > 학교폭력 전화신고 전국에서 국번없이 “117” 또는 「우리 학교 경찰관」을 통한 신고 •(전화) 112 경찰청, 전국에서 국번없이 117, (문자) #0117 (인터넷) 안전 Dream(safe182.go.kr 또는 검색어117)으로 신고 (방문) 117센터에 방문 후 신고·상담 •대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053-1388으로 예약 후 상담 •학교폭력 SOS 지원단 : 1588-9128

부록

•대구시교육청 학교폭력신고센터 : 053-231-0529(학교폭력신고상담 전용) •대구해바라기센터: 053-556–8117(9117) (24시간 경찰관, 상담사, 간호사 상주, 대구의료원 서관 2층 설치)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61

TIP 학교폭력! 이것만은 꼭 기억합시다. •사소한 장난, 정서적 괴롭힘도 학교폭력입니다. •학교폭력은 피해 학생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학교폭력은 아이들이 진급하면서 조직화되고 있습니다. •학교폭력은 신고가 최선의 예방입니다.

5

학교폭력 사안 발생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

피해 학생 부모님께 드리는 3가지 권장 사항, 5가지 금지 사항 3가지 권장사항(피해학생을 다시 일어나게 하는 경우) • 공감과 지지: 대화를 통하여 충분한 공감과 지지 • 안정감 형성: 자녀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차분하게 대화 유도 • 생각 바꾸기: 폭력의 원인이 자녀가 아니라는 생각 갖기 5가지 금지사항(피해학생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경우) • 비판 금지: 화내거나 야단치기 금지 • 의미 축소 금지: 피해상황이나 내용을 축소 금지. • 평가 금지: 행동에 문제가 있어서 폭력이 발생하였다고 평가 금지. • 감정 표출 금지: 지나치게 흥분하거나 감정적으로 대처 금지 • 수치심 표현 금지: 학생으로 인하여 자신이 고통스럽고, 부끄럽다는 표현 금지 ※ 문자메시지, 이메일, 음성녹음, 상해진단서 등을 확보하세요.

6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가해 학생 부모님께 드리는 4가지 권장 사항, 4가지 주의 사항 4가지 권장사항 •아이의 친구와 선생님께 정확한 경위를 확인하기 •잘못을 인정하고 진심으로 사과하기 •전문가 상담, 봉사 활동 등을 통해 성장의 기회 만들기 4가지 주의사항(피해학생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경우) •사건과 행동에 대한 부인 금지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아이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기

•피해 학생을 탓하기 금지 PART 3

•폭력에 대한 정당화 금지 •사건을 피하거나 포기 금지

PART 4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63

이것이 궁금해요

학교폭력 바로 알기 ‌어른들이 보기에는 학교폭력 같은 데도 아이들은 그냥 장난이었다고

합니다. 사소한 장난과 학교폭력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

‌ 뱉기, 눈 흘기기, 머리를 툭툭 건드리는 것이 학교폭력일까요? 침 빵 셔틀이나 담배 셔틀과 같은 심부름도 학교폭력일까요? 네, 모두 학교 폭력입니다. 분명하게 드러나는 신체적 폭력이 아니라도 휴대폰 문자, SNS를 통한 조롱, 손쉽게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괴롭힘도 피해 학생이 우울, 분노, 불안 등의 감정을 느낀다면 학교폭력입니다.

‌같은 반 친구들이 모바일 메신저 대화방을 만들어 한 아이를 상대로

욕설을 퍼붓거나 심한 말로 장난을 쳤는데 이런 경우도 학교 폭력에 해당하나요? ‌학교폭력(언어폭력)으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자 친구와 만난 지 100일 되는 기념일에 선물을 사려는데 돈이

부족해서 학교 뒤 골목길에서 혼자 가는 후배를 막고 “돈 있으면 좀 줘라. 돈 생기면 갚을게.”라고 하니 후배가 겁을 먹었는지 5천 원을 꺼내 주었습니다. 이 경우에도 처벌 받나요? ‌ 공갈죄(형법 제350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 형이 주어짐)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학교폭력 종합정보 홈페이지 ‘도란도란 - 누리집 주소 www.dorandoran.go.kr

6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교폭력 발생 시 처리 절차 및 학생 조치의 실제

PART 1

6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 절차 (학교폭력예방법 제20조제1항)

업무담당자

학교폭력 신고접수

신고대장기록

접수 보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사안 접수

•신고 내용을 신고 접수 대장에 기재하여 보관 •접수 사실을 신고자에게 통보

PART 3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

•학교장에게 보고 •담임교사, 보호자 통보 •가해학생과 피해 학생의 분리 •다른 학교와 관련된 경우 해당 학교에 통보 •교육(지원)청 보고 (인지 후 48시간 이내)

PART 2

업무담당자

생활 및 인성 지도

신고접수자

1호 피해학생에 대한 서면 사과 2호 피해학생 및 신고·고발 학생 접촉, 협박 및 보복행위의 금지

•하나 또는 여러 개 병과

4호 사회봉사

•2호~8호 조치를 받은 경우

5호 학내외 전문가에 의한 특별 교육 이수 또는 심리치료

보호자도 특별교육 이수

PART 4

3호 학교에서의 봉사

•의무교육에서는 퇴학처분 제외

6호 출석정지 7호 학급교체 8호 전학

PART 5

9호 퇴학처분

피해학생의 보호 조치 1호 학내외 전문가에 의한 심리상담 및 조언 2호 일시 보호 3호 치료 및 치료를 위한 요양 4호 학급교체

6호 그 밖에 피해학생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

•학교장이 인정하는 경우 조치에 따른 결석을 출석 일수에 산입 가능

부록

5호 삭제

•하나 또는 여러 개 병과

•학교장은 조치로 인하여 학생에게 불이익을 주지 아니하도록 조치 마련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65

7

학교장의 자체해결

학교폭력 대책 자치위원회 심의건수 증가로 교원 및 학교의 업무부담 증가 경미한 학교폭력 사안의 경우에도 자치위원회 심의대상이 되어 교육적 해결이 곤란하여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서는 학교 자체 해결 피해학생은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 가해학생은 징계조정위원회로 이원화 되어 있던 재심 → ‘행정심판’으로 일원화 ※ 학교폭력예방법 제17조의2(행정심판)

학교폭력 예방법(제13조의2) ① ‌제13조 제2항 제4호 및 제5호에도 불구하고 피해학생 및 그 보호자가 심의위원회의 개최를 원하지 아니하는 다음 각 호에 모두 해당하는 경미한 학교폭력의 경우 학교의 장은 학교폭력 사건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학교의 장은 지체 없이 이를 심의위원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1. 2주 이상의 신체적·정신적 치료를 요하는 진단서를 발급 받지 않은 경우 2. 재산상 피해가 없거나 즉각 복구된 경우 3. 학교폭력이 지속적이지 않은 경우 4. 학교폭력에 대한 신고, 진술, 자료제공 등에 대한 보복 행위가 아닌 경우 ②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사건을 해결하려는 경우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절차를 모두 거쳐야 한다. 1. 피해학생과 그 보호자의 심의위원회 개최 요구 의사의 서면 확인 2. 학교폭력의 경중에 대한 제14조제3항에 따른 전담기구의 서면 확인 및 심의 ③ ‌‌‌‌그 밖에 학교의 장이 학교폭력을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데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6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교폭력 발생 시 처리 절차 PART 1

※법  률 제13조의2에 따른 '학교의 장의 자체해결'을 이하에서는 '학교장 자체해결'이라 한다. ※사  안 처리 전 과정에서 필요시 학교는 관계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 학교장 자체해결 사안처리 흐름도 ]

학교폭력 사안조사

전담기구의 심의 (객관적 요건 충족 여부)

미충족

부동의

피해학생 및 보호자의 서면확인 심의위원회 보고

동의

학교장 자체해결

PART 3

피·가해자학생 및 보호자에게 심의위원회 개최통보

충족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학교폭력접수

학교폭력대책 심의위원회

조치 처분(교육청)

PART 4

학교장에게 조치결정 통보

피해학생 및 가해학생에게 조치결정 통보

학교폭력예방법 제12조(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설치) PART 5

①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에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교육지원청에(교육지원청이 없는 경우 해당 조례로 정하는 기관으로 한다. 이하 같다)에 학교폭력 대책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 전담기구 심의 결과 자체해결 요건에 모두 해당하더라도 피해학생 및 그 보호자가

부록

심의위원회 개최를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심의위원회 개최를 요청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67

사이버 폭력 예방 및 대처 방법

1

사이버 폭력이란?

사이버폭력이란 메신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휴대전화, 인터넷 커뮤니티 등의 정보통신기술과 사이버 공간을 매개로 하여 특정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목적으로 의도적이고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를 말한다.

2

사이버 폭력의 특징

대면-비대면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 개인적이고 은밀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 징후 발견이 어렵다. 소문이나 허위사실 등의 전파가 빠르다. 사이버상에 노출된 폭력의 내용은 삭제가 어려워 평생 후유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피해의 결과가 눈으로 확인이 어려워 과격한 표현을 쉽게 사용하며 가해 행위에 대한 죄책감이 낮다. 추적하기가 쉽지 않은 온라인의 특성상 가해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

3

사이버 폭력의 유형

사이버 스토킹: 타인의 동의없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계속적으로 말, 글, 사진, 그림 등을 보내 공포심과 불안감을 유발하는 행위 사이버 언어폭력(비방):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해 특정인에게 욕설, 비속어, 모욕적인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행위 사이버 갈취: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이버 머니 또는 금품 등을 사이버 상에서 요구하거나 데이터나 소액 결제 등의 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행위

6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사  이버 성폭력: 성적인 묘사, 성적 비하 또는 성차별적인 발언 등을 포함한 내용을 PART 1

인터넷이나 SNS에 올리거나 유포하는 행위 사  이버 따돌림: 관계적인 괴롭힘으로 다수가 사이버상에서의 특정인을 대상으로 집단 욕설, 집단따돌림, 방폭(초대 후 특정인만 남기고 모두 나가는 행위), 카톡 감옥(특정인을 대화방으로 끓임없이 초대) 등의 행위 으로 상대방의 명예를 떨어뜨리거나 인격을 침해하는 행위 개  인정보 유출: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의 신상과 관련된 개인 정보를 동의 없이 함부로 유출하거나 유포하는 행위

사이버 폭력에 대한 대응책

PART 3

4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사  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공간에서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상대를 비방할 목적

평소 예방교육 인터넷 상의 게시글 댓글을 작성할 때 신중하도록 지도한다. 인터넷 상에 나와 다른 사람의 개인정보는 비공개 또는 최소화하도록 지도한다.

PART 4

인터넷 상에서 상대방과의 논쟁을 피한다. 오프라인에서의 만남은 자제한다. 올바른 사이버 언어습관과 사이버 예절을 익힌다.

사이버폭력에 대한 대응 수칙 PART 5

거부감이 드는 말과 행동에는 싫다는 의사표시(거부의 의사 표시)를 분명히 합며, 거부의 표시를 하였어도 사이버 폭력이 반복되면 그 곳을 일단 피하고 주변의 어른에게 알린다. 휴대전화 문자로 욕설이나 협박성 문자가 오면 어떠한 응답도 하지 않는다. 인터넷의 게시판이나 안티카페 등에서 공개적인 비방 및 욕설의 내용 등 모든 자료는 증거확보를 위해 저장한다.

부록

조언 또는 상담이 필요하다면 학교나 전문기관의 도움을 요청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69

피해학생 조치 불  특정 다수에게 공개되는 사이버 폭력으로 인해 피해학생은 명예훼손, 모함, 비방 등을 당하여 심각한 정신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피해학생을 상담교사나 상담센터와 연계하여 상담을 받도록 한다.

가해학생 조치 교  사가 증거를 철저하게 확보한 후, 사이버폭력을 지속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전화상담

117 문자상담

#1388 #0117

인터넷상담

Wee.go.kr

■ 국번없이 117번 (117 학교폭력 신고센터) ■ 24시간 상담센터 운영

■ 수신인 '#1388'로 고민을 적어 문자발송 ■ 상담원들이 문자메시지로 상담 진행

■ Wee 센터 고민상담 비밀게시판 이용 ■ 모든 상담글은 비공개 원칙

TIP 사이버폭력 피해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 •경찰청 사이버수사국(www.cyber.go.kr) - 사이버범죄 신고/상담/제보 •청소년 사이버상담센터 : www.cyber1388.kr - 학교폭력에 대한 24시간 전화·문자와 카톡 상담 : 지역번호+1388, #1388 •학교폭력신고/상담전화(117), 문자서비스(#0117) •푸른나무재단 : 학교폭력 상담전화(1588-9128) •스마트쉼센터 : 스마트폰 과의존 상담(1599-0075)

7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청소년 자살 예방 및 대처 방법

‘죽고 싶다’는 말은 아이가 본인의 괴로움을 알아주길 바라는 간절한 외침일 수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죽고 싶다’라는 표현은 어떤 의미일까요? 도움을 요청하는 ‘SOS’로 알아차려야 합니다.

1

있다. ‘가볍게 넘기지 말고 아이에게 도움을 건네야 한다. PART 3

‘부모가 느끼는 당혹감을 직접 표현하거나 성급히 자녀를 훈계하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어떤 점을 관찰해야 할까요?

2

PART 4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학생은 말이나 행동을 통해 자살위험 징후를 보여주기도 한다. 식욕·수면 습관의 변화 및 신체적인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학생 자살징후 체크리스트 PART 5

최근 3개월 이내에 아래 같은 변화된 모습 중 3가지 이상 보이는 학생이 있다면 교내 담당교사에게 연계하여 학교 상담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합니다. 평소와 달리 숙제를 잘 안 해온다. 수업시간에 자주 졸거나 딴 생각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갑자기 성적이 많이 떨어졌다. 무단 지각, 조퇴, 결석이 많다. 표정이 어둡고 울적해 보인다.

부록

□ □ □ □ □

□ 갑자기 살이 너무 빠져 보이거나 쪄 보인다. □ 개인위생관리를 하지 않아 청결 상태가 좋지 않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71

★ 표시된 마지막 4가지 모습은 특별히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하는 자살징후입니다. 이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되는 학생이 있다면 교내 담당교사 또는 외부 전문가에게 연계합니다. □ □ □ □ □

평소와 달리 숙제를 잘 안 해온다. 수업시간에 자주 졸거나 딴 생각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갑자기 성적이 많이 떨어졌다. 무단 지각, 조퇴, 결석이 많다. 표정이 어둡고 울적해 보인다.

□ □ □ □

갑자기 살이 너무 빠져 보이거나 쪄 보인다. 개인위생관리를 하지 않아 청결 상태가 좋지 않다.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일으키거나, 비행행동을 한다. 최  근 가정문제(부모 이혼, 사별, 경제적 문제 등) 또는 학교문제(학교폭력, 따돌림)를 경험했다. 최근 친구, 지인 등의 자살 사망을 경험했다. ★ 일기, 노트, SNS 등에 슬픈(죽음 관련) 내용의 글을 작성했다. ★ ‘죽고 싶다’, ‘내가 이 세상에 없다면...’ 등과 같은 자살과 관련된 말을 한다. ★ 자해, 자살 시도 경험이 있다. ★

□ □ □ □

3

어떻게 말을 해야 할까요?

자살위험징후가 보인다면 직접적으로 자살에 대해 질문을 하여 현재 심리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자살위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살생각, 자살동기, 자살계획, 자살시도 경험 순으로 질문을 하여 판단을 하고, 자해 여부도 물어본다.

자살에 대해 질문하기 자살 생각

“죽고 싶은 마음이 있니?”, “그 마음에 점수를 준 다면 10점 만점에 몇 점을 줄 수 있을까?”

자살 동기

“어떤 이유 때문에 죽고 싶을까?”, “어떤 점이 그렇게 고통스러울까?”

자살 계획

“죽는데 구체적인 계획이 있니?”, “막연히 죽고 싶은 생각만 있니?”

자살 시도

“이전에 죽으려고 시도를 한 적이 있니?”, “어떤 방법을 사용했었니?”, “실패해서 마음이 어땠었니?”

자해

7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해를 하고 있지는 않니?”, “자해를 하고 나면 마음이 어떠니?”

PART 1

TIP 자살에 대한 오래된 편견 진짜 자살할 사람은 주변에 이야기하지 않는다. “죽고 싶다.”라는 말을 하는

“절대 아닙니다!” 실제 통계에서 보면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의 절대 다수는 시도 이전에 주변에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사람은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 일 뿐 실제 자살 가능성은 없습니다.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부모가 평소 자녀의 호소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 PART 3

•청소년 상담센터(https://www.cyber1388.kr:447) ☎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생명의 전화(https://www.dglifeline.or.kr) ☎ 1588-9191(대구센터 475-9191) •희망클릭(정신건강위기상담) ☎1577-0199

PART 4

•대구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https://dgmhc.go.kr) •대구광역자살예방센터(https://www.dgmhc.or.kr/mind/)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393)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73

아동학대 예방교육 1

‘아동학대’가 무엇인가요? ‘아동학대’가 범죄인가요?

2

아동을 학대하는 사람은 주로 누구이며, 학대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출처: 2021 아동학대 주요통계,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대응과(http://www.mohw.go.kr)

7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구분

요인

결과 •학대로 인한 사망 •아동에게 깊은 상처를 줌 •아동 자신을 무가치하게 느낌 •아동의 신뢰가 파괴됨

빈곤,실업 / 사회적 지지 체계 부족 / 원만하지 못한 부부관계 / 가정폭력 / 부모-자녀간 애착부족 등

•다른 가족의 죄책감,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부모의 자녀 양육 기능 저하 •부모 및 형제와의 다툼 증가 •가출

자녀를 부모의 소유물로 여김 / 체벌의 수용 / 피해아동에 대한 법적인 보호 부재 및 미비 등

•아동학대의 세대간 전이 •학교폭력, 비행, 자살이 증가함 •약물 남용 및 중독 •성매매 등 각종 범죄가 증가함

PART 2

정신장애 / 학대경험 / 약물중독 / 자녀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 충동 / 부모역할에 대한 지식 부족 등

생활 및 인성 지도

PART 3

4

부모가 아동을 학대하게 되는 이유와 학대의 결과는?

PART 1

3

아동을 학대하게 되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되나요?

PART 4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75

PART1

아동학대 사례를발견하면 발견하면어디에, 어디에,어떻게 어떻게신고해야 신고해야 하나요? 사례를 하나요? 55 아동학대

PART2 PART3 PART4

출처: 보건복지부 산하 아동권리보장원(http://www.hcrc.or.kr) 전체 자료전체 출처자료 :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http://www.korea1391.go.kr)

TIP 신고 의무자 규정 신고 의무자 규정

PART5

유치원·초·중·고 교사, 학원 강사, 의료인, 응급구조사, 아동복지시설, 가정위탁 •유치원‧초‧중‧고 교사, 학원 강사, 의료인, 응급구조사, 아동복지시설, 지원센터, 장애인복지시설, 가정폭력 상담소, 아이돌봄 서비스 종사자는 아동 가정위탁지원센터, 장애인복지시설, 가정폭력관련 상담소, 아이돌봄 학대를 알게 되었을 때뿐만 아니라 의심스러운 경우에도 반드시 신고해야 함. 서비스 종사자 등으로 아동학대를 알게 되었을 때뿐만 아니라 의심스 (아동학대처벌법 제10조 제2항) 러운 경우에도 반드시 신고해야 함.

부록

•신고의무자가 미신고시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신고 의무자가 미신고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신고전화 : 경찰 ☎ 112 •상담: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대구아동보호전문기관(☎ 053-422-1391 ) •상담 : 어린이재단 대구아동보호전문기관 (www.dg1391.or.kr) (http://www.dg1391.or.kr)

•신고전화: 경찰서 ☎ 112

76

자녀교육 가이드북 ●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69

PART 1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는 학생들의 정서행동발달을 조기에 평가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 신속한 도움을 주고자 학교보건법에 따라 2007년부터 교육부에서 기획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학생 정서 · 행동 특성검사란?

되었다. 검사 도구는 정서·행동 문제의 선별에 대한 효과성과 신뢰성이 입증되어 있으며, PART 3

2013년부터는 전국 중·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초등학생은 1학년, 4학년)을 대상 으로 매년 검사하고 있다.

PART 4

이것이 궁금해요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바로 알기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PART 5

‌ 1단계로 온라인이나 서면으로 검사합니다. 검사결과에 따라 학교에 서 학생 개별 면담을 하거나 전문기관의 추가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 된 학생은 학부모님의 동의하에 Wee센터 및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연계하여 심층 평가 및 상담·치유 지원 등 체계적인 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 점수가 높다는 것은 어떤

부록

의미인가요? ‌일반적으로 전체 아동·청소년의 약 5~10%, 즉 100명중 5~10명이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77

정서·행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정서·행동 특 성검사에서 총점이 기준점을 초과하면 ‘관심군’으로 분류합니다. 하지만 관심군이라고 해서 당장 진단을 내리지 않습니다. 이 검사가 정서· 행동에 문제가 있음을 확진하는 검사가 아닙니다. 점수가 높은 학생 중에서도 실제로는 문제가 없는 학생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검사 결과가 아이에게 불리하게 작용되지 않을까요? ‌ 병원 진료기록이 아닌 학교 내 학생 생활지도에 필요한 내용이므로 아이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약물처방이 동반되지 않는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은 그 횟수와 관계없이 건강보험 청구에 따른 정신질환 기록을 남기지 않도록 관련 법령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학생 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에 대해 자녀와 어떻게 대화를 나누면 좋을까요?



‌ 검사결과가 정상범위로 나왔을지라도 자녀의 학교생활과 최근의 고민을 다시 점검하는 기회로 삼아주세요. 예)“00야, 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 정상적인 정서와 행동 상태로 나왔구나~. 혹시라도 힘들고 어려운 고민이 생길 때는 언제라도 엄마(아빠)에게 알려주면 좋겠구나.”

‌ 관심군으로 외부기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담임 선생님의 의견이 있다면 조속히 도움을 받아 자녀가 다시 안정적인 정서행동발달을 이루도록 힘써주세요. 예)“00야, 그동안 너의 마음에 힘든 점이 있었는데도 엄마(아빠)가 몰라 준 것 같아 미안하구나. 하지만 지금이라도 네가 이렇게 힘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너를 도울 수 있는 일이라면 엄마(아빠)도 최선을 다할게. 학교에서도 너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을 알려 주셨어. 너의 고민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전문적인 검사도 같이 받아보면 어떻겠니?”

7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청소년의 뇌와 도파민, 중독 상관관계 청소년기는 뇌발달이 미성숙한 상태이다. 사리분별 판단력을 주관하는 억제하는 전두엽의 활동보다 도파민의 강화가 강력해 일단 중독되면 끊기 어렵고 갈수록 헤어 나오기 힘들게 된다. 성인에 비해 청소년이 중독에 취약하기 때문에 중독성 물질은 호기심으로라도 시작하지 않는 게 좋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전두엽보다는 동기, 감정을 담당하는 변연계의 영향을 더 받는 시기이다. 충동을

알콜, 니코틴, 카페인은 대표적인 중독성 물질로 섭취하면 뇌에서 도파민 분비를 PART 3

촉진시켜 사람을 기분좋게 만들어 중독되게 한다. 도박, 게임, 쇼핑, 만화, 폭식 등도 약물 중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대부분 중독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빠지기 쉽다. 건전한 스트레스 해소법을 배우고 훈련할 필요가 있다. 도파민은 실행, 운동, 동기 부여, 각성, 강화, 보상 등을 조절하는 기분을 좋게

PART 4

하는 일명 ‘행복호르몬’이라 부른다. 우리 몸에서 건강하게 도파민 분비를 촉진 하는 방법은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충분한 햇볕을 쪼이고, 명상과 친절을 실천하는 것 등이 있다. 단백질(티로신), 비타민B군, 미네랄, 불포화지방산 및 오메가-3가 풍부한 균형

PART 5

잡힌 식단은 신체가 필요한 도파민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장내 유산균을 많게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도 도움이 된다. 햇빛을 쪼여 체내 비타민 D 농도를 높여주면 좋다. 수면시간은 육체에 쉼을 줄 뿐 만 아니라 뇌 내 노폐물 제거, 감정 정리 및 기억의 저장을 위해 중요한 시간이다. 때문에 장기적인 수면부족은 뇌세포 손상

부록

으로 이어진다. 3일이상 잠을 자지 못하면 환청을 경험하게 됩다. 지속적 수면 부족은 뇌노폐물인 베타아밀로이드가 축적되어 치매를 불러온다. 충분한 수면을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79

취하면 뇌가 도파민의 생산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다. 아침에 도파민 수치가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우리가 일어나 하루를 시작할 수 있고, 저녁에는 농도가 낮아져 뇌활동을 줄여 우리 몸이 쉴 수 있다. 매일 밤 일정한 취침 시간과 매일 아침 기상 시간을 지키는 것은 도파민의 적절한 생산을 촉진한다. 청소년기는 최소한 7시간이상 숙면하여야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균형 잡힌 식단과 건강한 생활 방식은 신체의 자연적인 도파민 생산을 늘리고 뇌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성취감, 희망, 이해받고 통하는 느낌, 자연에 대한 교감, 안전감 등도 삶에 동기를 부여하고 긍정적인 보상이 된다. 여러 가지 긍정적인 보상을 누리며 정신 적으로 건강한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다.

8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청소년의 흡연 이유

단순한 호기심 또래 집단의 일원이 되기 위해 스트레스 해소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청소년 흡연 대처 방법

성차별에 대한 불만(여학생의 경우) 흡연을 멋으로 생각 PART 3

어른스러워 보이기 위해 부모님 흡연의 영향

2

청소년의 흡연을 알 수 있는 행동 PART 4

이유 없이 껌을 자주 씹는다. 밤중에 가끔 나갔다가 들어온다. 평상시와 다르게 고개를 돌리고 말한다. 부모님이나 선생님에게서 떨어져 있으려고 한다.

3

PART 5

가능한 한 입을 작게 벌리고 말을 안 하려고 한다.

청소년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담배의 독성물질이 유전자를 변형시켜 폐암, 구강암, 후두암 등을 발생시킨다. 부록

니코틴이 성장호르몬 분비를 방해하여 키 성장이 멈추게 된다. 타르와 독성 물질은 기관지염 증상인 기침, 가래를 유발하고 폐기능을 서서히 망가뜨려 결국 고통스러운 최후를 맞게 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81

혈액 내 일산화탄소량 증가는 두뇌기능을 저하시키고 학습 능력을 떨어뜨린다. 혈중 니코틴의 증가로 혈관은 수축되고 고혈압과 심장 박동 이상을 유발한다.

청소년의 흡연 대처 방법

4

심호흡 코로 마시고 입으로 내보냄

온수 샤워

물을 자주 마신다

점식식사는 천천히

산책, 조깅

아침식사는 과일, 견과류, 채식 위주 커피, 콜라

라고 수시로 말한다.

걷기

좋은 공기 를 마심

술은 안됨

저녁식사는 언제나 가볍게

담배가 생각날땐 친구에게 전화

따뜻한 물에 목욕이나 샤워

친구가 담배를 권해도 절대 받지 말것 10시 이전에 일찍 잔다

금연을 유도하는 대화 시도 자녀의 행동 규제가 필요할 때는 단호하게 직접적으로 - “네 건강을 위해서 담배를 끊자. 엄마가 도와줄게.” 자녀를 이해하면서 부모가 원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 “금연하기 힘들겠지만, 우리는 네가 담배를 끊어야 한다고 생각해. 오늘부터 학교가 끝나는 대로 바로 집으로 오도록 해라.” 자녀 흡연 때문에 느끼는 부모의 마음을 담아 진심으로 - “너의 건강에 대해서 우리는 매우 걱정이 된다. 그래서 네가 담배를 끊을 수 있도록 금연 교실에 데리고 가야겠다.” 8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너는 할 수 있어.’라고 격려하는 마음을 담아 - “금연이 힘들다는 것을 엄마도 잘 안다. 하지만 너는 할 수 있으리라 믿어. 전에도 넌 마음먹은 일은 반드시 해내지 않았니?”

금연에 대하여 바로 알기

PART 3

‌ 아이가 흡연 욕구를 느낄 때 권할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이것이 궁금해요

‌ 생수나 천연 과즙 한 컵 권하기, 심호흡 5번 권하기, 100부터 거꾸로 헤아리도록 권하기, 양치질을 자주 하도록 권하기, 도움을 줄 수 있는 친구에게 전화를 걸도록 권하기, 시계를 보면서 1분간 참아보도록 권하기, 1분이 지난 후 다시 1분을, 이렇게 5분간 참도록 도와주세요.

PART 4

TIP 전국 보건소 무료 금연클리닉 운영

PART 5

진짜 자살할 사람은 주변에 이야기하지 않는다. “죽고 싶다.”라는 말을 하는 사람은 관심을 끌기 위한 행동일 뿐 실제 자살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절대 아닙니다!” 실제 통계에서 보면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의 대다수는 시도 이전에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부모님이 평소 자녀의 호소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입니다. •전국 보건소 무료 금연클리닉 운영

부록

•금연길라잡이(https://www.nosmokeguide.go.kr) •금연 상담전화: ☎ 1544-9030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83

청소년 음주 예방 및 관리

1

음주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는 신체뿐 아니라 뇌도 성장 중이므로 음주는 뇌 발달장애를 불러올 수 있다. 청소년은 뇌 발달과정 상 알콜, 담배 및 약물에 쉽게 유혹받고 중독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알콜은 사고력, 기억력을 저하시켜 학습능력을 크게 떨어뜨린다. 알콜은 청소년기 문제 행동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음주하면 판단력 저하로 사고를 당하기 쉽다. 교통사고로 사망한 젊은이들 가운데 71%에서 혈액 중 알코올이 검출되었다. 건강한 자녀를 출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기부터 금주해야 한다.

2

음주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친구들이 술을 권하면 이렇게 거절하라고 알려 주세요. “고마워. 그러나 오늘은 안 돼.” “아니, 난 다른 음료를 마실래.” “아니, 술 먹자는 거면 나는 가고 싶지 않아.” “싫어, 난 술 끊었어. 술은 그만두고 농구나 한 게임 하러 가자.”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지내도록 해 주세요. 즐거움을 느끼는 취미 생활을 하게 한다.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재능을 발견하고 개발하도록 도와준다. 글쓰기, 노래, 운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신의 감정(분노, 좌절, 기쁨)을 표출 하게 한다.

8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호흡기 감염병 예방 수칙

호흡기 감염병, 이렇게 예방할 수 있습니다.

기침예절

사회적 거리두기

기침할 때 옷소매로 입과 코 가리기 기침 후 비누로 손 씻기

안전한 공간에 머무르면서 타인과 만남 자제하기

1339에 문의하기 발열(37.5도 이상), 호흡기 증상 시 밖에 나가지 않고 관련기관에 문의하기

코와 입을 잘 가리기 마스크의 표면을 만지지 않기

PART 5

2

PART 4

마스크 착용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PART 3

손 씻기 비누를 이용하여 30초간 씻기 손톱, 손가락 사이사이 꼼꼼히!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코로나19, 인플루엔자, 감기)

호흡기 감염병 의심증상이 있을 때는...

의심증상이 하나라도 있으면 선별검사를 받는다 병원 진료를 받고 손 씻기, 기침 예절을 지킨다. 부록

사람이 많은 곳을 가지 말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한다. ※ 의심 증상: 37.5℃ 이상의 발열, 인후통, 근육통, 기침, 가래, 콧물 또는 코막힘, 재채기 등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85

TIP 코로나19 혹은 인플루엔자로 진단(의심) 시 •코로나19 혹은 인플루엔자로 진단(자가진단, 의심) 시 다른 친구들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등교하지 않고 담임선생님께 연락합니다. 약을 다 먹은 후 24시간 동안 열이 나지 않고 호흡기 증상이 없으면 등교합니다. 등교할 때, 의사소견서를 제출하면 출석인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8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청소년의 내부 및 외부 스트레스 요인 내부 스트레스 요인

물리적 환경

생활의 습관

너무 덥거나 춥거나, 매연, 독성물질 노출 등 심한 환경오염

카페인 섭취, 흡수, 수면부족, 과도한 스케줄, 불균형한 생활습관 등 심리적 요인

심리적 환경

개인적 사건 성적하락, 지각, 대인관계 등

심리적 요인

PART 3

가족환경, 학교문제(학대, 왕따 등) 타인의 무례함, 규칙, 규정 등

PART 2

외부 스트레스 요인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청소년 스트레스 대처 방법

불필요한 걱정, 불안, 우울, 비관적 생각, 자기 비난, '모 아니면 도'의 극단적 사고, 과장 등

신체적 요인 질병, 감염, 염증 등

출처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PART 4

2

스트레스 해소 방법

PART 5 부록

자료 : 질병관리청 청소년건강형태 온라인조사 통계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87

스마트폰, 인터넷 중독 예방

스마트폰, 인터넷·게임 이용에 빠지는 이유

1

청소년 인터넷·스마트 폰 이용습관 진단 조사 결과 구분

재학생 수

참여 인원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

스마트폰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과의존 위험군

’20년

1,366,552

1,331,441

175,496

136,538

228,120

’21년

1,299,886

1,272,981

183,228

129,543

228,891

증감

감 66,666

감 58,460

증 7,732

감 6,995

증 771 자료출처 : 여성가족부

미디어의 특성 : 시각적인 청소년의

자극과 즉각적인 반응 → 감각 추구 욕구 충족.

발달적 특성 : 실시간 소통 → 친밀감과 자기 표현 욕구 충족 →

독립욕구 자극(구속과 제재가 없는 게임과 인터넷의 특성) 뇌의

보상회로 : 즐거운 보상 경험의 반복 → 게임과 즐거움의 연합 →

학습 → 몰입 → 몰입 반복 → 통제력 상실 → 과몰입

게임을 이용하는 학생이 게임을 하는 이유 게임 자체가 재미있어서

44.6 16.4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서

14.3

남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지인이나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어서

7.3

게임에서 이기거나 레벨업할 때의 기분이 좋아서

6.4

게임을 통해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어서 게임과 관련된 직업을 희망해서

3.8 2.8

기타 4.4 0

10

20

30

40

50

8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일상생활에서 지켜주세요 ( 스마트폰 보안수칙 10 )

PART 1

2

국가정보원에서는 스마트폰에 대한 해킹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합동으로 ‘스마트폰 보안수칙 10’을 마련함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PART 3 PART 4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89

TIP 게임 중독 상담센터 •☎ 국번 없이 1388(휴대전화:053+1388) •https://www.kyci.or.kr •스마트쉼센터(https://www.iapc.or.kr) •스마트폰 과의존 상담전화 : 1599-0075

인터넷·스마트폰 치유서비스 지원 •전화상담 : ☎ 국번 없이 1388(휴대전화:053+1388) •문자상담 : #1388 카카오톡상담 : 카카오플러스 친구맺기 후 1:1 대화진행 •온라인상담 : 사이버상담센터(www.cyber1388.kr) 채팅 및 게시판상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https://www.kyci.or.kr) •스마트쉼센터(https://www.iapc.or.kr) •스마트폰 과의존 상담전화 : 1599-0075

9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다양한 상담 Wee 프로젝트

학교와 교육청, 지역사회가 함께 연계하여 ‘진단-상담-치유’를 통해 학생들이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찾아내어 학교생활을 즐겁게 하도록 도와주는 프로젝트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Wee 프로젝트

Wee = We(우리들) + education(교육) + emotion(감성) PART 3

학습부진 및 학교부적응 학생뿐만이 아닌 일반 학생들도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교에는 Wee클래스, 교육지원청에는 Wee센터, 시교육청 에는 Wee스쿨을 운영

PART 4

Wee 클래스 학교에서 운영하며 휴식시간, 점심시간, 방과 후에도 언제나 열려있는 상담 공간으로 전문상담교사, 전문상담사 등이 고민을 개별 맞춤형으로 도와주는 상담 공간

PART 5

Wee 센터 교육지원청 및 시교육청, 대학종합병원에 있는 Wee센터는 학교 안에서 해결 되지 않는 근본적인 어려움을 지역사회의 인적 · 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진단상담-치료’를 서비스하는 원스톱 상담센터

Wee 스쿨 부록

기숙사생활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성장을 도와주는 장기위탁 교육기관으로 교육, 치유, 적응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해주는 기관. 다양한 치유 프로그램 및 체험, 감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대구해올고등학교 내 「마음이 자라는 학교」)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91

이것이 궁금해요

Wee 프로젝트바로 알기 ‌서비스는 누가 주로 이용하나요? ‌ 학습부진 및 학교 부적응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학생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사들이 선정하여 참여하기도 하고 부모님의 권유와 안내로, 또는 학생 스스로 참여하기도 합니다. ‌서비스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Wee 클래스를 이용하시려면 클래스 운영 담당자나 담임 선생님과 상의하여 서비스를 받으면 됩니다. Wee 센터를 이용하려면, 학생 또는 부모님이 센터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 인터넷을 통해 상담 신청을 하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Wee 스쿨을 이용하려면, 해당 기관에 직접 문의 및 방문하거나 Wee 센터나 클래스의 의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비용 및 서비스 이용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 비용은 무료이고, 서비스 이용 시간은 Wee 클래스는 학교 실정에 따라, Wee 센터는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입니다. ‌서비스 이용 시 출결 처리는 어떻게 되나요? ‌ Wee 센터는 교육지원청 소속기관입니다. 학교의 동의를 얻은 후 상담서비스를 받거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출석으로 인정됩니다. Wee 스쿨은 시교육청 소속기관으로 학교와 Wee 스쿨 간의 협의와 동의 절차를 거친 후 위탁교육을 받으면 출석으로 인정되며 원적학교의 학적은 그대로 유지하게 됩니다.

9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학업중단숙려제란?

학업중단의 징후, 또는 의사를 밝힌 학생 및 학부모에게 적정 기간 동안 숙려의 기회를 부여하고 상담, 진로체험, 예체능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여 신중한 고민 없이 이루어지는 학업중단을 예방하는 제도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학업중단숙려제

적용 대상 PART 3

학생관찰, 상담 등으로 발견된 위기징후와 학교 부적응 진단결과 등을 종합하여

학교장이 판단한 학생 담임교사, 상담(교)사, 상담복지사, 진로전담교사 등이 협업을 통해 진단한 학생 미인정결석 연속 7일 이상, 누적 30일 이상인 학생 구두로 학업중단 의사를 표시하거나 자퇴원을 제출한 학생

PART 4

검정고시 응시를 위하여 학업중단 의사를 밝힌 초·중·고등학생

적용 제외 대상

PART 5

① 연락두절, 행방불명 등으로 숙려제 운영이 불가능한 학생 ② 질병, 병원치료, 발육부진, 사고, 해외출국(유학), 미인정 유학 등으로 부득이하게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 ③ 학교폭력 등으로 출석이 정지되어 미인정 결석으로 처리된 학생 ④ 학교폭력, 학교규칙 위반을 사유로 퇴학하게 된 학생

운영 절차 학업중단 예방위원회 개최 (숙려제 운영 방안 마련)

전문상담 (Wee클래스, Wee센터 등)

상담결과 안내 후 조치 (학교적응 또는 자퇴 절차)

후속 처리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부록

학업중단 의사, 위기 징후 (담임교사 상담)

93

숙려 기간 해당

학년의 수업 시수를 2/3 이상 이수할 수 있도록 최소 1주 이상, 최대

7주 이하(50일 미만) 범위 내, 학기별 2회까지 해당 학교에서 적정기간 설정 숙려기간은 출석으로 인정

2 학교

학업중단숙려제 프로그램 운영 자체 프로그램, 시교육청 지원 프로그램, 위탁형 대안교육 등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청소년상담지원센터,

대안교육기관 외에 예술·체육, 진로·직업훈련, 여행,

심리 상담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민간 부문 연계 교육복지

우선지원(경제적 어려움), 또래 조정(또래 간 갈등), 진로 상담

(진로 탐색 필요), 기초학력 증진(학습 결손) 등 연계 지원 복학,

검정고시, 평생교육시설 및 방송통신 중·고교 편입 등 진로·진학

상담 및 청소년 지원 기관 등 관련 정보 제공

TIP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개인 맞춤형 처방 •숙려제 프로그램은 심리·진로 상담, 진로·직업 체험, 문화·예체능 활동, 여행 등 학업중단을 숙고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교육적 활동으로 구성될 수 있음. •학교와 전문상담기관 외에도 기업, 개인 영업장, 병원, 대학, 문화·체육 시설, 종교기관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장소에서 진행될 수 있음

9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청소년기 변화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

자아 존중감을 길러준다. 지나친 기대감과 책임감을 부여하지 않는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성교육 및 양성평등교육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적 지지를 제공해 준다. 자녀의 심리를 이해하려는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PART 3

부모가 먼저 노력하여 자녀와의 대화 시간을 늘린다. 부모가 자녀의 정신적 멘토(mentor)가 되어야 한다. 독립심을 길러 주되 격려와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 준다.

2

청소년 이성 교제 PART 4

청소년 이성 교제 막아야 할까? 이성과의 관계에서 성 역할을 배울 수 있다. 미래의 배우자 선택의 첫 단계로 사교 매너를 배울 수 있다. 청소년의 이성 교제는 서로에 대한 탐색 과정에서 자신과 이성의 심리에 대해

PART 5

배우면서 인격적으로 성숙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올바른 이성 교제를 위한 조언 상대의 개성과 특성을 존중한다. 부모나 친지에게 소개하여 공개적으로 사귄다. 부록

상대의 입장에서 배려해 주고, 신체 접촉은 되도록이면 피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95

3

4

PART3

공부에 소홀해지거나 성(性) 문제가 발생, 불행한 결과를 일으킬 수도 있지요.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무조건 이성 교제를 막기보다는 잘못된 이성 교제를 걱정하고 있음을 알리고, 혹시 자녀의 이성 교제가 어른 흉내를 내는 이성 교제인지, 자신이 해야 할 일과 본분을 다하면서 이성을 대하고 있는지 냉정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양성평등교육 양성평등 교육 PART4

양성(兩性) = 여성(女性)과 남성(男性) 평등(平等) = 개인·집단 사이에 차별이 없는 상태 양성(兩性) = 여성(女性)과 남성(男性) 남자와 여자의 법률적 권리나 사회적 대우가 성별에 따라 평등(平等) = 개인·집단 사이에 차별이 없는 상태, 남자와 여자의 법률적 차별이 없음 권리나 사회적 대우가 성별에 따라 차별이 없음.

PART5 부록

양성평등을 방해하는 생각들 여자는 남자에 비해 의존적이다. 여자는 집안 살림만 하는 것이 좋다.

자녀교육 가이드북 ●

여자의 행복은 전적으로 결혼을 잘하는 데 있다. 남자는 여자보다 지도자가 될 수 있는 능력이 많다. 여자에게 적합한 직업과 남자에게 적합한 직업은 따로 있다. 눈물을 보이는 남자는 연약하고 능력이 없는 남자이다. 남녀가 똑같이 일을 하는 경우 임금, 승진의 기회가 우선 남자에게 주어져야 한다.

양성평등을 실천하는 생각들 집안 살림은 가족이 함께 분담한다. 행복은 남성과 여성이 함께 노력해서 이룰 수 있다. 여자나 남자 모두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아야 한다.

9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87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성교육 및 양성평등 바로 알기

이성 교제를 막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PART 3

‌건전한 이성 교제를 통해 바람직한 이성관을 형성하고, 서로의 지적, 정서적 성장에 도움을 주고받는다면 청소년 시기의 이성 교제는 부끄러운 일도, 부모님께서 반대하실 일도 아닙니다. 하지만 서로에게 너무 집착해서 공부에 소홀해지거나 성(性) 문제가 발생하면 불행한 결과를 일으킬 수도 있지요.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무조건 이성 교제를 막기보다는 잘못된 이성 교제를 걱정하고 있음을 알리고, 혹시 자녀의 이성 교제가 어른 흉내를 내는 이성 교제인지, 자신이 해야 할 일과 본분을 다하면서 이성을 대하고 있는지 냉정히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딸아이의 이성 교제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걱정이 되어서

PART 4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97

성폭력, 디지털 성범죄(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 교육 1

성폭력 및 디지털 성범죄(성폭력)의 정의

성폭력이란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 행위로서 상대방의 동의 없이 이루어지는

모든 성적 행위를 말합니다. 디지털 성범죄란 카메라나 또는 그 밖의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사람의 신체를





동의 없이 촬영하거나, 촬영물을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유포·협박하는 등 타인의 안전을 침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 대구광역시교육청 디지털 성범죄 예방 및 교육 조례 제2조, 2021.12.30.

2

Safe(안전), Help(도움), Say(알림)을 훈련하라

Safe! 안전하게 친구들과 생활하려면! 성적인 농담이나 놀이, 불필요한 신체 접촉은 안 됩니다. “좋으면 좋다”, “싫으면 싫다!” 자신의 의사를 확실하게 표현하여야 합니다. 여러 사람이 “뽀뽀해!” 등과 같은 성적인 행동을 시키거나 강요하면 안 됩니다. 신체 노출이나 성적인 행동을 사진 찍어 공유하거나 인터넷에 올리면 안 됩니다.

Help! 피해자가 주변에 있다면! 이런 말은 친구를 더 힘들게 해요! (“덮어두어라, 나라면 안 그랬을 텐데, 너도 잘못했네.”) 이야기를 잘 들어 주고 절대로 소문내면 안 돼요. 친구 말을 믿어주고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도록 꼭 권하세요.

Say! 피해를 당했다면! 내 잘못이 아니라는 걸 꼭 명심하고 도움을 반드시 요청하셔야 합니다. 9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3

디지털 성폭력, 이렇게 대처해요! PART 1

성적 문자 · 영상 전송 성적인 말, 사진·영상등을 받고 불쾌함을 느꼈을 때 SNS에서 성적인 사진이나 영상을 봤을 때 • '신고' 혹은 '스팸' 누르기 / 공유하지 않기 몸 사진 전송을 요구 받았을 때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불쾌함 표현하기, 대화 중단·신고하기

•절대 대답하지 않기 / 대화방 나가기 PART 3

불법 촬영 · 합성 영상 유포 불법 촬영이 의심될때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즉시 112 신고하기

PART 4

화장실 등에 의심스러운 물건이 보일 때 •만지지 말고 즉시 112 신고하기 지인이 합성된 사진 영상을 봤을 때 •당사자에게 알리고 신고 도와주기

PART 5

만남 요구 낯선 사람이 오프라인에서 만나자고 할 때 •만남 거절하고 대화 중단하기 랜덤 채팅 앱에서 대가성 만남을 요구할 때

부록

•대답하지 않고 캡쳐해서 신고하기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99

4

100

도움을 받고 싶나요?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성매매의 의미

PART 1

5

성매매란

불특정한 사람을 상대로 금품, 그 밖의 재산상의 이익을 약속하고 성행위나 유사성행위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청소년

청소년 성매매의 문제점

PART 2

6

생활 및 인성 지도

성매매는 인터넷 채팅 등을 통해 성행위의 가격을 약정한 뒤 만나 성행위를 하고 그 대가로 금전을 수수하는 방식의‘일회성 윤락’이 주를 이룬다.

돈으로 성을 사고파는 성매매는 사람의 몸을 상품화하는 비윤리적 행위이다.

PART 3

성매매로 성병, 에이즈에 감염되거나, 불임 등의 후유증을 앓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원하지 않는 임신을 할 수 있다. 청소년의 성매매는 평생에 걸쳐 대인관계, 직업 선택, 결혼생활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매매 신고 방법(인터넷 유인 시)

PART 4

7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앱과 인터넷으로 성매매 유인을 당하고 있어,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성 매수 유인 행위만으로도 처벌받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다.

관련 증거화면 캡쳐

경찰청 안전 Dream 홈페이지 접속

성범죄 신고 게시판에 신고내용 작성

PART 5

성 매수 자의 발견

사건 처리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01

TIP 신고 기관, 전화 •학교: 보건실, 상담실, 안전생활부 •상담기관: 여성긴급전화 1366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1388 •신고기관: 학교폭력·성폭력 신고 117 •성폭력피해자 통합지원센터: 1899-3075 •대구해바라기센터: 대구의료원 서관 2층,053-556-8117(9117)

성매매 신고하세요! •신고만으로도 처벌이 가능합니다.(112, 1388) •신고포상금 제도 : 아동 ·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매매를 하도록 유인·강요· 알선하고 장소를 제공하는 사람을 신고하면 70~100만원의 포상금 지급 ※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10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몸캠피싱이란?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 등을 통해 친구가 되고 싶다는 등으로 접근해서는 영상채팅을 하자고 유인하여 해킹 앱을 설치하게 한 후, 옷을 벗고 영상통화를 하자는 등 음란한 행위를 하도록 하여 녹화하고, 악성코드를 통해 피해 학생의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몸캠피싱의 위험성과 예방 및 대처 방법

휴대폰에서 주소록을 빼내어 학생의 가족이나 친구 등에게 음란 영상을 유포 하겠다며 협박하여 돈을 갈취하는 사이버 범죄 행위를 말한다.

피싱

PART 3

2

몸캠피싱의 위험성 범죄자들에게 피해 학생의 얼굴과 몸이 찍힌 동영상이 한번 유포되면

이것을 가족, 친구에게 보내거나 인터넷 사이트 게시판 등에 퍼뜨리겠다며 PART 4

지속적으로 협박하여 돈을 갈취하므로, 자신의 동영상이 유포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심각한 정신적 압박감에 시달리게 된다. 범죄자들에게

송금해줄 돈을 마련하기 위해 절도, 중고물품 거래 사기, 학교

폭력, 금품갈취 등 2차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가 있으며, 협박에 시달리다 못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까지 발생하는 사례도 있다. PART 5

3

예방 및 대처법

모르는 사람이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메신저 등으로 접근해서 친구가 되자고 하면 일단 주의하세요! 범죄자들은 영상통화를 하자고 하거나, 사진을 찍어서 부록

보내주면 문화상품권이나 커피 쿠폰을 보내준다고 유혹하기도 한다.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등 SNS의 친구목록과 사진 등 게시물은 ‘나만보기’로

하거나 ‘친구에게만 보여주기’ 등으로 공개 등급을 조절하세요. 범죄자들은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03

사전에 SNS 게시물 등을 확인해보고, 친구의 친구 흉내를 내거나 같은 학교, 학원, 교회 등을 다녀서 알아봤다며 접근한다. 영상통화를 하자고 하면서 영상통화용 앱을 보내줄테니 휴대폰에 설치하라고

한다면 절대로 링크를 클릭하거나 내려받아서는 안됩니다. 100% 해킹용 앱입니다. 범죄자들은 이런 종류의 앱이 설치되는 순간 여러분의 휴대폰을 마음대로 들여다보고, 사진, 주소록, 통화내역, 문자메시지 내용까지 빼내갈 수 있다. 자녀의

행동에서 아래의 변화들이 생겼다면 몸캠피싱을 당한 것이 아닌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 누군가에게서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가 오면 당황하고 겁을 낸다. • 걱정이 많아 보이고, 갑자기 용돈이 많이 필요하다고 한다. • 집안의 물건들이 없어지거나 본인의 물건을 팔거나 잃어버렸다고 한다. • 알 수 없는 상대방 계좌로 송금한 내역이 있다. 몸캠피싱에

속아 동영상이나 사진등이 범죄자에게 유출되었다면. 범인들의

송금 요구에는 절대로 응하지 말고, 부모님이나 선생님과 상의해서 경찰에 신고하세요. 범인들은 돈을 받았더라도 동영상을 삭제해준다는 등의 약속은 지키지 않으며, 오히려 ‘돈이 있는 집이구나’ 라고 판단하고 계속 더 큰 돈을 요구한다. 신고할 때는 협박 문자나 전화를 받은 즉시 채팅 화면을 캡처하고, 범죄자들이

돈을 보내라고 하는 계좌번호나 이미 송금했다면 송금 내역 등 증거자료를 준비하여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한다.

10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몸캠피싱 법죄 바로 알기 ‌음란영상채팅을 한 것 때문에 청소년도 처벌받는 것 아닌가요?



채팅화면, 통화내역, 송금을 요구하는 계좌번호, 송금내역 등을 캡처 하여 경찰에 신고한 뒤, 휴대전화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여 악성 앱을 검사하여 삭제하는 등으로 조치해야 합니다.



범죄자들은 피해자들이 약한 모습을 보이면 더욱 더 심하게 협박하면서 돈을 요구합니다. 범죄자들의 송금 요구를 단호하게 거부하고, 휴대폰 주소록에 있는 사람들에게 먼저 문자 등을 보내서 ‘휴대폰을 해킹 당했으니 모르는 사람이 보내주는 사진 등 첨부파일이나 링크 주소는 절대 열어보지 말고 삭제하라’고 알려주세요. 범죄자들이 피해 학생의 SNS계정에 댓글 등을 통해 동영상이나 사진을 게시할 수도 있으니, 계정을 폐쇄하거나 댓글 등을 막는 조치를 하세요.

PART 2



2019년 한해동안 전국적으로는 1,824건, 대구 지역에서는 38건이 발생하였고, 동영상이 유포될까봐 두려워 신고하지 못한 건수까지 포함하면 실제 피해 건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활 및 인성 지도



아닙니다. 범죄자들에게 속아 몸캠피싱을 당한 것이라면 처벌받지 않습니다. 다만, 청소년이라 할지라도 스스로 먼저 다른 사람에게 음란영상을 보내거나 음란영상채팅을 시도한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몸캠피싱, 얼마나 심각한가요?

PART 3

‌범죄자들이 보낸 앱을 설치했다면, 어떻게 하나요?

PART 4

‌동영상과 사진 유포를 예방할 수 있나요?

PART 5

TIP

동영상이나 사진 등의 인터넷 유포가 걱정된다면....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부록

•피해자 지원: ☎ 02-735-8994 여성가족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s://d4u.stop.or.kr ☎ 02-735-8994 • 피해신고: ☎ 112 사이버경찰청 홈페이지: https://www.police.go.kr/index.do

105

저작권 교육

1

저작권이란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한 결과물(몸짓, 말, 글, 그림, 사진, 음악, 영상, 도형, 건물, 영업 비밀,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대하여 그것을 만든 사람이 갖는 권리 저작권은 저작물이 창작되면 자연히 발생하는 것이므로 공 개하지 않은 것이라도 저작물로 보호를 받음. 저작권을 지키는 방법은 남의 글을 쓸 때는 출처를 표기. 영화나 노래를 불법다운로드 금지.

2

저작권 침해 사례

인터넷에 떠도는 글, 그림, 사진을 허락없이 내 홈페이지 혹은 블로그에 옮기기 공유 사이트, 웹 하드 등에서 자료 주고받기 컴퓨터 프로그램, 영화, 음악 파일을 게시판 자료로 올리기 남이 만든 음악을 내 블로그에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인기 드라마, 쇼 등 방송 프로그램을 캡처하여 인터넷에 올리기 좋아하는 가수 팬클럽 카페에 음악 올리기 글짓기, 그리기 대회에 다른 사람의 글이나 그림 베껴 내기 학교 과제를 낼 때 인터넷 자료를 그대로 옮겨서 제출하기 문제집, 참고서 등 학습 자료를 스캔하여 학교 홈페이지에 올리기 ※ 저작권을 침해가 인정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 또는 이를 동시에 처벌받을 수 있다.(2018.10.16. 일부 개정 법률 제15823호)

10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저작물 사용 조건과 의미

PART 1

3

저작권자가 라이선스를 선택하여 저작물에 첨부하고 이용자가 이를 확인하면 저작권자와 이용자 사이에 별다른 접촉을 통하지 않아도 이용 허락의 법률관계가 발생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CC : 저작물을 공유함 BY : 저작자 표시(저작자 이름, 출처 등 저작자에 대한 사항을 반드시 표시해야 함) PART 3

NC : 비영리(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음) ND : 2차 변경 금지(저작물을 변경하거나 저작물을 이용한 2차적 저작물 제작을 금지함) ‌SA  : 동일조건 변경 허락

PART 4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07

이것이 궁금해요

저작권 바로 알기 ‌아이가 자기 홈페이지에 만화의 한 장면을 스캔해서 올렸다가

고소를 당했습니다. 그 대가로 합의금을 요구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최근 청소년들이 관련 법령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저작권을 침해 사례에 대해 일부 법무법인이 이를 고소한 후 취하하는 조건으로 과도한 합의금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 경미한 저작권 침해행위에 대해서는 하루 동안 저작권 교육을 받는 조건으로 기소하지 않고 ‘교육조건부 기소 유예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법무법인이 경미한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고액의 합의금을 요구할 경우, 미리 당황 하여 합의에 응하기보다는 관할 경찰서 또는 한국저작권 위원회 (☎ 1800-5455)에서 안내 받으시기 바랍니다.

TIP 저작물 사용 5단계 •1단계 어떤 저작물을 어떤 방법으로 이용할 것인지 정한다. •2단계 그 저작물이 보호받는 것인지 확인한다.(보호 기간이 지났거나 저작권법 에서 정하고 있는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은 이용할 수 있음.) •3단계 저작물 이용 방식이 저작권법 상 허용되는 방식인지 확인한다.(저작권법 에서 정하고 있는 저작권자의 허락이 없어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의 조건에 맞는지 확인되면 이용할 수 있음.) •4단계 저작권자에게 저작물 제목과 이용하려는 방법 등을 자세히 알리고 허락을 받는다. •5단계 허락을 받은 범위 내에서만 이용한다.(저작자 표시, 출처 표시를 명확히 하고 사용)

10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부모 자녀 의사소통 방법 코로나-19로 인해 집에서 아이들과 집에서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다. 부모의 한다. 특히나 사춘기 자녀와 대화하는 것은 쉽지 않다. 흔히 반항적이며 부모 말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많은 부모들은 청소년기 자녀와의 소통을 어려워하고, 자녀들 역시 부모님과의 대화를 피하기도한다. 이럴 경우, 자녀가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스트레스도 늘어나면서, 아이들의 잘못이 더 눈에 띄게 되어 목소리가 높아지기도

부모와 편안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은 다음과 같다. PART 3

1

자녀와의 소통은 자녀의 이야기를 경청해주는 것으로 시작된다.

성급하게 자녀의 말을 끊고, 자녀의 행동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교정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듣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자녀의 감정에 공감하면서 고개를 PART 4

끄덕이기도 하는 등, 자녀의 말을 잘 듣고 있다는 것을 자녀가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부모는 자녀가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의 이유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질문으로 이끌어주면 더욱 좋다. ‘왜?’라는 질문이 자칫하면 비난 조로 들릴 수 있어서, ‘어떻게’ 혹은 ‘이유가 있을까?’라는 말로 더 부드럽게

PART 5

질문할 수 있다.

• “어, 정말? 그랬구나. 엄마(아빠)한테 더 얘기해 주겠니?” •“친구와 그런 일이 있었구나. 너의 느낌(기분)은 어땠니?” • “네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줄 몰랐어. 어떻게 그 생각을 하게 되었니?”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09

2

자녀의 이야기를 정리해 준다.

자녀가 이야기하다 보면 순서나 상황, 감정이 뒤섞이는 경우가 있다. 차분하게 내용을 순서대로 정리해 준다면 자녀도 자신의 처지를 좀 더 객관적으로 보면서 부모님과 대화할 수 있게 된다.

3

자녀의 입장과 감정을 듣고 공감을 표현한 뒤 부모의 입장을 전달 한다.

자녀의 말을 먼저 들음으로써 부모가 자녀를 존중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부모가 자녀를 공감해줌으로써 자녀는 기분이 풀린 상태에서 부모의 말에 귀 기울일 수 있다.

4

자녀의 영역과 자존감을 존중해 준다.

허락 없이 자녀의 물건에 손을 대거나 일방적으로 결정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 앞에서 자녀를 공격하거나 비난하는 발언은 삼가 한다. 인격을 모독하거나 다른 아이와 비교하는 언행은 피한다. • 너는 왜 그 모양이니? (X) 너는 어떻게 동생만도 못하니? (X) - ‘~하지마’ 보다는 ‘~을 멈추고, ~했으면 좋겠다’라는 식의 긍정적 표현을 사용 하여 해결방안을 함께 제시한다. - 다음과 같은 메시지 전달법이 좋다. • 네가 연락도 없이 늦게 들어오면. . . . . (문제행동) • 엄마는 걱정된다. . . . . (감정전달) • 왜냐하면 혹시 무슨 일이 생겼을 수도 있으니. . . . . (정당한 이유) • 늦는 경우에는 연락을 해 주려무나. . . . . (의사전달)

11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5

문제 행동을 보일 경우, 일단 그 행동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다. PART 1

아이는 행동에 대한 나름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미리 짐작하여 화내거나 혼내기 전에 행동의 의도나 생각을 물어보아야 한다.

• 늦은 시각인데 컴퓨터를 하고 있구나. 무엇 때문인지 말해 줄 수 있니? (O)

6

감정적인 대응과 체벌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 밤 12시인데 아직도 컴퓨터를 하고 있니? 당장 꺼! (X)

청소년기의 뇌는 미성숙하기 때문에 행동 조절이 안 되거나 규칙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다.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일단 크게 심호흡을 한 번 한다. PART 3

체벌은 문제 행동을 교정하는 것에 효과가 없다. 체벌을 당하면 자녀는 공포심과 분노에 사로잡혀 생각이 정지된다. 정작 자신이 어떤 잘못된 행동을 했고,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생각하지 못하게 된다. 체벌을 경험하면 자녀는 폭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게 되며

7

PART 4

폭력적인 해결을 하게 된다.

이렇게 대화해 보자 • 자녀 : 오늘 시험 봤는데 망쳤어요 PART 5

• 부모 : 속상하지? (공감하기) • 자녀 : 내가 너무 긴장을 해서 아는 것도 많이 틀렸어요. • 부모 : 저런. 긴장만 하지 않았어도 더 잘 볼 수 있었는데 속상하겠다. (반응 보여주기) • 자녀 : 이번 시험은 지난번보다 더 많이 공부했어요.

부록

그런데 막상 시험문제를 받아보니 너무 떨렸어요. • 부모 : 더 많이 공부했는데 긴장하는 바람에 점수를 잘 못 받았구나. 엄마는 그래도 네가 지난 번 보다 더 노력한 것이 대견한데... (정리하기) 출처: 교육부,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11

이것이 궁금해요

자녀와의 의사소통 바로 알기 ‌아이가 짜증을 내며 말할 때마다 저도 화가 납니다.

부모로서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은가요? ‌잘못된 대화 이럴 때 부모님들은 지금까지 키워 준 은공도 모르고 짜증내는 자녀 에게 서운한 마음이 들기도 하고 밖에서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렇게 말을 하나 싶어서 염려도 됩니다. 아이가 왜 이렇게 짜증을 내는지, 무슨 일이 있는지 그 마음을 들여다 보기보다는 아이가 밖으로 표현 하는 말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 부모: “너는 왜 묻는 말마다 짜증만 내니? 다른 사람들한테도 이렇게 해? 이래 가지고 누가 널 좋아하겠니?” - 자녀: (짜증 섞인 목소리로) “ 다른 사람이 저 안 좋아해도 돼요.” - 부모: “애 말 하는 것 좀 봐.” “너 내가 이렇게 말하라고 가르쳤어?” - 자녀: (화가 나 방 안으로 들어가 버린다.) ‌이렇게 말해 보세요



112

서로 대화가 통하지 않을 때 자녀와 부모 모두 마음을 상하게 됩니다. 아이가 짜증내기에 가장 만만한 상대는 부모입니다. ‘무엇인가 마음이 편하지 않구나.’ 하는 생각으로 아이의 말을 들어 주어야 합니다. - 부모: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네가 짜증을 내는 걸 보니 무슨 좋지 않은 일이 있는지 걱정된다. 몸이 안 좋은지,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엄마한테 이야기하면 안 되겠니?” - 자녀: “그냥 자꾸 짜증이 나요.” -부모: “그래? 안 좋은 일이 없다니까 다행이다 만 네가 얼마나 힘들면 이럴까 할까? 하는 생각도 든단다.” - 자녀: “죄송해요.”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다문화 가정이란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을 말한다. •국제결혼 가정 : 부모 중 한쪽이 외국인 •외국인 근로자 가정 : 부모 양쪽 모두 외국인

대구 다문화 가정 학생 수(초,중,고,특)

PART 3

2

(2022.4.1.교육통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전체 학생 수

268,536

261,289

252,545

248,874

244,173

다문화가정 학생 수

3,929

4,427

4,773

5,179

5,586

다문화가정 학생 비율

1.5%

1.7%

1.9%

2.1%

2.3%

406명(8.5%)

407명(7.9%)

증가 추이

3

509명(14.9%) 498명(12.7%) 346명(7.8%)

PART 4

구분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

가정에서의 다문화 교육 PART 5

우리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다문화 가정이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자녀 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자녀들이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 준다. (책, 영상자료, 행사 참여, 뉴스 등)

부록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서로를 인정하도록 한다. 다른 나라 문화와 가치를 존중함과 동시에 우리나라 문화와 가치를 더욱 깊이 인식하여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갖도록 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13

이것이 궁금해요

외국에서 온 다문화 가정의 엄마에요, 이럴 때는 어떻게 하나요? ‌ 아이를 가르치고 싶어도 한글을 잘 알지 못해 도와줄 수 없습니다.



‌대구시교육청에서는 한국어가 미흡한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해 한국어 학급 운영 학교 16교(초12, 중2, 고2) 24학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한국어학급 운영학교에 입급시키면 체계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어학급에 입급하지 못할 경우라도, 해당 학교에서‘찾아가는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을 신청하시면 주 2~3회, 한국어강사가 학교로 방문하여 1:1로 한국어를 지도합니다. 또한 중도 입국 학생의 경우 ‘한국어집중 배움학급’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 5회, 1일 3시간씩 20일간 한국어강사가 학교로 방문하여 한국어를 집중 지도 합니다. 20일간 교육 후 ‘찾아가는 한국어교육’과 연계(주 5회, 1일 2시 간씩, 2개월 교육 후 주2~3회 지원)하여 운영하니, 해당 학교에서 참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버지나, 이웃, 선생님의 도움으로 아이 의 공부를 도와줄 수 있습니다. 또한 단짝 친구, 언니, 오빠, 형, 누나 등을 통해서 자녀를 지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 교육을 위해 어머니도 학교, 사회단체(가족지원센터 등), 군청· 시청에서 운영하는 한국어 교실에 참여하도록 합니다. 여러 군데 다니는 것보다는 한 곳을 정하고, 아무리 바빠도 꾸준히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 학교에서 학부모를 오라고 하면 한국말을 알아듣지 못하거나 말을 잘 못하니 갈 수가 없습니다.



114

‌ 대구시교육청에서는 한국어가 미흡한 다문화가정 학부모님과 학교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다국어 맞춤형 통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녀 학교의 담임교사와 상담을 원하시면, 해당 학교에 통역 서비스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학교에 자주 가다보면 조금씩 한국말을 배우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한국말을 잘하게 되고 다른 사람이 하는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어머니를 사귀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들과 친하게 지내면 한국말도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빨리 배울 수 있고, 아이 교육 방법이나 요리 방법 등을 많이 배우게 됩니다. 한국에서는 부모가 학교 행사에 참여하면, 그 자녀는 학교 생활을 더 열심히 하게 되고, 특히 공부도 더 열심히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입장을 생각해서라도 학교 행사에 열심히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구시교육청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 및 학부모를 지원하기 위해 대구 세계시민 교육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각종 지원 사업을 살펴 볼 수 있으며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아래의 번호로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PART 3

대구시교육청 다문화교육담당

☏ 053) 231-0214, 0218

대구세계시민교육센터

☏ 053) 231-3930~6

Fax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 다문화가정 자녀 및 학부모 지원 사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053) 939-3933 http://www.edunavi.kr/multiculture/main.do

주소

(41528)대구광역시 북구 동북로 65길 46 (복현동, 구 복현중학교)

PART 4

홈페이지

PART 5

TIP •‘혼혈아’라는 말, ‘코시안(Korsian)’이라는 말, ‘온누리안’이라는 말도 싫어요. ‘이주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부록

노동자’라는 말 대신에 ‘외국인 근로자’라 불러주세요. 차별을 의미하는 말들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115

장애학생의 인권 보호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누구에게나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가 있다. 장애학생의 인권도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지는 권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학교생활 참여는 선택이 아니라 권리이다. 장애학생의 인권은 약자로서 무조건 도움이 필요한 보호의 대상이 아닌 인권의 주체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것은 장애학생을 특별하게 대우하고 보호하기보다는 장애 학생 스스로 권리의 주체가 되도록 돕는 것이기도 하다.

장애학생 인권 보장을 위한 원칙 교육과정에서의 배제 금지 장애학생은 모든 교육활동에 제한 없이 참여할 권리가 있음. 장애학생이 조건 없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시설 편의 제공 장애학생은 배움을 누리는 데 필요한 편의 시설을 이용할 권리가 있음. 학교에서는 기본적인 편의시설로 경사로, 엘리베이터, 장애인 화장실 등 시설 편의를 제공해야 함.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 장애학생은 비장애학생과 함께 교육 받을 권리가 있음. 장애학생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장애학생을 비장애 학생과 분리 교육시켜서는 안 됨.

11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통합교육이란?

통  합교육이란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능력을 지닌 학생들이 수업시간의 일부나 전부를 함께 교육받는 형태로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사회적 활동이나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1

PART 1

통합교육

교수활동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  합교육을 통해 장애학생은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양식을 배우게 되고, 비장애 PART 3

학생은 사람들마다의 개인차를 인식하고 이해, 수용하게 되면서 이타적 사고와 태도를 가지는 등 인성역량을 함양하게 된다.

2

장애학생을 위한 기본 예의

장애인을 지칭할 때에는 ‘장애우’, ‘장애자’ 대신 ‘장애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PART 4

비장애인을 지칭할 때에는 ‘정상인’대신‘비장애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동정을 표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장애를 각 개인이 가진 특징 및 개인간의 차이로 받아들임. 도움을 주기 전에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봄

PART 5

TIP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가중처벌!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부록

• 대구광역시교육청에서는 장애학생들을 보호하고자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성폭력 포함)이 발생할 경우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보다 과중한 처벌을 하도록 각 학교에 권고하고, 그 내용을 교칙에 명시하고 있습니다.

117

각종 재난 발생 시 대응 요령

1

폭염에 의한 환자 발생 시 대응요령

시원한 장소(통풍 잘 되는 그늘, 에어컨이 작동되는 실내 등)로 옮긴다. 옷을 벗기고 몸을 차게 식힌다. 노출된 피부에 물을 뿌리고,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차게 식힌다. 얼음주머니가 있을 경우 이마, 목, 겨드랑이, 가랑이 등에 대어 몸을 식힌다. 수분·염분을 섭취한다.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으로 이송한다.

2

화재 발생 시 대피요령

손수건 혹은 옷 등으로 코와 입을 막는다. 자세를 낮추고 다른 한 손으로는 벽을 짚어가며 이동한다. 한 방향으로 밖으로 신속히 대피한다. 대피할 때 문을 닫고 나오고, 승강기의 이용은 절대 금한다.

11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행동요령 3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PART 3

PART 4

PART 5

부록

119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PART1

지진 시행동요령 상황별 행동요령 4 발생 지진 시 발생 상황별

PART2 PART3 PART4 PART5 부록

* 재난 시 행동요령 :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 국민재난안전포털 : http://www.safekorea.go.kr

12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녀교육 가이드북 ●

99

지진, 이렇게 대비하자.

PART 1

5

집 안에서의 안전을 확보한다. 탁자 아래와 같이 집 안에서 대피할 수 있는 안전한 대피 공간을 미리 파악해 둔다.

깨진 유리 등에 다치지 않도록 두꺼운 실내화를 준비해 둔다.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난로나 위험물은 주의하여 관리한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유리창이나 넘어지기 쉬운 가구 주변 등 위험한 위치를 확인해 두고 지진 발생 시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한다.

집 안에서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한다. PART 3

가구나 가전제품이 흔들릴 때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해 둔다. 텔레비전, 꽃병 등 떨어질 수 있는 물건은 높은 곳에 두지 않도록 한다. 그릇장 안의 물건들이 쏟아지지 않도록 문을 고정해 둔다. 창문 등의 유리 부분은 필름을 붙여 유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PART 4

집을 안전하게 관리한다. 가스 및 전기를 미리 점검한다. 건물이나 담장은 수시로 점검하고, 위험한 부분은 안전하게 수리한다. 건물의 균열을 발견하면 전문가에게 문의하여 보수한다.

비상용품을 준비하고 보관할 장소를 알아 둔다. PART 5

비상시를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보관할 장소와 사용 방법을 알아 둔다. 지진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소화기를 준비해 두고, 사용 방법을 알아 둔다.

부록

평상시 가족회의를 통하여 위급한 상황에 대비한다. 가스, 전기를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 둔다. 머물고 있는 곳 주위의 넓은 공간 등 대피할 수 있는 장소를 알아 둔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21

비상시 가족과 만날 곳과 연락할 방법을 정해 둔다. 응급 처치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훈련하여 익혀 둔다.

비상용품을 준비하고 보관 장소를 알아둔다. 비상시를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준비해 두고, 보관 장소와 사용 방법을 알아 둔다. 지진 발생 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소화기를 준비해 두고, 사용 방법을 알아 둔다.

먼저 환기를..

전기, 수도 가스관 점검..

응급구호의 지식을 배워 둡시다!

TIP 재난 시 행동요령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국민재난안전포털: https://www.safekorea.go.kr

지진 대비 비상용품 •비상식품: 물, 통조림, 라면 등 가열하지 않고 먹을 수 있는 것 •구급약품: 연고, 감기약, 소화제, 지병 약 등이 포함된 구급함 •생활용품: 간단한 옷, 화장지, 물티슈, 라이터, 여성용품, 비닐봉투 •기타 용품: 라디오, 손전등 및 건전지, 휴대전화 예비 배터리, 비상금, 비상연락망 등

12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TIP 지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 스마트폰 재난정보 애플리케이션 •기상청 지진 정보 알리미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국민안전처 안전디딤돌

PART 3 PART 4 PART 5 부록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123

청소년 사이버도박 예방 및 대처법 최근 언론보도 등을 통해 청소년 사이버 도박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학생 간 서로 도박자금을 빌려주고 사채놀이를 하거나, 돈을 갚지 못할 경우에는 또래 친구들로부터 협박과 폭력에 시달리게 되어 학교폭력을 더욱 심화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1

세심한 관찰로 청소년 사이버 도박 근절하기

돈내기 게임(도박)을 하는 학생은 일상생활에서 성적 저하나 집중력 저하, 불안 및 우울, 친구관계 문제, 가정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다. 도박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절도, 중고물품 거래 사기, 학교폭력, 금품갈취 등 2차 범죄 발생하고 있다.

2

도박문제 관련 피해 예방 및 대처법

청소년 도박은 불법이고 처벌 받을 수 있으며 중독으로 이어 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여야 한다. 최근 성행하고 있는 불법 온라인 도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자녀의 스마트폰 및 인터넷 사용을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자녀의 행동에서 아래의 변화들이 생겼다면 도박문제가 있는지 반드시 확인 하여야 한다. • 갑자기 가족에게 선물을 하거나 용돈을 준다. • 사주지 않은 고가의 물품들을 소지한다. • 집안의 물건들이 없어지거나 본인의 물건을 팔거나 잃어버렸다고 한다. • 스포츠 경기결과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 알 수 없는 명의의 입출금이 반복된 거래내역이 발견된다. 도박문제가 발견되었다면 자녀와 도박으로 인해 어떤 문제(금전, 학업, 교우 관계 등)가 생겼는지 확인한 다음 문제가 심각하다면 도박문제 전문상담은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국번없이 1336)로 신청한다. 12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청소년 사이버도박 바로 알기

수가 2017년 48명에서 2021년 141명으로 3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청소년도 도박을 하나요? 2022년 10월, 건강심사평가원이 국회에 제출한 ‘청소년 도박 중독 진료현황’에 따르면, 도박 중독으로 진료받은 19세 미만의 청소년 또한 불법도박으로 검거된 만14~19세 청소년은 2017년부터 2022 년 6월까지 268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도박 청소년 평균 연령 또한

PART 3

2017년 18.2세에서 2022년 7월 17.6세로 어려지고 있어 청소년들의 도박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2022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2022. 12.) ‌청소년 도박 처벌받나요?



고금리 대출로 인해 피해를 당했을 경우 가까운 경찰서로 신고하고, 경찰서에 직접 신고가 어려운 경우 학교전담경찰관(SPO)에 피해

PART 4



청소년 도박, 처벌 대상이 됩니다. 다만, 처벌수위(구속, 기소유예 등)는 도박을 하게 된 경위, 금액, 처한 상황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대리입금 이용 후 이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면...?

사실을 신고하면 됩니다.



또한, 학교(SPO)-경찰서 신고체계 구축으로, 학교→학교전담경찰관



에게 피해 사실이 통보됩니다.

PART 5



‌대리베팅, 강제베팅으로 피해를 입었다면...? 대리베팅 및 강제베팅은 엄연한 학교 폭력입니다. 교내의 경우 선생님이나 신고함을 통해 신고 할 수 있으며, 교외의 경우 학교폭력 신고·상담센터



117, 스마트폰앱(117 chat), 해당학교 담당 학교전담경찰관(SPO)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부록



125

Wee센터 및 Wee클래스 상담 지원 •해당 학교 Wee클래스 및 해당 교육지원청 Wee센터 상담 지원 헬프라인 전화상담(국번없이 1336)

온라인 상담(도박문제 넷라인)

https://natline. kcgp.or.kr

TIP 도움 받을 수 있는 관련 기관 •상담 및 피해 최소화 지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홈페이지 온라인 상담: https://www.kcgp.or.kr/pcMain.do→헬프라인→온라인 상담 ☎ 국번없이 1336(24시간 365일 상담 가능) 여성가족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s://d4u.stop.or.kr ☎ 02-735-8994 •피해신고: ☎ 112 사이버경찰청 홈페이지: https://www.police.go.kr/index.do

12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생활 및 인성 지도

PART 3

PART 4

PART 5

부록

127

PART 2. 생활 및 인성지도

진로가 미래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가는 길. 눈앞엔 고속도로만 보인다. 남보다 빨리 이 길로 오라고 손짓하는 것만 같다. 그래서 앞만 보고 달린다. 브레이크 없이 달리고 달린다. 도착한 곳에 발을 딛고서야 깨닫는다. 아, 여기는 부산이 아니구나 …. 국내 초·중·고교 학생 중에서 상당수가 이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진로와 관련해서 말이다. 자신의 앞길을 부모 및 교사와 상의하며 선택하기보다는 방향과 목적지를 모르고 무작정 출발해 보자는 식. 후회를 덜하고 시행착오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PART

진로 지도

3

•진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132 •특성화ㆍ마이스터고등학생의 진로 지도····133 •자녀를 위한 진로교육의 시작················134 •특성화고등학교의 맞춤형 직업 진로교육 프로그램···········································136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진학 ·················138 •선취업-후학습 제도·····························146 •창직과 창업 ······································152

가정은 나의 대지이다. 나는 거기서 나의 정신적인 영양을 섭취하고 있다. - 펄벅 -

진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1

진로 교육의 개념

진로 교육은 행복한 삶의 기초를 다지는 것입니다. 진로 교육은 개인이 지닌 가능성을 개발하여 가장 적합하고 의미 있는 일에 종사 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이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돕는 과정을 지원하는 모든 교육 활동을 말한다.

2

진로 교육의 필요성

진로 교육은 우리 자녀의 소질과 적성을 찾아냅니다. 청소년들은 진로나 희망 직업을 선택할 때 자기 생각보다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권유, 또는 학교 성적을 먼저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과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 바람직한 진로 의사결정을 위한 조언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 교육은 자기 이해와 직업 세계의 이해,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 정보 탐색 및 활용 능력,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 한다. 단기적인 진로지도에서 벗어나 자신의 커리어를 장기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적성과 흥미를 조기 발견해 진로와 관련된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13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생의 진로지도 특성화고등학교는 취업과 진학 등 진로 선택의 폭이 넓은 것이 큰 장점이다. 진로 선택의 폭이 넓은 만큼 아이들의 흥미, 적성, 가치관, 지능 등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PART 2

행복해지는 방향으로 진로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마이스터고등학교는 취업을 우선으로 하여야 한다. ‘선취업-후학습’제도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진로 설계를 하여야 한다. 진로 발달단계에서 보면 특성화·마이스터고는 졸업 후 취업을 통하여 성공적인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우 취업 대신 대학으로의 진학도 가능하기 때문에 진로 선택의 폭이 일반계고등학교와 비교하였을 때 넓다고 할 수 있다.

PART 4

마이스터고 성공적 사회적 진출 안전적 자아구축

진로준비

PART 3

진로 지도

사회 진출을 통한 안정적인 자아를 정립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단계이다. 또한

先취업 중학교

특성화고

진로인식

진로탐색

진로준비

취업 진로확립 진학

PART 5

초등학교

後학습

일반고

대학

진로탐색

진로전문화

부록

기술학교 진로전문화

PART 3. 진로 지도

133

자녀를 위한 진로교육의 시작

1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하기

학부모는 자녀를 사랑하는 마음에 부모가 원하는 모습을 요구할 때가 많다. 때로는 이러한 잘못된 사랑이 자녀가 진정한 자신을 찾고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자녀에게 부모의 생각을 강요하기보다 스스로 미래를 꿈꾸며 이루어 갈 수 있도록 자녀를 도와주자. 이것은 내가 원하는 자녀의 모습이 아니라 자녀를 있는 모습 그대로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2

자기 자신을 이해하도록 도와주기

진로를 인식하기 위해 자기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아무도 인생을 대신 살아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자신의 특성과 소질, 적성과 능력 등을 이해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면 자신만의 독특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다. 진로흥미검사, 적성검사, 성격검사 등 심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전문가와의 심도 있는 진로상담은 자녀가 진정한 자신에게 한 걸음 다가가는 데 도움이 될 것 이다.

3

온라인 심리검사를 활용한 자녀 이해하기

신뢰할 수 있는 심리검사를 위해서는 갖추어진 환경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상담실 에서 실시할 것을 추천한다. 상황이 여의찮다면 ‘제5장 기타 교육활동(209page)’ 에 소개된 온라인상에서 진로와 관련된 심리검사를 무료로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결과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13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부모가 자녀의 진로 교육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은



PART 2

무엇인가요? 자녀들이 자신의 흥미, 적성, 학업능력, 기타 여건 등을 살펴보고 파악 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다양한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얻도록 많은 직업탐색의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유도하여 진로 계획이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진로전담교사는 진학, 취업 등 진로에 대한 전반적인 상담을 진행합니다. 특히 진로상담에 있어서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확고한 진로 의식을 발달시키고 관련 정보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진로에 관한 의사결정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진로 교육의 시작은 자녀와의 대화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대화를 통해 자녀가 어떤 분야에 흥미가 있는지, 어떤 일을 하고 싶어 하는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대화는 부모의 관점에서 알 수 없었던 자녀의 성격 등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요즘은 여러 기관의 사이트를 이용하여 자녀의 진로와 관련된 심리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PART 4



PART 3

진로 지도

‌고등학교에 배치된 진로전담교사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요?

‌자녀를 위한 진로 교육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PART 5 부록

PART 3. 진로 지도

135

특성화고등학교의 맞춤형 직업 진로 교육 프로그램

1 맞춤형 진로비전 프로그램 운영  생의 자신감 회복을 통한 비전 설정 및 Carrer Path(경력개발)에 따른 전문가 학 로의 성장 기반 마련

주요 내용(예시) 자아존중감 회복

- 스스로 작은 계획(등반, 책읽기, 정상등교, 줄넘기 등) 세우기 - 목표달성, 소감발표, 칭찬카드, 시상

직업진로 정보수집

- 직업진로적성 정보, 전공직업진로정보, 비전공진로 정보

진로비전 설계

- 진로비전(꿈)찾기, 진로 캠프, 전문가 및 성공사례 특강

직업진로 목표설정 목표관리 및 지원 성공적인 취업

- 직무역량(자격취득, 직무체험 등), 인성역량(봉사, 독서 등), 취업역량 (면접, 자소서 등), 내신역량(직업기초능력 등) - 1교사 1비전 관리(career coach) - 지도교사는 누적된 역량으로 career coach 전문가로 성장 - 전문가 성장을 위한 취업 및 3년간 재직과정(경력) - 후진학에 의한 해당 분야 전문가로 성장(미래비전 도달)

기타 프로그램 학교/교육청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운영(2학년 대상) 맞춤형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면접지도, 멘토링, 기업현장견학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 지원)

13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2 직업계고 글로벌 프로그램 운영 교  육부에서 추진하며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학생을 대상으로 해외에 파견하여 일정기간 동안 교육 및 기술습득을 위해 진행된다. 사업 주체는 단위학교가 되는 경우(단위 학교에서 계획서 제출 및 승인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교육청 단위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PART 2

주요 목적 직  업기초능력, 전공실무역량 강화를 통한 직업교육 선진화방안 모색 해  외인턴십, 어학능력향상, 해외 문화체험을 통한 경쟁력 있는 글로벌 기능인력 양성

년도 별 실적 사업단

참여

나라별 참여인원

2019

4개

34명

핀란드(10명), 뉴질랜드(5명), 독일(6명), 미국(13명)

2020

4개

27명

핀란드(6명), 미국(5명), 독일(6명), 미국(10명) - 코로나19로 해외 현장실습 미실시

2021

4개

26명

미국(5명), 독일(6명), 미국(10명), 싱가포르(5명)

2022

4개

39명

미국(15명), 독일(7명), 싱가포르(17명)

PART 4

년도

PART 3

진로 지도

글  로벌 역량 강화를 통한 국내외 좋은 일자리 발굴 및 취업경쟁력 강화

추진체계 예시(2022학년도 기준) 대상자 선정 (사업단별) 4월초

원어민 화상교육 4~11월

PART 5

1학년 1학년 글로벌 예비 프로그램

23년 글로벌 햔Pre프로그램 신청 23학년도

2학년 2학년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계획서 신청 22.3월

계획서 및 발표심사 (사업단 선정) 3월 말

대상자 선정 (사업단별) 4월초

국외파견 (2주) 22.1월~2월

23년 글로벌 현장학습 신청 23학년도

사전교육 4~9월

국외파견 (4주) 10~12월

국외취업 (희망자) 12월~233.2

부록

원어민 화상교육 4~12월

3학년 3학년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대상자 선정 (사업단별) 4월초

PART 3. 진로 지도

137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진학

 성화고등학교는 취업과 더불어 진학의 기회가 있어 진로 선택의 폭이 일반계 특 고등학교와 비교하여 훨씬 넓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해서 는 입시제도를 잘 이해하고 미리 준비해야 한다. ‘특성화고 특별전형’은 정원외 5%에서 1.5%로 줄어들었지만,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특별전형’은 정원 외 5.5%를 선발하므로 ‘선취업-후학습’ 제도를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수능 점수가 중요시되는 정시보다는 수시를 통하여 진학하는 것이 용이하나 상위권 대학에서는 수능 최저등급을 적용하는 곳이 많으므로 우수한 대학에 진학 하기 위해서는 수능 공부를 계속해야 한다. 2 025학년도 입시전형의 세부 계획은 2024년에 발표될 예정이다. 기본적으로 2023학년도 대입 제도 개편안의 내용이 유지됨으로 2023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의 유의 사항을 보면 다음과 같다.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 주요 내용 학생부종합전형의 투명성·공정성 강화

•정규교육과정이 아닌 비교과활동은 대입에서 폐지 •자기소개서 및 고교 프로파일 폐지 •세부평가기준 공개 및 1인당 평가시간 확보 등 가이드라인 마련 대입전형 간 비율 조정 및 대입전형 단순화

•학생부 종합전형 논술위주전형으로 쏠림이 있는 서울 소재 16개 대학에 수능위주전형을 40% 이상 확대 요청

•논술위주전형과 어학·글로벌 등 특기자 전형 폐지 적극 유도 사회적 배려 대상자의 기회확대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사회통합전형 도입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 10% 이상 의무화 •수도권 대학 대상 지역균형 선발 10% 이상 및 학생부 교과위주 선발 권고 (교육부, 2019.11.28. 발표)

13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 대학입시 지원 시 유의 사항은 무엇인가요? PART 2

대학입시의 기본적인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학입학전형 기본방향과 원칙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사교육비 절감 추진 대학입학전형의 간소화 추진

2. 대학지원 방법(고등교육법시행령 제 42조) 가. 전 모집 시기 공통

PART 3

진로 지도

입학전형의 공정성 확보

대학(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포함)에 입학하고자 하는 자는 수시

모집, 정시모집 및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있음.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개별 대학으로부터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이를

PART 4

검색·분석하여 지원방법을 위반한 자의 명단을 각 대학에 통보하고, 이를 통보받은 대학은 해당자의 입학을 무효로 함. 원서접수 취소는 원칙적으로 불가함.

나. 수시모집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시모집’에 해당하는

모든 전형을 지원 가능 횟수 최대 6회로 제한함. PART 5

• ‌재외국민과 외국인전형, 수시모집에서 모집하는 입학 사정관 전형, 대학수학능력시험 이전의 수시모집,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의 수시 모집 등 모두 해당 대학(교육대학 포함, 산업대학·전문대학 제외)은 수시모집의 모든

전형에서 6개를 초과한 전형에 대해서는 지원자격을 부여하지 않음. • 전형이라 함은 정원 외 전형을 포함한 수시모집의 모든 전형을 의미함.

PART 3. 진로 지도

부록

• 지원횟수는 지원한 대학의 수와 관계없이 수시모집에서 지원한 모든 대학(교육대학 포함, 산업대학·전문대학 제외)의 전형을 대상으로 하며, 1개의 대학에 복수 지원한 경우 각각을 지원한 것으로 산정함.

139

수시모집 원서접수 시, 하나의 전형유형으로는 하나의 모집단위에만

지원가능 수시모집의 합격자는 등록여부와 상관없이 정시 및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음. 다. 정시모집 정시모집에서 군별모집을 실시하는 경우, 동일 모집기간 군에서는 하나

의 대학에만 지원할 수 있음. 대학의 정시모집에 합격하여 등록한 자는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음.

3. 복수 지원 관련 사항 가. 복수지원 허용범위 수시모집 대학에 있어서는 전형기간이 같아도 최대 6개 전형 이내에서

복수지원이 가능함. 단, 산업대학·전문대학은 제한 없이 복수지원이 가능함. 정시모집 대학에 있어서는 모집기간 군이 다른 대학 간, 또는 동일 대학

내 모집기간 군이 다른 모집단위 간 복수지원 가능 나. 복수지원 금지사항 수시모집 대학에 합격자는 ‘정시모집 및 추가모집’에 지원 금지 대학은 수시모집의 모든 전형에서 6개 전형유형을 초과하여 지원한

자에 대해서는 접수를 인정하지 않음. 정시모집에 있어서 모집기간 군이 같은 대학 간 또는 동일 대학 내

모집기간 군이 같은 모집단위 간 복수지원 금지 정시모집에 합격하고 등록한 자는 ‘추가모집’에 지원 금지 전문대학 수시모집 합격자는 다른 모집 시기에 실시하는 대학·산업

대학·교육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모집에 지원할 수 없으며, 대학·산업 대학·교육대학의 수시모집에 합격한 자도 전문대학이 실시하는 다른 모집 시기에 지원할 수 없음. 산업대학 수시모집 합격자는 다른 모집 시기에 실시하는 대학·산업

대학·교육대학 또는 전문대학의 모집에 지원할 수 없으며, 대학·교육 대학 및 전문대학의 수시모집에 합격한 자도 산업대학이 실시하는 다른 모집 시기에 지원할 수 없음.

140

「대학(산업대학 및 교육대학·전문대학 포함)」과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대학·각종학교」간에는 복수 지원과 이중등록 금지원칙을 적용하지 않음.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특성화고 학생들은 특별전형이 아니더라도 수시 일반전형으로도 많이 진학하고

있다. 아직 정시보다 수시로 뽑는 비중이 높고, 특히 학생부 종합 전형 비중이 높다.

PART 2

이것이 궁금해요

‌ 입시 전형이 너무 다양해 어렵습니다. 어떤 것들이 있나요?

PART 3



진로 지도



• 특  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특별전형으로 주로 대학을 진학합니다. 지역의 대학은 학생부 교과 전형의 수능 최저가 낮아서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학생부 교과 전형으로도 진학합니다. •그  리고 특별전형에는 정원내 특별전형, 정원외 특별전형, 특기자 특별전형 등이 있습니다. •대  학 전형 방법을 참고하여 자녀에게 맞는 전형이 무엇인지를 파악 하고 그 전형에 맞게 입시를 준비하여야 합니다.

PART 4 PART 5 부록

PART 3. 진로 지도

141

대학 전형 방법 •일반 수험생을 대상으로 보편적인 교육적 기준에 따라 공개경쟁에

일반전형

의해서 시행함. •수시는 학생부(교과, 종합) 위주, 논술 위주, 실기/실적 위주 •정시는 수능 위주, 실기/실적 위주 •대학마다 특별한 전형 요소 또는 자격 기준을 마련하여 학생을

선발함(특성화고 특별전형). 특별전형

•학생의 특별한 경력이나 소질을 기준으로 하는 전형, 차등적 보상기준에

의한 전형 •정원 내와 정원 외 특별전형으로 구분함.



142

모집 시기에 따라 수시모집과 정시모집, 그리고 추가모집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추가모집은 수시 및 정시모집에서 선발하지 못한 인원을 2월 중순쯤에 마지막으로 충원하는 것이다. 수시모집은 9월초부터 진행된다. 수시모집은 졸업예정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졸업한 지 오래된 수험생의 경우는 반드시 지원 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정시모집은 8월 말에 수능 원서 접수를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8월 말에 신분증 과 최근 3개월 이내에 찍은 여권용 사진, 수능 응시 수수료 등을 가지고 졸업한 고등학교에 가거나, 졸업한 학교가 생활 거주지와 다른 시도인 경우 에는 그 생활 거주지의 교육청에서 원서 접수를 해야 한다. 원서 접수를 해야만 수능시험을 볼 수 있으니 반드시 접수해야만 한다. 11월에 수능 시험을 보고, 12월 초에 수능 성적표를 받는다. 그리고 12월에 정시모집 응시원서를 접수하고 1월 말부터 2월 초 사이에 합격자를 발표한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기타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유의해야 할 사항은? 수시모집에 합격하면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정시모집에 지원이 금지되며, 수시 또는 정시에서 2개 이상의 대학에 합격했어도 등록은 반드시 한 대학에만 해야 한다. 정시모집에서는 일반 4년제 대학은 ‘가, 나, 다 군’의 각 군별로 한 개의 대학만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산업대나 전문대학은 지원 횟수의 제한이 없다.

PART 2

수시모집에서 원서 접수 횟수가 6회로 제한이 있다. 따라서 수시모집에 지원하기 전에 미리 어떤 대학교에 지원해야 할지를 결정하여 무분별하게 지원하여 정작 지원해야 할 대학교를 놓치는 일은 없어야 하겠다.

PART 3

진로 지도

이것이 궁금해요

‌ 특별전형과 일반전형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할까요? 어느 전형이 유리한지는 전형유형과 자신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



전형유형과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자격기준, 전형요소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특별전형의 경우, 지원 자격이 합격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지원 자격은 단지 지원 자격일 뿐입니다. 따라서 전형요소에 대한 본인의 적응력을 충분하게 고려하여 지원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상위권 대학 대부분의 특별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의 충족 여부도 평소 모의고사 성적을 통하여 충분하게 고려한 후에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별전형의 경우 대학에 따라 지원자가 미달인 경우에도 수학능력이 부족하다고 판단 하는 경우 불합격될 수 있습니다.

PART 4



PART 5 부록

PART 3. 진로 지도

143

‌특성화고교 졸업(예정)자들은 꼭 특성화고교출신자 특별전형에만

지원해야 하나요? 응시 자격에 제한을 두는 일부 특별전형을 제외하고는 특성화고교 출신 학생도

일반전형이나 다른 특별전형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지원 자격과 성적,



장단점 등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지원한다면 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다만 특성화



고교의 교육과정상 일반전형에 지원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유형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와의 상담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참고로



2015학년도부터 마이스터고등학교 졸업생은 특성화고교 졸업자 특별전형 대상



에서 제외되었습니다.

‌특별전형에서 2가지 이상의 지원 자격이 있을 때 모두 활용할 수

있나요? 많은 수험생들이 1~4개 유형에 해당될 만큼 특별전형의 유형은 매우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농ㆍ어촌학생 특별전형과 특기자 특별전형에 동시에 해당하는 학생은 모집 시기에 따라 지원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수시모집의 경우 대학의 모집요강을 살펴보면, 동일 대학이라도 복수 지원을 허용 하는 대학과 한 개의 전형에만 지원하도록 하는 대학이 있습니다. 한 개의 전형에만 지원하도록 하는 대학의 경우에는 전형 별로 자신의 유 ㆍ 불리 등을 판단하여 지원 해야 합니다. 그러나 정시모집의 경우, 3개의 군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한 군에 하나의 대학에만 지원하여야 하므로 한 대학에는 농ㆍ어촌학생 특별전형으로 다른 군에서는 다른 특별전형으로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같은 대학이라 할지라도 분할 모집을 하는 경우, (가), (나)군에서는 농ㆍ어촌학생 특별전형으로만 지원하거나, 군을 달리하여 농ㆍ어촌학생과 다른 특별전형을 각각 지원할 수 있습니다.

‌특성화고 특별전형의 특징과 지원 전략은? 교육부의 직업교육 선진화 방침에 따라 특성화고교출신자 특별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반면, 특성화고졸업자 재직자 특별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선취업-후학습’의 진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특성화고 특별전형은 동일계열의 대학진학 시 정원외로 선발하는 것인데, 특성화고 특별전형 지원 자격 및 동일계열 인정범위가 전문교과 30단위 이상 이수한 ‘기준학과’를 기준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변경된 점 등이 경쟁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14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또한 수시모집에서 지원 횟수는 6회로 제한되고 수시모집 최종합격자(최초합격

PART 1

자 및 충원합격자 포함)는 등록 의사와 관계없이 정시 및 추가모집 지원이 금지되 므로 이를 유의하여 지원하여야 합니다.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대학은 대부분 최저학력기준을 제시합니다. 특성화고 특별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은 1차 목표로 진학을 희망하는 대학의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학습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PART 2

특성화고 특별전형 지원 자격 및 동일계열 인정 범위 구분

지원 자격 •초·증등교육법 시행령 제 91조 제 1항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 •특성화고와 같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과가 있는 종합고 포함 •대학의 장이 특성화고교에 설치된 학과와 동일계열이라고

PART 3

진로 지도

졸업(예정)자 공통

인정하는 모집단위에 한함.

대학별

•대학별 지원 자격 및 동일계열 인정범위는 대학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최종 발표되는 모집요강을 확인해야 함.

PART 4 PART 5 부록

PART 3. 진로 지도

145

선취업-후학습 제도

선취업-후학습은 특성화·마이스터고의 특징적인 진로지도 체제이다. 특성화·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 방향을 일과 학습, 두 가지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우선 취업한 후 다양한 교육기회의 제공을 통하여 대학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선취업-후학습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의 정체성인 직업 교육의 실현을 위한 것이며, 무분별한 대학 진학으로 발생하는 고학력 청년실업을 극복하기 위한 제도로서 정착 단계에 접어들었으므로 앞으로 더욱 좋은 결과가 예상된다.

직장에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며 학위 취득 제도명

개인

주요내용

재직자 특별전형

특성화·마이스터고 졸업 후 3년 이상 산업체 재직자가 정원외 입학

전공 심화과정

전문대학에서 관련 산업체경력으로 1년 또는 2년의 심화 과정 운영으로 학사학위 취득

산업체위탁교육

산업체장이 소속 직원을 위해 교육과정 개설 위탁·운영

수요 방송통신대, 사이버대학

산업체 수요

1

정보통신 매체를 통한 원격교육

계약학과

산업체장이 소속 직원을 위해 교육경비 지원 및 교육과정 개설 위탁·운영

기술대학

산업체가 소속재직자의 교육을 위해 직접 학교 운영(고등교육기관)

사내대학

산업체가 소속 재직자의 교육을 위해 직접 학교 운영(평생교육시설)

재직자 특별전형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졸업 후 5인 이상 사업체에서 3년 이상 근무경력을 가진 재

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원외 특별전형으로 입학 후 일과 학업을 병행

14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4대 보험 중 1개 이상 가입 사업체(창업, 자영업자 포함)[단, 4대보험 개인(지역)가

입자는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음] 4대 보험 가입 대상 사업체가 아닌 농업, 수산업 등의 산업체 종사자는 국가·지방

자치단체가 발급하는 공적증명서(농지원부 등) 제출 자 해외에서

근무한 경우는 납세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할 경우에 한해

인정함(아포스티유 또는 영사확인서 포함) PART 2

※ 졸업 시까지 재직상태를 유지하여야 함. 군 의무복무 경력은 재직 기간에 포함할 수

있음, 이직을 위한 일시적 구직기간은 퇴직 다음 날부터 8개월로 제한함.

2

전공 심화과정

졸업한 자로 졸업 후 산업체 근무경력이 9개월 이상인 자에게 입학자격 부여

PART 3

진로 지도

전문대학 입학 후 산업체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자, 또는 전문대학을 전년도에

2년제 학과의 졸업생의 경우에는 2년, 3년제 학과의 졸업생의 경우는 1년만 수강

하면 4년제 학사학위를 수여하는 제도 PART 4

전문대 졸업자가 학사학위 전공 심화과정을 이수하면 전문대학 총장 명의의 학사

학위 취득 가능 전문대학은

교육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학사학위 전공 심화과정을 설치·운영할

수 있음 운영

사례: 대경대, 계명문화대, 구미대, 대구보건대, 영진전문대, 안동과학대,

영남이공대 등 PART 5

3

산업체 위탁교육

PART 3. 진로 지도

부록

산업체장이 소속 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 학과 개설 위탁·운영 재학기간 중 본인의 의사에 따라 직장을 퇴직한 경우에는 제적처리 전문학사 운영 사례: 장안대, 명지전문대, 주성대, 영진전문대학 등

147

4

계약학과

산업체장이 소속 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에 학과 개설 위탁·운영 학비 50% 이상 지원 석·박사, 학사, 전문학사 운영 사례: 고려대-SK하이닉스, 성균관대-삼성전자, 경북대-삼성전자, 부산대-LG 전자,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국방부 등 전국 22개 대학 41개 학과 운영

5

사내대학

재직자가 소속 일터에서 직무능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학위(학사 또는 전문학사) 취득, 입학 대상은 고졸 직원 학비 전액 지원 운영 사례 [대학 과정] 성전자공과대학교(40명), KDB금융대학교(120명), LH토지주택대학교 (20명) [전문대학 과정] 삼성중공업공과대(40명), SPC식품과학대(30명), 현대중공업공과대 (30명), 포스코기술대(42명)

6

방송통신대학

1학기 등록금 40만 원대(일반대학의 1/10, 사이버대학의 1/5)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 일반대학과 똑같이 학사학위 인정, 졸업 후 대학원 진학 가능 13개의 지역대학과 32개의 학습관으로 구성되어 지역기반의 학습지원 대구·경북지역대학은 대구 달서구에 위치, 대구·경북 학습관은 포항, 경주, 구미, 상주, 안동에 있음. 오프라인 수업(1학기에 3일 정도), 학생은 만 24세까지 병역 연기 혜택

14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사이버대학

7

PART 2

정보통신기술, 멀티미디어 기술 및 관련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가상의 공간(Cyber-Space)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수업이 이뤄지는 학교. 일정한 학점을 이수할 시, 대학총장 명의의 전문학사 또는 학사학위 수여 고등학교 졸업자나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 편입생은 대학 2, 3학년으로 편입이 가능 등록금은 1학점당 6~8만 원 정도로 한 학기에 70~150만 원, 일반대학의 1/3 수준 운영 사례: 영진사이버대학교, 대구사이버대학교, 영남사이버대학교 등 21개 대학

기능 기술인 국비유학

8

고등학교 전 교과 70점 이상(유학인 경우 대학교 성적 포함)

PART 3

진로 지도

기능·기술 분야 중소기업 10년 이상 재직자 유학 및 연수 분야 15명 선발

9 고졸 후학습자 장학사업(희망사다리 II유형) 선취업 후학습자를 위한 장학금 PART 4

지원자격 서류구분

용도 대한민국 국적자로 지원대상 대학1)의 학부 재학생(신·편입생 포함)

성적

직전학기 성적이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신·편입생은 성적기준 미적용)

재직요건

고등학교 졸업자2)로서 선발학기 심사개시일 기준 산업체 재직기간이 2년 이상(단, 중소·중견기업은 1년 이상)3)이며, 심사일 기준4) 재단이 인정하는 기업체5)에 재직 중인 자

PART 5

학적

PART 3. 진로 지도

부록

1) 지원대상 대학 「한국장학재단설립 등에 관한 법률」제2조제6호 가목부터 다목에 따른 고등교육기관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서울대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천대 「한국과학기술원법」에 따른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법」에 따른 광주과학기술원

149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에 따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법」에 따른 울산과학기술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설치법」에 따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 설치법」에 따른 한국농수산대학 단,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 결과에 따른 재정지원제한 II 유형 대학, 군인이 e-MU(군전문학사)관리 운영지침(국방부)에 따른 학과에 재학 중인 경우 지원 제외 2) 전문학사 취득자가 전공심화과정 및 4년제 대학에 신편입하는 경우, ‘전문학사 취득 전’ 재직기간 2년을 충족하면 장학금 지원 가능 3) 고용보험 가입정보 기준으로 산정하며 이전 재직 기업 유형 및 규모는 무관. 군복무기간을 포함하되, 재직 경력이 최소 6개월(180일) 이상이어야 함 단, 국내 법인의 재직경력만 인정 4) (1학기) 선발연도 1월1일 / (2학기) 선발연도 7월1일 5) 「중소기업법」 및 「중견기업법」에 따른 중소·중견기업과 기업신용조회사에서 대기업으로 분류한 기업, 비영리법인, 비사업자까지 포함(기업유형 및 규모에 따라 차등지원) 단, 부 또는 모가 대표인 기업, ‘재직의무 이행 제외 업종’ 해당 기업 등 재직 인정 제외 기업의 경우 지원 제외(업무처리기준 참조) 지원 혜택 - 현 재직기업의 유형 및 규모에 따라 등록금 차등지원 기업유형

중소중견기업

대기업, 비영리기관

지원금액

등록금 전액

등록금 50%

장학금 최대 지원 횟수 범위 내에서 정규학기 및 초과학기 장학금 지원 - 중소·중견기업과 기업유형 및 규모가 다른 기업이 복수로 확인될 경우, 요건재 확인 절차를 통해 접수된 재직 증빙 서류로 심사 진행 - 수혜학기 중복지원 여부와 등록금액에 따라 장학금액 변동 가능

15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선취업-후학습의 장점 PART 1

청년 실업이라는 구조적인 틀에서 벗어날 수 있다. 대학 진학률이 70%에 육박하는 사회 분위기는 학력 인플레를 일으키며, 제한된 일자리에 많은 취업희망자가 지원하여 청년실업에 빠지게 되나 ‘선취업-후학습’은 이런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다.

PART 2

기술력으로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특  성화고의 ‘선취업-후학습’은 취업 후 습득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안정된 직업을 가지고 창업도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취업 후 진학이 보장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PART 3

진로 지도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많은 대학이 재직자 특별전형을 실시하고 있으며, 국립 대학 중심의 후학습도 가능하고, 이 외에도 다양한 진학의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PART 4 PART 5 부록

PART 3. 진로 지도

151

창직과 창업

창직은 사회와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라 창조적인 아이디어로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거나 발굴하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행위인데, 창직의 유형은 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직업 개발(창조), ② 기존 직업 직무 재설계(발견), ③ 이종 직업 및 직무간의 융합(융합), ④ 직업 전문화(세분화)로 구별할 수 있다.

창직의 유형 유형

152

내용

기존에 없던 새로운 직업 개발 (창조)

•공유 : Airbnb, Zipcar, Soccar, 키플, 집밥, 전자기기 렌트 •파티플래너, 다이어트 프로그래머 •건축여행 기획자 : 건축물이나 유적 비교 체험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SNS 작가, 페이스북 매니저, 유투브 제작자, 앱 제작자

기존 직업 직무 재설계 (발견)

•국내 웹툰 외국어 번역가 •인력거 운전사

이종 직업 및 직무 간의 융합 (융합)

•음악치료사, 미술치료사, 놀이치료사 •사이버 경찰관 •‌음악 캠프 컨설턴트 : 다양한 음악체험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도록 이끌고 심리적 안정감을 취할 수 있는 캠프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푸듀게이터(Food+Educator) : 밥상머리 교육 전문가 •‌홈스테이징(매매주택연출가) : 집안의 가구나 그림 소품 배치로 주택의 가치를 높이는 연출가

직업 전문화 (세분화)

•프로파일러 : 경찰 직무 세분화 •애견옷 디자이너, 애완동물행동 상담사 •약물중독치료 심리 상담사 •장애인여행 코디네이터 •시니어 전화 안부 상담사, 노인 전문 상담사 •‌메시지 필름 제작자 : 삶의 마지막을 더욱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유언 동영상 제작 •미니멀리즘 아이콘 디자이너 : 표현 대상을 최대한 간략한 이미지로 제작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창업은 수익 활동을 위한 사업을 처음으로 이루어 시작하는 것을 말하며, 훌륭한 PART 1

창업가는 사회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사람이다. 창업가는 업(業)을 일으킨 다는(起) 도전정신과, 시대의 변화(트랜드)를 읽는 능력, 사람들의 필요를 느낄 수 있는 공감 능력, 새로운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것을 다르게 하거나 더 유용하게 만들 수 있는 창의 능력, 협업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이 있어야 한다.

PART 2

이것이 궁금해요

창의성은 발견입니다. 창의를 위해서 희귀한 발상을 하기 위해 애쓰는 것보다일상에서 찾아야 합니다. 일상의 사물이나 프로세스 등을 새로운 것으로 변형하기 위하여 발상 도구인 SCAMPER(7가지 아이디어 발굴 키워드)를 활용해 보세요.

PART 4

① 대체하기(Substitute) 일본에서 제 2의 전성기를 맞고 있는 설빙의 인절미 빙수 - 기존의 팥을 인절미로 대체하여 새로운 맛의 영역을 창조. 예) 유리컵: 일회용 종이컵, 부채: 선풍기, 연필: 샤프

PART 3



진로 지도

‌창업 아이디어 도출은 어떻게 하나요?

② 결합(Combine) 전화의 용도로만 사용하던 휴대폰 - 카메라, MP3, PC 기능을 결합한 스마트폰 예) 티셔츠+모자 = 후드티, 운동화 + 바퀴 = 스케이트, 다리미 + 물뿌리기 = 스팀다리미

PART 5

③ 응용(Adapt) 화장실 변기가 막혔을 때 사용하는 뚫어뻥 - 문어빨판의 원리를 응용하여 개발 예) 낙하산 = 민들레 홀씨, 벨크로(찍찍이) = 엉겅퀴, 태양에너지 = 전열판

PART 3. 진로 지도

부록

④ 수정하기, 확대하기, 축소하기(Modify, Magnify, Minify) 업무용이나 멀티미디어 활용을 위한 테블릿PC - 컴퓨터와 노트북을 간소화해 휴대하기 쉽게 만들어진 제품 예) 하드웨어를 축소한 USB, 가방을 축소한 파우치 백, 휴대폰 고리 모양 교통카드, 입는 담요 스너기

153

⑤ 다르게 활용하기(Put to other users) 스위스의 유명 가방 브랜드 - 프라이탁 트럭 방수포와 안전벨트 활용해 가방을 제작 예) 유람선에서 뷔페식사, 계란판을 활용한 방음벽, 유모차를 노인용 지팡이로 활용 ⑥ 제거하기(Eliminnate) 다양한 용도로 실생활에 활용되는 블루투스 스피커 - 선을 없애 휴대하기 편하게 개발 무지방 우유, 일체형 PC, 스포츠 속옷(와이어를 뺌), 인덕션(가스레인지 불을 뺌) ⑦ 뒤집기, 재배열(Reverse, Rerrange) 무좀으로 고생하는 분들을 위한 발가락 양말 - 장갑에서 모티브를 얻어서 개발 예) 병뚜껑이 아래에 있는 화장품 용기, 양문형 냉장고, 양면 잠바

15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창업에 고려해야 할 시대의 변화 요인(트랜드) 및 적용 예 과학발전 고령화 출산율 감소

PART 1

변화요인

내용 드론, 로봇, 가상현실, 무인자동차, 5G 사물 인터넷 헬스 케어, 시니어취업 창업센터, 시니어 프래너, 실버 매니저 1인 가구, 가전제품 공유, 땅콩주택, 셀프 빨래방

친환경, 폐기물 활용(upcycling) 예) 화물용 트럭 방수포로 제작한 가방 Freitag, 폐가구의 변신 Zweitsinn, 폐타이어 활용 샌들 Indosole, UFO Plate(감자 전분과 구아검으로 만들어 100% 분해가 되는 접시),

자원고갈

자원 부족, 물 부족, 에너지 부족, 예) 네이버 ‘나눔에코’ 서체: 같은 글자 대비 35% 정도 잉크 절약 다이얼식 수도꼭지 턴: 원하는 시간만큼 물이 나오는 절수형 수도 꼭지, Drybath(물 없이 샤워 가능한 크림) 오렌지와 아보카도 껍질을 이용한 가뭄 퇴치(Google Science Fair 2016)

여가생활 증가

레저, 예술, 1인 소자본 여행사

글로벌화

Facebook, Twitter, Instagram, 카카오톡 오요리 아시아(다문화 메뉴), 다문화 카페, 다문화 취업센터, 다문화아동센터, 다문화도서관

개성화

블로그, 다품종 소량 생산, 나만의 제품, 최게베라 기획사

단순화

복잡해진 삶의 해결사를 찾아라

어린이를 위한 MRI, 곰돌이 청진기, 구명조끼 백팩, 브래들리 타임피스(점자시계)

공유

Socar(자동차 공유), Yanolja(숙박업소 공유), Airbnb(빈집 공유), wework (사무실 공유), 따르릉(서울 자전거 공유), Meal sharing(요리 음식 나누기), 주차장 공유, add my window, 눈뜨면 도착(등교버스 공유), 마켓인유(중고품 공유), 열린 옷장(정장 공유)

부록

공감

PART 5

나눔

믿음과 소통의 사회적 자원 사용 적정기술(낙후된 지역이나 소외된 계층을 배려하여 첨단 기술보다는 해장 지역의 환경이나 경제, 사회 요건에 맞도록 만들어낸 기술): Q드럼, Pot in Pot cooler, Liter of Light(Pet 병 전구), Soccket Ball, G saver power cycle, 할로우 플래시 라이트, 노케로 태양전지 전구 어려운 이웃 문제해결: 두손컴퍼니(자활을 돕는 소셜벤처), 탐스슈즈(신발기부). 딜라이트 보청기(사회적 기업), 인큐베이팅(이주여성 경제적 자립 지원) Incredibles(동네 유휴지 채소 재배)

PART 4

다문화

참조: 10대 메가트렌드(한국트렌드연구소)

PART 3. 진로 지도

PART 3

환경오염

PART 2

온난화, 태풍, 황사, 미세먼지 관련 상품, 식재료 보관, 온실가스감축, 기상장비개발, 청정에너지 개발, 에너지 소비 효율화 기술, 탄소자원화 기술

진로 지도

기후변화

155

취업에 관한 지나친 관심 “좋은 데 취직해라” 최근 학생들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명절 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은 ‘취업’으로 나타났다. ‘취업에 쏟아질 친척들의 부담스러운 관심’이 명절 스트레스 1위(20.9%)를 차지했다. 취업난이 반영된 결과인 셈이다.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은 취업과 진학 선택의 폭이 넓다는데 취업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PART

취업 지도

4

•현장실습과 취업 ·················160 •취업지원 프로그램 ··············190 •기술자격 취득 ····················202

딱 하나씩 해 나가자. 무슨 일이든 조금씩 차근차근 해 내가면 그리 어렵지 않다. - 헨리 포드 -

출처: 나무위키

현장실습과 취업 현장실습이란 학교에서 배운 이론 및 기초실습 교육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산업 현장의 실무능력과 기술 습득의 기회를 가져 첨단 산업현장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나아가 국가 산업 발전에 주축이 될 현장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을 체험함으로써 자신의 특기와 적성에 맞는 진로·직업 선택의 기회를 갖는 데 목적이 있다.

1

현장실습

학습중심 현장실습 2018학년도부터 근로(조기취업)중심 현장실습에서 학습(취업준비)중심 현장실습 으로 전환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장실습을 조기취업이 아닌 직무체험 등을 통한 취업준비과정으로 보고 학습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다.

구분

(기존) 근로중심 현장실습

(개선) 학습중심 현장실습

교육과정연계

자율(근로중심)

실무과목과 연계한 OJT(학습중심)

현장실습 운영기간

6개월 이내

최대 3개월(수업일수의 1/3 범위 이내)까지 가능

운영 형태

조기 취업

취업 준비과정

현장실습 계약

현장실습표준협약서, 근로계약서

현장실습표준협약서

수당 등

근로계약 체결시 최저임금 보장

현장실습수당 지급

신분

학생 및 근로자 혼용

학생

관련 법령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근로기준법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근로기준법 등 준용)

※ 현장실습 수당 1일 6만원, 최대 360만원까지 지급(2022 기준)

16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현장실습 흐름도 PART 1

기업

학교

학생

기업 현장실습 수요 및 채용 계획 등 정보제공

실습 기업 현장 실습 적합성 검토

현장 실습 프로 그램 개발/ 기업학생 매칭

학생 및 학부모 대상 설명회/ 기업탐색 및 참여의사 결정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체결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체결

현장실습 운영(지도) 순회지도 참여

선도기업 희망기업 신청 현장실습 순회지도

현장실습 참여, 일지작성 산업체 지도점검 시 면담

현장실습 보고회(권장) 및 채용 전환 결정 취업지원

현장실습 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출

PART 5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체결

PART 4

사전교육참여

취업 지도

사전교육제공

PART 3

실습생의 직무수행 과업을 구체화하여 학교와 공동으로 프로그램 개발

현장 실습 기업 발굴 및 사전 답사

PART 2

현장실습 운영위원회 구성 현장실습 기본계획 수립

산업체 현장실사

현장실습 평가서 제출

부록

하이파이브 기록·관리

PART 4. 취업 지도

161

현장실습생의 권리 지도받을 권리 첫째

지식과 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지도받을 권리가 있다. 실습에 대해 안내 받을 권리

둘째

현장실습의 구체적인 조건 및 실습 종료 후 취업에 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안내 받을 권리가 있다. 표준협약서 이행 권리

셋째

표준협약서에 위반되는 내용을 거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불이익을 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 실습시간에 관한 권리

넷째

실습은 1일에 7시간까지만 가능하며(현장실습생 동의 시 1시간 추가), 야간·휴일 실습을 거부할 권리가 있다. 보호·보상받을 권리

다섯째

현장실습 과정에서 위험과 재해로부터 보호받고, 재해 시 보상받을 권리가 있다.

현장실습생의 의무 학습 의무 첫째

실습과정에서 성실하고 근면하게 학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지시를 따를 의무

둘째

실습 담당자의 지시 및 지도에 성실히 따라야 할 의무가 있으며, 특히 사업장 내에서 단독행동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제반 수칙 엄수 의무

셋째

실습 기업이 갖고 있는 제반 수칙을 성실히 따를 의무가 있다. 유지·보관 의무

넷째

실습에 사용되는 공구, 기계, 자료 등을 주의하여 다루고 잘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비밀보장 의무

다섯째

실습 도중 알게 된 사업주의 기밀을 누설하지 않을 의무가 있다. 출석 의무

여섯째

162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빠짐없이 출석해야 하며, 결석하는 경우 지체 없이 실습 담당자 및 교사에게 알려야 할 의무가 있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근로계약 바로알기 Ⅰ PART 2

‌ 현장실습생도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하나요?

명목상 현장실습생으로 OJT(On the Job Training, 직장 내 교육훈련) 등 일부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채용을 약정하고 교대제, 근무조 편성 등 사업장 근로자와 동일하게 근로시키는 경우는 현장실습생도 근로자로 인정하여 노동관계법이 전면 적용되며 사전에 근로계약을 체결해야 합니다

PART 3

TIP

•일반 근로자와 동일 또는 유사한 근무(실습)시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PART 4

취업 지도

실습생의 근로자성이 인정된다고 보이는 사항 •일반 근로자와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 생산과정에 직접 참여, 또는 보조하는 경우(특히, 일반 근로자와 유사하게 연장·야간·휴일 근로에 참여하는 경우)

PART 5

•작업 및 근무지시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수의 성격(근로의 대가인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63

이것이 궁금해요

근로계약 바로알기 Ⅱ ‌현장실습표준협약서와 표준근로계약서는 무엇인가요? 현장실습표준협약서

현장실습을 나가기 전 현장실습생이 파견되는 회사 대표, 현장실습 학생, 학교장 상호 간에 현장실습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이를 성실 하게 준수할 것을 약정하는 협약서입니다. 3부를 작성하여 기명날인 후 각각 1부씩 보관합니다.



표준근로계약서 표준근로계약서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시 관리에 따라 일을 한 대가로 회사가 임금을 지급하기로 한 계약의 내용을 명시한 문서를 말합니다. 표준근로계약서에는 계약 당사자인 사용자와 근로자의 인적사항과 근무부서, 직위, 급여조건, 근로시간 등의 내용을 상세하게 기재하도록 합니다. 근로기준법이 정한 기준에 어긋나는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대해 무효이며,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취업규칙 및 근로 기준법의 관련조항을 준용합니다.

현장실습 중 주의해야 할 산업안전보건

16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TIP 꼭 알아두세요! - 안전사고 발생 시 대처요령 1 step

2 step

3 step

실습장의 책임자에게 알리고 치료를 받음

부모님과 학교에 알림

치료비(고용주) 및 요양보상비 (근로복지공단 지사)에 청구

학교/ 교육청

안전사고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 파악

상급기관에 관련내용 보고 (우선 구두보고 후 서면 보고)

학생의 치료·보상 등에 관한 지원활동

PART 2

학생

PART 3

현장실습 중 문제 발생 시 조치 방법 현장실습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빨리 학교로 혼자 결정하여 행동하기 보다는 학교로 연락하여 자세한 상황을 설명 한 후 행동하도록 해야 한다.

PART 4

취업 지도

연락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부당한 업무(노동) 지시, 폭력 및 안전사고 유출, 권리 침해 등이 있는 경우 즉시 학교, 교육청(053-231-0415), 청소년 근로자 대상 「신고해 PART 5

앱」 및 「청소년 근로 권익 센터(1644-3119)」로 상담하거나 신고해야 한다.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65

이것이 궁금해요

근로계약 바로알기 Ⅲ ‌ 막상 실습을 나와 보니, 처음 계약할 때와 조건이 다릅니다. 다른 기업으로 나가고내용을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실습기업은실습을 표준협약서의 이행할 의무가 있습니다. 실습시간(휴식

포함), 실습수당금액, 수당지금 등에서의무가 협약서있습니다. 내용과 다른실습시간 경우 시간 실습기업은 표준협약서의 내용을날짜 이행할 바로 학교에 연락하도록 합니다. 복교한 후에는 이미 근무한 실습기간은 (휴식시간 포함), 실습수당 금액, 수당지급 날짜 등에서 협약서 내용과 인정되며 남은표준협약서의 기간은 타 기업에서 현장실습을 이수해야 합니다. 실습기업은 내용을 이행할 의무가 있습니다. 실습시간(휴식 다른 경우 바로 학교에 연락하도록 합니다. 복교한 후에는 이미 근무한 시간 포함), 실습수당금액, 수당지금 날짜 등에서 협약서 내용과 다른 경우 실습기간은 인정되며, 합니다. 남은 기간은 기업에서 현장실습을 이수해야 바로 학교에 연락하도록 복교한 타 후에는 이미 근무한 실습기간은 합니다. 남은 기간은 타 기업에서 현장실습을 이수해야 합니다. 인정되며

‌몸이 아파서 실습을 계속 진행하기 어렵습니다. 실습을 중단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개인적인 사유로 실습을 중단하고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학교로 연락하여 그



개인적인 사유로 실습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학교로 연락 이유를 상세히 설명해야 하며, 무단으로 결석하거나 마음대로 학교로 돌아 하여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해야 하며, 무단으로 결석하거나 마음대로 오는 일이 없오록 해야 합니다. 학교로 돌아오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사유로 실습을 중단하고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학교로 연락하여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해야 하며, 무단으로 결석하거나 마음대로 학교로 돌아 오는 일이 없오록 해야 합니다.

‌일을 하다가 다쳤습니다. 치료비는 받을 수 있나요?

166

일을 하다가 발생한 사고, 질병, 장해 및 사망은 ‘업무상 재해’라고 합니다. 1998년도 부터는 실습생들도 산재보상보험이 전면 적용됩니다. 따라서 실습 도중 다치면 기업과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치료비와 요양 보상비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2022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근로 현장에서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반드시 안전 · 보호구를 지급 · 착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안전장비 없이 위험한 곳에 올라가거나, 소음이 심한 곳에서 보호 장비 없이 실습하거나, 화학물질을 다루는 곳에서 마스크 등 보호구 없이 실습하는 등의 경우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반드시 실습업체에게 보호구 지급을 요청하고, 이를 거부당하였을 경우 학교와 부모님께 사실을 알립니다.

PART 3



PART 2

‌ 위험한 작업 환경에서 보호구를 제대로 지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건강이 걱정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PART 4

취업 지도

현장실습생의 기본예절 현장실습생의 기본예절 PART 5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덕분입니다 하겠습니다 그렇습니다

부록

인사의 종류

PART 4. 취업 지도

167

현장실습생의 기본예절

인사의 종류 인사의 종류

이것이 궁금해요

인사예절 바로 알기

‌직장예절의 시작은 ‘인사’에서 시작된다고 하는데, 상황에 맞는

인사법이 있나요?

168



윗사람이나 동료들과 만날 때마다 인사 처음 만났을 때는 정중하면서도 밝고 명랑하게 인사를 하고, 다시 만나게 될 때는 밝은 표정과 함께 가볍게 목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습 중일 때의 인사 실습 중인 일이 인사할 정도의 여유가 있다면 상황에 맞게 가볍게 목례를 합니다. 그러나 도저히 인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모르는 사람이 인사를 하는 경우 우선 인사를 한 후에 실습 담당자에게 누구인지 물어보고, 다음에 마주쳤을 때 가벼운 인사말을 먼저 건네면 더욱 좋습니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TIP 이런 인사는 사절!

PART 2

할까? 말까? 망설이는 인사

무표정한 인사

눈 맞춤 없는 인사

까딱이는 인사

PART 3

출근에서 퇴근까지의 예절 • 출근시간 10분 전에 출근하고 소지품은 일정한 장소에 둔다.

출근 시의

• 윗사람이 들어서면 일어나서 인사를 한다. • 지각하면 실습 담당자에게 지각에 대한 사유를 겸손하고 분명하게 말한다.

이때 먼저 사과부터 하고, 이유는 나중에 말하도록 한다.

PART 4

취업 지도

예절

• “안녕하십니까?”의 밝은 출근 인사를 한다.

• 상대가 다른 사람과 대화중일 때는 “말씀 중에 실례합니다만”이라는

양해를 먼저 구하고 용건을 말한다. 현장실습 예절

• 실습 중에 자세는 단정히 하고, 의자는 앞으로 바싹 당겨서 앉는다.

PART 5

중의

• 비  스듬히 기대어 일을 하는 것, 또는 턱을 괴고 일을 하는 등의 자세는

적절하지 않다. • 모르는 것은 실습 담당자에게 곧바로 물어보도록 한다. • 공적이든 사적이든 외출할 때는 반드시 허가를 받도록 한다.

퇴근 시의

• 퇴근 준비는 근무시간이 끝나고 나서부터 한다.

부록

예절

• 먼저 퇴근할 때에는 윗사람과 동료들에게 확실하게 돌아간다는 인사를 한다.

PART 4. 취업 지도

169

용모와 복장 예절 • 머리는 항상 청결하게 빗고 단정히 관리한다.

용모

• 너무 눈에 띄는 염색, 파마 등은 삼간다. • 항상 거울을 보고 얼굴, 치아, 수염, 손톱 등을 깔끔하게 정리한다. • 깨끗하고 청결한 인상을 주는 옷을 입도록 한다.

옷차림

• 극단적인 색채나 이상한 복장은 삼간다. • 요란한 스타킹, 매니큐어 등 눈에 띄는 복장은 삼간다. • 실습장에서 별도로 실습복을 지급하는 경우, 매일 올바르게 착용한다.

지도 받는 방법과 대답하는 방법 • 상대방이 부르면 곧 대답한다. 지도 받은 내용을 알아들었으면

“네, 알겠습니다.”라고 반드시 대답한다. • 지도를 받을 때에는 반드시 메모지와 필기구를 준비한다.

지도 받는 방법

• 편안한 자세로 신경을 집중하고 반드시 메모하면서 듣는다. • 말하는 사람을 바라보면서 이야기를 듣도록 한다. • 지  도받는 내용이 이해가 안 될 때에는 “죄송하지만 다시 한 번

말씀해주시겠습니까?”라고 묻고 다시 지시받는다. • 끝까지 잘 듣고 필요한 질문을 한다.

대답하는 방법

17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대답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한다. • 사실을 올바르게, 요점만을 말한다. • 대답은 결론을 먼저 말하고, 다음에 이유나 근거를 이야기한다.

전화 예절 PART 1

• 벨이 울리자마자 받는 것이 예의이다. • 전화를 받을 때는 먼저 분명하고 정확하게 자신을 밝힌다.

전화 받을 때 예절

• 전화 통화는 항상 존댓말을 쓴다. • 메모할 펜과 종이를 준비한다. • 전화를 받을 사람이 자리에 없을 경우, 용건을 물어 요점을 메모한다.

PART 2

• 전화를 끊을 때는 “감사합니다.”라고 인사한다. • 상대가 전화를 끊는 것을 확인하고 끊는다.

• 전화를 걸기 전에 통화할 내용을 간단히 메모한 후 통화한다. •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자신을 밝힌 후 통화할 사람을 부탁한다.

전화 걸 때 예절

PART 3

• 통화할 상대가 부재중일 때는 언제쯤 통화가 가능한지 정중히 확인하고,

메모를 부탁하거나 다시 전화를 하겠다고 한다. • 용건을 간단히 이야기하고, 끝나면 중요한 요점을 정리해서 반드시

확인한다. • 이야기의 내용에 맞게 어울리는 인사를 하고, 끊을 때는 원칙적으로

건 쪽에서 먼저 끊는다. 다만 상대방이 윗사람일 경우는 나중에 조용히 끊는다.

PART 4

취업 지도

2

취업 준비 및 취업

취업은 가치 있는 인생을 살기 위한 첫 단추이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PART 5

찾아 그곳에 필요한 자신의 역량을 꾸준히 개발하고 이력서와 자기 소개서 작성법, 인성·적성검사, 필기시험, 면접 등에 대비해야 한다.

[취업 Road Map ] 자신에 대한 분석(장점, 약점, 기회, 위기)

직업세계 탐색

취업 준비

취업

PART 4. 취업 지도

부록

자신의 적성(희망) 찾기

171

공무원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을 위한 공무원 채용이 있다. 정부가 실시하는 것으로는 지역인재 추천제이며 9급 공무원으로 채용하고 있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기술직 공무원 채용, 시도교육청의 인력 채용에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을 따로 전형하여 선발하고 있어 진로선택에 밝은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대졸자들도 9급 공무원에 응시하고 있으나 합격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고졸자 중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선발이어서 의미가 있다.

이것이 궁금해요

공무원 시험 바로 알기 ‌공무원 시험과목과 지원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172



지역 인재 2012년부터 채용을 시작하였고 직렬은 행정, 회계, 세무, 관세, 전기, 기계, 화공,건축, 일반농업, 보건, 전산개발이며 고졸만 따로 전형하는 모집이 있습니다. 지원 자격은 전문교과 과목의 성취도가 평균 B이상 이고 그 중 50%이상의 과목에서 성취도가 A이며 보통교과 평균석차 등급이 3.5이내이고 필기시험과목은 국어, 영어, 한국사입니다.



지방자치단체 2012년부터 채용을 시행하였고 기계, 전기, 화공, 농업, 보건, 토목, 건축을 선발하고 있습니다. 특성화. 마이스터고 졸업(예정)자로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자(대학 중퇴, 사이버 대학 재학도 불가)가 응시 가능 하며, 지원 자격은 전문교과 과목의 성취도가 평균 B이상이고 그 중 50%이상의 과목에서 성취도가 A이며 보통교과 평균 석차비율이 50%이내이거나 평균석차 등급이 4.5이내이고 필기시험은 각 직렬별 전공 시험을 칩니다.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공기업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출신만을 대상으로 하는 공기업 채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공기업이 이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참여하는 주요 공기업은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조폐공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건설생활 환경시험연구소, 서울도시철도공사, 한국석유공사, 금융감독원, 한국정책금융

PART 2

공사, 한국예탁결제원, 예금보험공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철도시설 공단, 한국철도공사, 국민연금공단, 서울신용보증재단, 한국마사회, 근로복지 공단, 도로교통공단,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공사, 근로복지공단, 한국인삼 공사” 등 288개의 공기업이 있다. 산업은행을 비롯한 대부분의 금융기관에서도 적극적으로 고졸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PART 3

공기업 채용의 경우 NCS를 도입한 채용을 실시하므로 뒤편에 나오는 NCS 기반 취업을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또 채용 방식에 따라서는 인턴 채용형으로 일정 기간 근무 후 평가를 통해 일정 비율을 채용하는 공기업도 있다.

대기업 및 지역사회의 수요에 맞춤식 교육을 실시한 특성화고 학생의 배출로 고졸 채용을 늘리고 있다. 삼성, 현대, 한화, 롯데, 두산 등의 대기업들이 앞장서고 있다.

PART 4

취업 지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서도 ‘선취업-후학습’ 정책 시행과 우수한 마이스터고 학생

중소기업 PART 5

중소기업은 “9988”이다. 중소기업의 수는 99%, 중소기업의 채용인력은 88%나 된다. 그러나 중소기업 취업희망자가 적어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 근로자를 채용하기도 하지만 전문 인력의 고령화와 그에 따른 기술 단절이 예상되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설비 자동화 등에 노력하여 쾌적한 설비를 갖추고 학생들을 선발하여 과거의 중소

부록

기업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PART 4. 취업 지도

173

이것이 궁금해요

기업체 입사하기 ‌ 어떤 방식으로 기업에 입사하게 되나요?

대부분의 입사 방식은 ‘서류전형-인·적성검사-면접-신체검사’의 과정 이며 순서가 다소 바뀔 수 있습니다.



서류전형은 주로 성적(학교생활기록부), 이력서, 자기 소개서로 전형이 이루어 집니다. 특히 자기 소개서는 진솔하면서도 긍정적인 면을 적절하게 잘 기재해야 합니다.



인·적성검사는 각 기관별로 고유의 출제방식에 따라서 진행됩니다. 삼성의 GSAT, SK의 SKCT 두산의 DCAT 등이 유명하며 공무원 인·적성 문제 등도 각각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고졸 채용 시 면접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므로 학교에서 실시 되는 각종 취업관련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병역 문제 그 동안 각 기업에서 고졸 취업을 꺼려했던 가장 큰 이유는, 고졸 학생이 입사 후 기술을 익힐 수준에 이를 때쯤이면 군에 입대하게 되는 관계로 기업에서 기술 습득을 위하여 투자한 비용이 손실로 연결되기 때문이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2012년까지 시행하려 했던 산업기능요원 제도(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학생이 기업에서 병역 혜택을 받으면서 근무를 계속하는 제도)를 한시적으로 계속 연장하여 실시하고 있다. 특히 기업이 병역특례업체 지정을 받기 위해서는 마이스터고나 특성화고의 협약, 취업맞춤반 참여, 채용 등이 중요한 점수로 반영되므로 고졸 출신자의 취업에 더욱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학생이 병역특례를 받기 위해서는 병역특례업체에 취업을 하여야 하며, 해당

17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분야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보충역은 자격소지 관련 없음). 또 기업이 PART 1

배정받은 병역특례 인원 한도 내에서 특례를 받을 수 있다. 특례 지정은 학생이 취업 후 4년간 병역 연기가 가능하므로 이 기간 중에 특례를 받으면 된다. 대기업은 병역특례가 되지 않으며 중소기업도 너무 영세한 경우 지정받지 못하게 된다. 또 주식회사가 아닌 개인회사도 병역특례가 되지 않는다.

PART 2

대기업인가? 중소기업인가? 대부분의 학생이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 수의 99%, 고용자의 88%가 중소기업이며, 중소기업의 고용 여건도 많이 향상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취업난이 발생하는 것도 취업 희망자와 기업 간의 눈높이 차이

PART 3

에 의한 미스매치 현상이 주원인이다. 중소기업 중에도 탄탄한 기업들이 많으며, 거기에서 익힌 기술로 높은 연봉을 보장받거나 창업을 통해 그 꿈을 이루어 나가는 사업가들도 많다. 단순히 편안한 생활을 위해 아르바이트로 살아가는 젊은이들도 있으나 그것은 경력도 되기 어렵고 봉급의 인상으로 연결되기도 어려운 단순한 일들이 대부분

PART 4

취업 지도

이다.

PART 5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75

중소기업이 달라졌다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직원의 고령화로 은퇴자들이 많아지고 기술을 전수받을 젊은이들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에 넘어가서는 안 될 기술 들이 기업마다 많이 있다. 과거의 중소기업은 어둡고 덥고 춥고 열악한 환경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중소 기업들도 환경개선과 근무조건의 개선에 힘써 대부분 쾌적한 환경으로 변했고 복지 혜택도 늘려가고 있다. 일반적인 중소기업 근무에는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들이 훨씬 잘 적응 한다. 많은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자신의 평생직장으로 생각하기에 처음 봉급이 적은 것에 대해 실망하고 이직하게 되는데, 근무기간이 늘어나면 기술력이 향상되고 경력이 쌓여 높은 봉급을 보장받게 되는 곳이 많다. 대기업에서는 자신의 분야만 집중적으로 일을 하지만 중소기업에서는 다양한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 이것은 창업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다. 실제로 기업 창업자의 상당수가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며 익힌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취업 준비 이력서 작성 이력서 양식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에서 파일(Word 또는 한글)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는에서는 별도의 양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회사는 지정된 양식을 사용하고 온라인으로 작성해서 제출할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력서의 모든 항목은 빠짐없이 정확하게 기입 기본 신상 이름(한글, 영문, 한자), 주민등록번호, 연락처(집, 핸드폰), 이메일, 신체사항 (신장, 체중, 혈액형), 가족 관계, 지원 분야, 희망 근무지역, 희망 연봉 등

17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호주와의 관계 : 호주 쪽에서 본 자신의 관계 학력 : 기간(연월), 출신학교(정식 학교명), 학과 및 전공, 소재지 자격증 : 직무와 관련된 자격증 취득 사항 (취득 날짜, 자격증 종류, 등급, 자격증 발행처)

PART 2

수상 경력 : 각종 수상 내역 (취득 일자, 수상명과 등급, 발행처) 특기 사항 : 자원봉사, 청년층 직업지도 프로그램 이수 등

합격 이력서의 노하우 PART 3

① 지원하는 자리와 관련 없는 내용은 과감히 삭제한다. ② 업무와 관련 있는 자격증, 공모전 수상 실적 등이 중요하다. ③ 잘생긴 것보다 호감형 얼굴이 유리하다.(과도한 보정 사진은 불리함.)

PART 4

취업 지도

이력서 쓸 때 주의사항 5가지 ① 오타가 없어야 한다. ② 문법적 오류가 없어야 한다. ③ 지원하는 회사별, 직무별로 다르게 작성해야 한다. ④ 깔끔하고 간결하게 작성해야 한다. ⑤ 거짓말은 절대 금물이다.

PART 5

자기 소개서 작성 자기 소개서는 지원자의 성장 배경, 해온 일, 인생의 목표, 장래성, 사고력, 글 쓰는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성장 과정, 성격의 장단점, 생활 부록

신조, 교내외 활동, 지원 동기, 입사 후 포부 등에 대해 짧은 시간에 자신을 각인시킬 수 있도록 자신만의 이야기(에피소드)로 작성해야만 한다.

PART 4. 취업 지도

177

‘읽히는 자기 소개서’ 쓰기 성장 과정 정신적으로 다시 태어나는 시기인 청소년기(중2~고등학교) 중심의 실제 이야기와 이미지가 감동과 강렬한 인상을 주게 된다.

성격의 장·단점 지원하는 회사의 직무와 관련된 장점을 표현하고, 단점은 지원한 자리와 최대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표현한다.(장점을 앞에 기술)

생활 신조 회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관련이 있는, 자신이 평소 믿고 있는 가치관에 대해 명시한다.

교내외 활동(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등) 지원하는 회사가 관심 있어 할 교내외 활동을 기술한다. 경험은 양보다 질적인 면을 강조해야 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이러한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기술한다.

지원 동기와 입사 후 포부 강하고 투철한 목표의식을 표현하고 이 회사에 꼭 들어가야만 하는 이유를 회사· 업종·직무와 자신이 가진 장점·욕구를 연결시켜 표현해야 한다. 오랜 시간 내면 성찰의 시간을 통해 자신의 경험, 느낀 점을 자신만의 이야기로 엮는 것이 효과적 이다.

TIP 좋은 자기 소개서란? •직무를 먼저 확실하게 정한다. •해당 직무를 맡은 인재가 갖추어야 할 능력 네 가지를 생각해 본다. •해당 키워드를 드러낼 수 있는 에피소드를 생각해 본다. •자기 소개서 각 항목에 키워드와 에피소드를 배치한다. •에피소드를 구체화시켜 설득력을 강화한다.

17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자기 소개서 작성 시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 자신감 있는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한다. (‘~입니다.’, ‘~가 되겠습니다.’, ‘~하게 되었습니다.’ 등) 최소한 요구 분량의 95% 이상을 채워야 한다. 평범한 경험보다는 깊이 있는 나만의 고민으로 승부한다. 성격, 성장 과정 등은 직무 및 업종의 특성에 맞게 기록한다.

PART 2

너무 튀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성장 과정은 청소년기에 집중하여 작성한다. 논리적으로 표현(첫째, 둘째, 셋째…)해야 한다. 두괄식 문장 구성이 적절하다. 적절한 문단 나누기가 필요하다. 문장 하나의 길이는 최대 3줄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

PART 3

반복되는 마무리 문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높임말로 표현(‘~한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해야 한다. 적절한 강조[따옴표(“ ”)나 괄호() 등]가 필요하다. 구체적 회사 이름을 언급하는 것이 좋다.(‘귀사’ → ‘ ○○회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한다. 회사에서 선호하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금융권 : 팀워크, 협동, 관계, 자기 계발, 열정, 정직, 소통 등)

PART 4

취업 지도

(특정 계층, 특정 그룹에게만 통용되는 단어는 피하기)

정확한 문법을 지킨다. 진부한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글을 완성한 후 두 번 이상 확인하고 수정한다. PART 5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79

TIP 자기 소개서를 제출하기 전 체크리스트 •내가 하는 이야기가 회사의 관심사와 관련이 있는가? •나의 자기 소개서가 어떤 이미지를 주는가? •간결하고 쉽게 썼는가? •빠뜨린 역량, 포인트는 없는가? •이력서와 일관성이 있는가? •왜 그 회사여만 하는지 이유가 들어가 있는가? •구체적인 경험이 잘 녹아 있는가? •면접에서 흥미를 끌 만한 것이 있는가? •틀린 글자, 문법적 오류는 없는가? •너무 잘난 척하지는 않았는가?

인성·적성 검사 인성·적성검사란 업무에 필요한 인성, 능력, 적성을 평가하는 검사로 요즘 대부분의 기업에서 필수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인성검사는 정신장애·성격 장애 여부, 조직 생활에 문제가 없는지,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에 부합되는지 검사하는 항목이다. 적성검사는 직무능력검사와 비슷한 것으로 특정 직무와 관련하여 업무 관련성에 부합되는지 그리고 진로방향이나 직업관 등이 일치 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면접 면접이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한쪽은 대답만 하는 공적 대화의 한 형태로 피면접자의 인품·언행·지식의 정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지는 질의-응답식 대화이다. 피면접자는 면접자에게 호감과 좋은 인상을 줄 수 있게끔 면접 준비를 해야 하며, 자신의 신상에 대한 준비, 지원한 회사에 대한 이해, 전공 지식이나 시사 상식 정리, 복장 점검 등을 충분히 해야 한다.

18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살색이나 커피색 스타킹

PART 3 PART 4

취업 지도

면접에 합격하기 위한 노하우 PART 5

• ‌지원하는 회사를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자신의 입장이 아닌 회사 입장에서 이야기하라.

• ‌지나친 자신감으로 건방져 보이거나, 자신감이 없어 보이지 않도록 하라. (적당한 자신감과 정중한 태도)

• ‌면접관과의 우호적·심리적 관계를 맺고 긍정적 느낌을 보내라. • 진부한 대답은 피하고 남들과 차별화된 답을 하라. 부록

• 회사에 대해 충분히 많은 정보를 준비해서 면접에 임하라. • 열정과 성의를 다해 면접에 임하라.

PART 4. 취업 지도

181

TIP 회사가 면접에서 나에게 확인하고 싶은 것들은? •회사에서 원하는 능력과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필요한 기술을 능숙하게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지 •일하는 자세나 태도가 좋은지 •회사에 적응할 수 있는 성격인지 •업무에 맞는 경험이나 경력을 가지고 있는지 •필요한 자격을 갖추고 있는지 •회사에 오래 근무할 수 있는 사람인지

TIP 면접을 위한 이미지 메이킹 •면접 의상: 단아하고 차분한 느낌을 주는 의상 - 무난하고 보수적이며 깔끔한 옷차림 •면접에 필요한 연출(전문가다운 이미지): - 시계(시간 중시), 펜과 종이(기록), 깔끔한 서류 가방

고등학교 재학 중 교복을 입고 면접을 보러 가는 경우 •깨끗하게 세탁해서 입기 •너무 타이트하게 재단한 교복 입지 않기 •짧은 치마 입지 않기 •배지, 명찰, 리본 착용하기

면접 평가항목 복장 센스, 적극성, 융통성, 재치, 순발력, 배짱, 끈기, 창의성, 전문성, 논리력, 팀워크 정신, 위기관리 능력, 입사하고자 하는 열의 등

18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좋은 면접이란? PART 2

‌면접관에게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세요. ① 면접실에 들어가서 면접관을 향해 서서 미소를 지으며 인사를 한다. ② 면접관이 앉으라고 하면 자리에 앉는다. ③ 허리는 반듯이 세워서 앉고, 두 손은 무릎 위에 올린다.

④ 면접관과 눈을 마주치며, 지나치게 눈을 깜박이거나 천장, 혹은 바닥을 응시하지 않는다.

PART 3



⑤ 다른 사람이 이야기하는 것을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⑥ 면접 시간 동안 옷매무새를 다듬거나 자세를 흐트러뜨리지 않는다. ⑦ “~했습니다.”, 또는 “~입니다.”로 분명하게 말끝을 맺는다. ⑧ 줄임말, 신조어, 외래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다. ⑨ 질문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고, 모르는 질문에는 “잘 모르겠습니다.” ⑩ 면접을 못 본 것 같아도 면접이 끝나면 면접관에게 밝은 미소로

인사하고 나온다.

PART 4

라고 말한다.

취업 지도



‌면접 때 주의사항을 알려 주세요. PART 5

① 지각은 절대 하지 않아야 합니다. ② 면접 대기자들과 농담을 하지 않습니다. ③ 손발을 흔들지 않습니다. ④ 지나친 화장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⑤ 면접 당일에 작성하는 서류에도 성의를 다해야 합니다.

⑥ 복장에 대해 마지막 점검을 꼭 하도록 합니다.



⑦ 면접 답변에 앵무새가 되지 말아야 합니다. 부록

⑧ 면접이 끝난 후에도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합니다.

PART 4. 취업 지도

183

면접 태도를 통한 인성 파악의 기준 구분

면접 태도

예상되는 인성 기력이 강하다. ‌ 불안한 ‌

말할 때 (음성)

•음성이 갈라지거나 탁하다. •빠르게 말한다. •말을 더듬는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중에 끼어든다.

걸음걸이

•뒤꿈치가 땅에 닿지 않게 걷는다.

침착성이 부족하고 발전성이 약하다. ‌

앉은 자세

•뒤로 기대지 않고 약간 앞으로 나와 앉는다. •앞으로 구부리고 웅크려 앉는다. •앉아서 시종일관 손을 움직인다. •다리를 꼬고 앉아 발을 움직인다. •앉아서 다리를 떨거나 위아래로 움직인다.

적극적인 성격이다. ‌ 확고한 신념이 없다. ‌ 신경질적, 불안정하다. ‌ 참을성이 없다. ‌ 불안정, 자신감이 없다. ‌

•눈을 자꾸 깜빡인다. •손으로 여러 가지 제스처를 사용한다.

성미가 급하다. ‌ 적극적, 진취적이다. ‌

•퇴장 시 실수로 의자나 문을 차거나 부딪친다. •먼저 나가려고 서두른다.

불안정, 침착성이 부족하다. ‌ 조급, ‌ 소심, 자신감이 부족하다.

일반적 버릇

퇴장 시

성급하고 생각의 폭이 좁다. ‌ 초조해서 작은일에도마음이흔들린다. ‌ 자기중심적이거나 협조성이 약하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블라인드 채용 2015년 NCS기반 능력중심채용 도입을 시작으로 2017년 하반기부터 NCS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하고 있다. 공공부문에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화 했으며 일반 기업들의 참여도 점차 늘고 있다. 이러한 취업의 특징은 입사지원서에서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항목을 삭제하였으며 기업에서 실제로 할 업무를 얼마나 잘 ‘할 수 있는가’(직무 역량)를 기준으로 선발하는 것이다. 기업은 취업자가 할 업무를 먼저 제시하고 취업준비생은 그 업무를 얼마나 잘 할 수 있는가를 증명하여야 한다. 구분 목적

•능력중심 사회 구현 •직무능력을 중심으로 평가

방법

•기업의 직무별 원하는 요건을 제시하고 지원자가 자신의 준비도 (직업기초능력+직무수행능력)를 증명함.

채용 기관

184

내용

•공공부문 의무화 •대기업 및 중소기업 참여 증가

참고

•NCS블라인드 채용 안내 사이트 (https://www.ncs.go.kr/blind/index.do)

특징

•차별적인 평가요소 제거, 직무역량이 중요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 모두 직무역량에 초점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면접의 종류

간이 면접

•예비 면접, 약식 면접 •간단하고 단정한 복장 •간단한 지원 동기, 자기소개 정도 준비 •Presentation(PT) 면접 •주제와 함께 일정한 시간을 주고 발표 자료를 구상하여 메모 (지원 회사의 영업, 경영 또는 시사적 내용) •3~5분 정도 발표 •발표할 때 보드 판, 전지, 빔프로젝트 활용 •지식적 측면도 중요하지만 상대방에게 본인의 의사나 의견을 전달해 내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중점 •고객을 대상으로 Sales해 보는 면접 기법 •전달력, 표현력, 호소력, 공감능력, 주도능력 등 평가 •판매전략 수립에 10분~20분, 5분 내외 발표

•토론 주제를 제시하고 6~10명 정도가 찬반 토론 •1인당 발언 횟수, 발언의 빈도, 발언의 수위, 전체 팀에 대한 공헌도, 적극성, 팀워크 또는 소외되는 정도, 리더십과 팔로워십 등을 평가

집단(인성) 면접

•면접 중에서 가장 배점이 높은 면접 •집단 면접에서 지원자들의 상태를 가장 많이 파악해 낼 수 있음. •면접관과의 진솔한 눈 맞춤과 대화를 통해 자신을 어필해 나가는 과정이 집단 면접의 핵심 •합숙 면접 속에 집단 면접, PT 면접, 토론 면접, 팀워크 평가 등의 면접 포함 •합숙 면접은 시작에서부터 헤어지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이 면접이라고 보아야 함. •적극적 단체 활동, 오락 활동, 조직 활동에 참여

PART 4. 취업 지도

부록

합숙 면접

PART 5

팀워크 평가

•개개인의 역량보다 팀을 구성하는 팀원들끼리 장점을 살려주고 단점을 서로 보완해 주는 전략이 중요 •팀워크 자체가 가장 큰 평가항목, 그 속에서 각 개인들의 역할, 개인적 욕심이 팀원 전체의 목표를 저해하고 있지는 않은지, 또 팀워크를 위해 개인적 희생을 할 수 있는지가 평가항목으로 구성

PART 4

토론 면접

취업 지도

롤플레잉 면접

•Role-playing, 역할을 분담하여 상황면접을 보는 것 •업무 속의 특정한 상황을 제시해 주고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지를 실제로 재연해 보면서 지원자들의 상황대처능력에 대한 역량을 파악 •고객응대 상황을 통한 적극성과 서비스 마인드 평가

PART 3

세일즈 평가 면접

내용

PART 2

프레젠테이션 면접

PART 1

종류

185

이것이 궁금해요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입사 ‌ 어떤 방식으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를 졸업하면 어떤 기업체에 입사할 수 있나요?

186

1학년 때부터 자신의 취업 로드맵을 잘 구성하여 자신의 적성을 알고 자신에 대한 SWOT(강점, 약점, 기회, 위기) 분석을 통해 원하는 직업을 정해 준비한다면 목표한 곳에 취업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금융권(은행, 보험, 증권), 공기업, 대기업, 중소기업 등에 취업하게 됩니다.접-신체검사’의 과정이며 순서가 다소 바뀔 수 있습니다.



•금융권



한국은행, 한국수출입은행,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대구은행, NH농협, 신협, 새마을금고, ㈜KB금융지주, ㈜삼성생명,



㈜삼성화재, ㈜한화생명, ㈜한화투자증권, ㈜한화손해보험, ㈜교보증권,



㈜흥국생명보험, ㈜우리투자증권 등



•공기업



한국조폐공사,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한국석유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



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대한주택보증, 도로



교통공단,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정책금융공사, 금융감독원, 한국예탁결제원,



국민연금관리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환경공단, 국민



체육진흥공단, 한국전력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단,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공항공사, 한국인삼공사, 서울신용보증재단 한국전력 외 자회사 등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공무원



지역인재, 지방자치단체 기술직 등







삼성그룹, 현대중공업, 한화그룹, SK그룹, 롯데그룹, 대우조선해양, LG그룹,



㈜포스코, ㈜고려아연, ㈜대성산업, ㈜KCW, ㈜신영와코루, ㈜남영비비안,



㈜맨파워코리아, ㈜SL, ㈜경창산업, ㈜금복주 등



•중소기업



㈜고려산업, ㈜잘만정공, (유)대구특수금속, ㈜경북크랑크, ㈜한국ENS, ㈜아주



모터스, ㈜청운테크, ㈜평화씨엠비, ㈜이온본드코리아, ㈜세원정공, ㈜화신테크,



㈜크레텍책임, ㈜NRT, ㈜세원하이텍, ㈜삼우농기, ㈜푸드웰, ㈜삼익THK,



㈜두영텍 등

대기업

PART 2 PART 3

3 직장 내 성희롱 예방 현장실습 중에는 반드시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받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직장 내 성희롱이란?

PART 4

취업 지도

직장 내 성희롱 피해를 당했을 때는 실습담당자와 선생님께 즉각 알려야 한다.

직장 내에서 고용이나 업무와 관련하여 사업장 내외에서 사업주, 상급자, 또는

근로자가 다른 근로자에게 원하지 않는 성(性)과 관련된 언어·행동으로 PART 5

상대방에게 불쾌하고 혐오감을 느끼게 하거나, 그러한 행동이나 요구에 불응한 것을 이유로 고용상의 불이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은 직장 내 성희롱을 금지시키고, 매년 1회 이상의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또한 성희롱 발생이 확인된 경우 가해자에 대해 징계 조치를 취해야 한다.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87

성희롱의 유형 육체적 성희롱

•입맞춤이나 포옹, 뒤에서 껴안기 등의 신체적 접촉 행위 •가슴, 엉덩이 등 특정 신체부위를 만지는 행위 •안마나 애무를 강요하는 행위

언어적 성희롱

•음란한 농담이나 상스러운 이야기를 하는 행위 •외모에 대한 성적인 비유나 평가를 하는 행위 •성적 관계를 강요하는 행위 •회식자리 등에서 무리하게 옆에 앉혀 술을 따르도록 강요하는 행위 •성적 사실관계를 묻거나 성적인 내용의 정보를 의도적으로 유포하는 행위

시각적 성희롱

•음란한 사진·그림·낙서 등을 보여주는 행위 •성과 관련된 자신의 특정 신체부위를 고의적으로 노출하거나 만지는 행위

기타

•기타 성적인 굴욕감·혐오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언어나 행동

TIP 꼭 알아두세요!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자신의 의사표시를 분명히 한다. •기업에 성희롱 예방과 구제절차에 관한 회사규정이 있는지 알아본다. •동료들 간의 음담패설에 참여하지 않는다. •성적인 언어 또는 행동에 대하여 명확하게 중지 요청을 한다. •업무시간 외에는 되도록 별도의 만남을 갖지 않도록 한다.

18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직장내 성희롱 대처 방법 PART 2

‌ 직장 내 성희롱 피해를 당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하나요?

PART 3

•먼저 즉각적으로 명확한 거부의사를 밝히고 성희롱 중지를 요청한다. •날짜, 시간, 장소, 구체적인 내용, 목격자나 증인, 성적인 언어나 행동 에 대한 느낌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이후 증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기업의 현장실습 담당자와 학교의 현장실습 담당교사에게 즉각 상담을 요청하고 피해상황을 보고한다. •고용평등상담실을 이용하여 상담하거나 지방노동관서에 진정서 등 을 제출한다.

PART 4

취업 지도

TIP 꼭 알아두세요! - 고용평등 상담실 전화번호

팩스

053-428-6340

053-423-8287

(사)대구여성회

053-421-6758

053-424-1245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대구지역본부

053-570-7000

053-570-7010

02-737-5763

02-736-5766

한국노동조합총연맹

02-6277-0000

02-6277-0023

(사)여성노동법률지원센터

0505-515-5050

0505-505-5051

02-902-1137

02-995-1139

부록

(사)한국여성민우회

(사)한국여성노동연구소

PART 5

단체명 (사)대구여성노동자회

PART 4. 취업 지도

189

취업 지원 프로그램

1

각종 부처 및 교육청 지원 사업

‘교육부–교육청’ 지원 사업

개요

직업교육을 받은 고3학생들을 대상으로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고 자산형성을 지원함과 동시에, 중소기업 인력난을 겪고 있는 고졸기술·기능인력 부족 현상 해소에 기여

내용

중소·중견기업 취업(재직) 확인시 1인 500만원(일시금) 지급

학생 신청

심사

지원 절차

법정대리인 동의서 제출

선발결과 조회

기타

190

학교

장려금 수혜

재단 신청 정보 심사 · 법정대리인 동의서 및 한부모가족확인서 · 재학 및 졸업여부 확인

온라인신청 (모바일 가능)

사전교육이수

지급

고용보험 연계

취업/재직요건 심사

재학(졸업) 여부 확인

취업심사 · 취업/재직여부 심사(고용보험 정보 연계) · 일자리 중복참여 여부 실사(일모아시스템 연계 · 기업규모 심사(기업데이터, 알리오 등)

선정 · 장려금 지급대상 선정 안내 지급완료 · 재단▶학생(개인계좌)

•중소·중견기업에 취업 후 사업기준일로부터 30개월 기간 중 12개월 의무종사 (미 이행시 환수) •졸업 일정시간 사전교육 이수, 저소득층 취약계층 가점부여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목적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여 특성화고 미래 경쟁력을 제고 • 지역별 특성에 따른 특성화고 자발적 혁신 지원

개요

• 지역산업 현황 등 지역별 특색을 반영한 브랜드·비전 제시, 특화 프로그램 개발 등 사업계획 수립・운영 목표

특성화고 미래 역량강화

내용

① 디지털 교육 지원 ② 디지털 융합교육 운영 ③ 디지털 교육 여건 구성 ④ 프로젝트수업 활성화

목표

자율 과제

•진로 탐색·설계 내용 •실력 성장 •사회적응력 제고 공간 조성

학생 친화적 환경 조성

② 교사 미래의 조력자로서의 교사

•직무능력 향상 •취업·진로 지도 역량 강화 •인식·마인드 제고 교사 연구 환경 조성

③ 학교 지역의 거점역할을 담당하는 학교

PART 3

사업 내용

① 학생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

PART 2

필수 과제

•기업·대학 연계 교육 •이웃학교 공동교육 •지역사회 교육거점 지역사회 연계 공간 조성

방법

•공모를 통해 8교 선정·운영 •예산 금액: 12억 •교부 예정: 학교별 평균 1.5억원(학교 규모에 따라 차등 지원)

PART 5

•필수 과제 4차 산업혁명 및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여 디지털 융합 역량을 가진 미래 기술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력 제고,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능력 배양 목표

PART 4

취업 지도

※ 필수과제는 모든 학교에서 반드시 추진, 자율과제는 학교 특성에 따라① + ② + ③ 과제, ① + ③ 과제, ① 과제 등 선택

PART 4. 취업 지도

부록

•자율 과제 -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학생 : 흥미·적성에 따라 진로 탐색 및 설정하고, 예비 직장인으로서 업무 역량은 물론 자존감, 인성 등 사회 적응력을 갖춘 학생 - 미래의 조력자로서의 교사 : 미래 산업 변화에 대응하여 교육 변화를 선도하고,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스스로 연구하는 교사 - 지역의 거점역할을 담당하는 학교 : 지역에서의 학교 위상을 제고하고, 지역사회의 거점 역할을 담당하는 지역 혁신 허브로서의 학교

191

‘교육부-교육청-고용노동부’ 지원 사업

개요

스위스의 기술·기능 인력에 대한 높은 대우, 직업교육에 대한 활발한 기업 참여를 바탕으로 학교와 기업을 오가는 현장 중심 도제식 직업교육을 모델로 함.

내용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도제교육과정(2~3학년) 개발 •교육기관과 훈련센터의 교환적 교육과정 운영 - 참여 학교 : 이론교육 및 기초 실습 - 참여 기업 : 기업현장교사 배치 및 현장교육 훈련 •예산 지원 : 학교, 도제교육센터, 기업에 지원

운영 형태

대구 지역 참여 현황

기타

192

•(1차 2014) 단일학교형(대구공고): 금형 분야 •(2차 2015) 공동실습소형 사업단(대구과학기술고, 경북공고, 경상공고, 조일고, 대중금속고): 절삭가공 분야 •3차 2016) 거점학교형 사업단(영남공고, 대구하이텍고, 전자공고, 경상공고): 전자분야 - 거점학교형 사업단(상서고, 관광고): 조리 분야 - 산업계주도형(상서고): 뷰티 분야 •(4차 2018) 단일학교형(경북공고, 대구하이텍고, 전자공고)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고용노동부’ 지원 사업 PART 1

개요

PART 3

대상

(연령)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 (고용보험 이력)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 단, 3개월 이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기간에서 제외 ** 방송·통신·방송통신·사이버(원격대학), 학점은행제, 야간대학, 대학원은 제외 (학력) 제한은 없으나,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재학·휴학 중인 자는 제외(졸업예정자 가능)

PART 2

지원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위하여 청년·기업·정부가 공동으로 공제금을 적립하여 성과보상금 형태로 만기공제금 지급

PART 4

취업 지도

- 청년공제 가입(예정) 대상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일 기준,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 * 소비향락업, 비영리기업 등 일부업종 제외 *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벤처기업 등 일부 1~5인 미만 기업 참여 가능

PART 5

적립 구조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93

•‌청년본인이 2년간 300만원을 적립하면 정부(취업지원금 600만원)와 기업(300만원, 정부지원)이 공동 적립 → 2년 후 만기공제금 1,200만원+이자 수령

지원 내용

•‌기업 규모에 따라 적립금액 및 적립·지원 방식 구분 - 30인 미만 기업 : 기업지원금 2년간 300만원 지원받아 적립 ※ 정부 6·12·18·24개월 등 2년간 4회 기업가상계좌에 적립 - 30인~49인 기업 : 기업이 기업기여금(2년간 300만원)의 2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매월 2.5만원 적립)하고 80%는 기업지원금을 적립 주기별로 지원 받아 적립 ※ 정부 6·12·18·24개월 등 2년간 4회 기업가상계좌에 적립 - 50인~199인 미만 기업 : 기업이 기업기여금(2년간 300만원)의 5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매월 6.25만원 적립)하고 50%는 기업지원금을 적립 주기 별로 지원받아 적립 ※ 정부 6·12·18·24개월 등 2년간 4회 기업가상계좌에 기업지원금 지급(적립) - 200인 이상 기업 : 기업이 기업기여금(2년간 300만원)의 10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매월 12.5만원 적립)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사업

개요

특성화고 중 지역 특성과 지역 산업계 수요에 따른 전문 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재정지원 사업

내용

중소벤처기업부가 직접 특성화고에 사업비 지급

주요

취업맞춤반, 산학맞춤반 운영, 특성화고의 체제 개편, 교육과정 개정, 교재 개발,

활동

강사 채용, 동아리 육성, 기자재 구입, 해외연수, 취업 지원 등을 위한 활동 [학교] •‌맞춤형 교육 훈련에 필요한 재료비, 직무분석비, 교재 개발비, 강의료 지급 •참여 교사 대상 맞춤형 프로그램 지원

참여 혜택

[기업] •‌병역 특례업체 선정 및 소요 인원 배정 시 최우선 순위(취업맞춤반 운영 시) •‌정책 자금 등 정부 시책지원 우대 [학생] •‌협약기업 취업 •‌산업기능요원 편입 및 훈련 수당 지급(취업맞춤반 운영 시)

대구 지역 참여 학교 기타

19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대구공고, 대구하이텍고, 대구과학기술고, 경북공고, 영남공고, 대구제일여상, 경상공고, 조일고, 대구여상, 경북여상, 상서고, 대중금속공고

PART 1

중소기업 기술인력 확충 및 예비 장인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2~3년) - 공업계고(3년) 간 「5~6년제 연계 교육과정」

내용

•참여교(공업계고 및 전문대) 프로그램 운영비 지원 •공업계고는 실습 및 기본교육, 전문대는 이론 및 기술심화 교육 •‌참여 학생의 공업계고 이수 전공 연계교과목은 전문대에서 학점 인정으로 조기졸업 지원

혜택

각 운영협의회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은 정책자금 등 중기청 지원시책 신청 시 가점우대 및 병역 특례업체 선정 우대

사례

특성화고의 A과와 전문대 B과가 중소기업기술사관 협약이 되어 있을 때, A과를 들어간 학생이 중소기업기술사관 신청을 하고 전문대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받은 후 전문대 B과에 입학하여 졸업 후 취업하게 됨.

PART 2

개요

PART 3

‘국방부’ 지원 사업

•2학년에서 지원자 선발(신체검사 및 인성검사)

PART 4

국방부 지정 군 특성화고에서 관련 기술을 습득하고 입대

취업 지도

개요

•3학년에서 12단위 전문기술 부사관 맞춤형 교육 실시 내용

•졸업과 동시 입대 •전문병(21개월) 및 전문하사(15개월)으로 총 3년 복무

PART 5

•복무 이후 부사관 진출, 3사관학교 진학 또는 기업체 취업 가능 3학년 재학 중 장학금 지원 및 입대 후 지원금 지급 혜택

복무 중 e-MU대학(국방부 협약대학)을 통한 전문학사 학위취득 제대 후 국방부 또는 해당 학교에서 취업 알선

기타

대구지역 참여 학교 : 대구일마이스터고, 경북기계공고, 상서고, 대구공고,

부록

영남공고, 조일고

PART 4. 취업 지도

195

2

취업을 도와주는 지역 기관들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의 취업을 도와주는 기관들이 주위에 매우 많다. 각각의 고유한 업무를 하면서도 특성화·마이스터고의 교육, 현장견학 및 체험, 취업 알선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기관들을 소개한다.

대구광역시교육청 취업지원센터 대구광역시교육청 소속 기관으로 우수 기업 발굴 소개, 취업정보 제공, 직업훈련· 자격안내 및 상담, 취업상담 및 컨설팅 등을 실시하며 직업적성 서비스 제공, 교사와 학부모 대상 취업 직업 프로그램 안내, 채용박람회 개최, 자기 소개서 경진대회, 기업 면접장소 제공 등 단위학교에서 어려운 각종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대구공업고등학교 내 소재) 홈페이지 : http://job.dge.go.kr 전화 : (053)231-8150~3

대구지방고용노동청 워크넷 운영을 하며 학생들의 심리검사, 기업마인드 개선 특강 지원, 노동관계법 교육, 우수기업 소개 및 동반 면접도 실시한다. 취업지원관도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의 요청이 있으면 다양한 방식으로 도움을 주고 있다. 홈페이지 : http://www.moel.go.kr/daegu/index.jsp 전화 : (053)667-6200

대구·경북지방 중소벤처기업청 중소벤처기업부 소속으로 기업 발굴 및 소개, 각종 사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중소기업기술사관 사업, 비즈쿨 사업)의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하며 취업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반 면접도 실시한다. 홈페이지 : http://www.mss.go.kr/site/daegu/main.do 전화 : (053)626-2601

(재)대구테크노파크 기획재정부 소속으로 기업과 연계를 맺고 많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적 으로 특성화고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 마이스터고(특성화고) 채용 연계 인턴십, 취업박람회, 산업현장성 강화 심화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다. 홈페이지 : http://www.ttp.org 전화 : (053)757-4114

19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기타

PART 1

3

전공심화동아리 전공심화동아리는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에서 우수한 전문 기능을 익혀 기능경기 대회에 출전하는 학생들을 말한다. 현장에서는 기능훈련생이라고도 한다. 학교별 학생 수는 소수이지만 수준면에서는 대단히 높은 수준의 기능을 익히게 된다.

PART 2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최하는 지방기능경기대회와 전국기능경기대회 등에 주로 출전하게 되며, 분야가 매우 많다. 지방기능경기대회에서 금, 은, 동메달을 획득 한 학생은 전국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할 자격을 얻게 된다. 2012년에는 47회 전국기능 경기대회가 대구에서 개최되기도 하였다. 전국기능경기대회의 금상은 1,000만원의 상금과 노동부장관상을 받게 된다. 은상 600만원(대회장상), 동상 400만원(대회

PART 3

장상) 등 대회규모가 크고 입상자가 대기업에 입사하는 사례도 많다.

구 분

상금

금메달(1위)

10,000

50,000

은메달(2위)

6,000

25,000

동메달(3위)

4,000

17,000

우수상(4위)

500

8,000

특전

(단위: 천 원)

• 전국대회 입상자 특전 - 국제대회 참가자격 부여 - 우수 대기업 우선 취업 - 군복무대체(산업기능요원) 우선 선정

PART 4

국제대회

취업 지도

전국대회

PART 5

전국기능경기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은 평가전을 거쳐 다시 국제 기능경기대회에 출전하게 된다. 2년마다 개최되는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20여 년 간 우승과 준우승을 거듭하며 기능 최우수 국가로 유명하다. 각 특성화고·마이스터고가 가지는 기능분야는 학과와 관련이 있는 분야가 많고 기계종목, 건축종목, 전기종목, 자동차종목, 전자종목, 디자인종목 등을 주로

부록

훈련하고 있다.

PART 4. 취업 지도

197

이것이 궁금해요

동아리 선발과 기능경기대회 ‌어떻게 하면 학생이 전공심화동아리에 들어갈 수 있나요?

학생이 전공심화동아리에 참여하려면 입학 후 각 학교별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발과정을 통과해야 합니다. 학교별로 선발하는 인원이 다르며, 종목 당 2~5명 이내로 선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선발되면 1학년 때부터 조직적인 전공심화교육을 받게 됩니다. 동아리 활동은 방과 후 뿐만 아니라 방학 중에도 계속 진행되며, 과정이 매우 어려워 밤 늦게까지 실습을 하는 경우도 많은 만큼 처음부터 단단한 각오로 임해야 합니다. ‌기능경기대회의 종목은 어떤 것이 있나요? 기능경기대회 종목은 7개 분과 53개 직종이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198

분과

직종수

기계

8

폴리메카닉스, 금형, 기계설계/CAD, CNC/선반, CNC/밀링, 프로토타입모델링, 냉동기술, 산업용드론

금속 · 수송

8

용접, 배관, 주조, 자동차정비, 자동차차체수리, 자동차페인팅, 농업기계정비, 판금철골구조물

전기 · 전자

8

공업전자기기, 전기제어, 산업제어, 전기기기, 모바일로보틱스, 통신망분배기술, 메카트로닉스, 산업용로봇

건축 · 목재

7

조적, 미장, 타일, 가구, 실내장식, 목공, 건축설계/CAD

IT · 디자인

9

정보기술, IT네트워크시스템, 게임개발, 웹디자인 및 개발, 그래픽디자인, 제품디자인, 애니메이션, 사이버보안, 클라우드컴퓨팅

공예 · 의류

7

석공예, 목공예, 귀금속공예, 보석가공, 의상디자인, 한복, 도자기

미예

6

화훼장식, 헤어디자인, 요리, 제과, 제빵, 피부미용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직종

PART 1

비즈쿨

PART 2

비즈쿨(BizCool)은 ‘비즈니스(Business)+스쿨(School)’의 합성어로 “학교교육 과정에서 비즈니스를 배운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비즈쿨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 여 다양한 진로와 직업 세계를 모색하며, 체계적인 경제와 경영을 학습하고 경험함 으로써 기업가 정신 함양과 창의적인 비즈니스 실무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많은 특성화고·마이스터고가 비즈쿨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직업교육을 통하여 취업을 하는 것 이외에 창업을 통한 직업 창출을 목적으로 하여 학생들에게 경제 교육 및 사업계획서 작성, 실제적인 창업교육, 물품제작 및 판매를 직접 경험하게 함으로써 미래의 기업인을 양성할 수 있는 예비교육이라 할 수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도 실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부 일반고도 참여하고 있다. 비즈쿨 지원 사업은 주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고 창업진흥원이 업무를 수행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교육청이 제공하는 별도의 지원금을 받기도 한다.

PART 3

주요 내용

PART 4

취업 지도

비즈쿨 운영은 중소벤처기업부에 계획서 제출 및 선정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학교별로 계획서 상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내용만을 간추려보면 경제 특강, 방과후학교, 현장견학, 비즈쿨 캠프 등의 교육과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 벤처 창업대전 등의 각종 경진대회 참여 및 물품 제작 과정, 판매 과정의 경험 등을 위주로 한다. 특히 학생들이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사업자 등록을 한 후 기업을 설립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어 매우 좋은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참여 방법

PART 5

비즈쿨을 운영하는 학교에는 비즈쿨 동아리가 존재하게 된다. 입학 후 동아리 소개 가 있으면 본인의 취향에 맞는 동아리에 들어가서 활동하면 된다. 단 비즈쿨을 운영 하는 학교만 해당되며 비즈쿨 활동을 하지 않는 학교에서는 참여가 곤란하다.

부록

PART 4. 취업 지도

199

산학겸임교사, 취업지원관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에는 정규교사 이외에도 많은 분들이 학교에서 함께 활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에 핵심적으로 도움을 주는 분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산학겸임교사는 산업체의 선진 기술이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적응이 가능한 기술 전수를 위하여 학교에서 채용하는 교사이다. 채용 유형별로는 파트타임제가 많으며 일반적으로 정규교사와 팀티칭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임명한다. ‘선취업-후학습’을 지원하기 위하여 도입된 취업지원관 제도가 있다. 취업지원관이 상주하면서 학생의 취업관련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취업지원관(Job consultant) 이란 직업상담사, 기업의 인사 · 노무 담당 출신 등 전문 인력의 투입을 통하여 특성화고 · 마이스터고 진로 및 취업지도를 체계적으로 추진하며 취업난과 구인 · 구직 간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학생들의 면접교육, 동반면접, 기업체 방문활동을 하고 있다.

20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PART 4 취업 지도

PART 5

부록

201

PART 4. 취업 지도

기술자격 취득

현대 사회는 누가 얼마만큼 배웠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능력을 얼마만큼 인정받느냐가 중요시되는 시대이다. 이런 점에서 개인의 재능, 능력, 전문성 등은 자격증으로 대변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특성화·마이스터고에는 다양한 학과가 개설되어 있고 교육과정과 연계해 취득 가능한 자격증이 많으므로 안내 하고자 한다.

1

자격증이란?

자격은 일정한 신분이나 지위를 가지거나 일정한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나 능력을 말하며, 자격증은 일정한 자격을 인정하여 주는 증서이다. 자격의 종류에는 국가자격, 민간자격, 외국자격 등이 있다.

국가자격의 종류 국가자격에는 국가기술자격과 국가전문자격이 있다. 국가기술자격이 주로 산업과 관련이 있는 기술, 기능 및 서비스 분야의 자격인 반면 국가전문자격은 주로 전문 서비스 분야(의료, 법률 등)의 자격으로 개별 부처의 필요에 의해 신설, 운영 되며 대부분 면허적 성격을 지닌다. 특성화·마이스터고의 경우 국가기술자격을 말한다.

민간자격의 종류 민간자격제도는 자격기본법 제19조에 따라 국가 외의 법인·단체 또는 개인이 운영하는 민간자격 중에서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는 우수 민간자격을 국가가 공인해 주는 제도이다. 이는 자격제도를 활성화하고 공신력을 높임으로써 산업체가 요구하는 질 높고 다양한 인력을 양성하고, 자격증에 대한 사회적 효용가치를 향상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이것이 궁금해요

자격증 취득 바로 알기 PART 2

‌자격증을 취득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2

PART 3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면 국가기술자격별로 각종 사업법상 활용, 건설 기술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53개의 개별 법령별로 자격 취득자의 활용, 공무원 및 공기업 채용시험에서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우대, 대학(교) 입학전형관리 대학(교)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우대가 있습니다. 큐넷 사이트(http://www.q-net.or.kr)의 ‘자격정보-국가자격-국가기술 자격제도-자격취득자 우대’ 정보를 참고하세요.

분야별 자격증

검정형 자격제도 하여야 자격을 취득할 수 있으며, 학교에서 해당 분야의 교육과정을 이수한 경우

PART 4

취업 지도

검정형 자격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60% 이상을 득점 1개의 자격증에 대해 실기 시험만으로 자격취득이 가능하다. 다음 표는 산업인력 관리공단 및 여러 기관에서 시행하는 자격증 중 고등학교 수준에서 시행되는 자격증의 종류이다. 자격증 종류 금형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조립기능사, 정밀측정기능사, 판금ㆍ제관기능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공유압기능사, 연삭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Catia인증서,Unigraphics인증서, 건설기계정비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궤도장비정비기능사, 기계정비기능사, 동력기계정비기능사, 농기계정비기능사, 보일러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 승강기기능사, 전자부품장착(SMT)기능사, 설비보전기능사, 용접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PART 4. 취업 지도

부록

금형 기계 기계장비설비 기계제작 용접

PART 5

분야

203

분야

건설기계운전 자동차 중장비

기중기운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굴삭기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아스팔트피니셔운전기능사,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자동차보수도장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검사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건설기계차체정비기능사,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 농기계운전기능사

전기 전자 철도 항공

전기기능사, 승강기기기능사, 승강기보수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자동제어기능사, 계측제어기능사, 전기용접기능사, 광학기능사, 의료전자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전자캐드기능사, 전기철도기능사, 철도신호기능사, 철도전기신호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3D프린터운용기능사,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항공장비정비기능사 ,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항공기관정비기능사

로봇

생산자동화기능사, 디지털제어기능사, 자동제어기능사, 공유압기능사, 메카트로닉스기능사, 전자부품장착기능사

통신

통신선로기능사, 통신기기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 방송통신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전파통신기능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판금·제관 새시

건축 토목 건설배관

귀금속

204

자격증 종류

금속재창호기능사, 판금·제관기능사, 플라스틱창호기능사 거푸집기능사, 건축도장기능사, 건축목공기능사, 도배기능사, 미장기능사, 방수기능사, 비계기능사, 실내건축기능사, 온수온돌기능사, 유리시공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조적기능사, 철근기능사, 타일기능사, 건설재료시험기능사, 도화기능사, 보선기능사, 석공기능사, 잠수기능사,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지적기능사, 측량기능사, 콘크리트기능사, 항공사 진기능사, 항로표지기능사, 배관기능사, 측량기능사, 목재창호기능사, 광고도장기능사, 가구설계제도사, 가구제작기능사 귀금속가공기능사, 보석가공기능사, 보석감정사, 협회자격증(주얼리코디네이터, Certified SolidWorks Associate)

금속재료 비파괴 재료

재료시험기능사, 비파괴시험기능사(방사선, 초음파, 자기, 침투), 주조기능사, 금속재료시험기능사, 압연기능사, 열처리기능사, 제강기능사, 제선기능사, 축로기능사

도장·도금

광고도장기능사, 금속도장기능사, 표면처리기능사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자격증 종류

화학공업

화학분석기능사, 가스기능사, 위험물기능사, 환경기능사, 화약취급기능사

섬유 디자인

섬유디자인제도기능사, 침염기능사, 날염기능사, 제직기능사, 직기조정기능사, 방적기능사, 세탁기능사, 양장기능사(양장봉제, 양장패턴), 한복기능사 웹디자인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컬러리스트

농업·조경

원예기능사, 유기농업기능사, 종자기능사, 화훼장식기능사, 버섯종균기능사, 임업종묘기능사, 임산가공기능사, 유기농업기능사, 조경기능사, 플로리스트, 분재관리사

농업유통

농산물품질관리사, 유통관리사 전산회계운용사, 전산세무회계, 전산회계, 회계관리, 세무회계, 기업회계

금융

증권투자상담사, 증권분석사, 펀드투자상담사, 파생상품상담사, 은행텔러, 금융자산관리사(FP), 투자상담사

국제통상

관세사, 컨벤션기획사, 국제무역사, 사이버무역사, M-commerce관리사, 무역영어

영상

이·미용

전자상거래관리사, 전자상거래운용사, 쇼핑몰플래너, 샵마스터, 전자출판기능사 사진기능사, 사진제판기능사 조리기능사(한식, 양식, 일식, 중식, 복어), 제과기능사, 제빵기능사, 조주(칵테일)기능사, 푸드스타일리스트기능사, 식품가공기능사, 바리스타, 소믈리에, 떡제조기능사

PART 5

식품·조리 제과·제빵

PART 4

유통관리사, 물류관리사, 판매관리사, 소비자전문상담사, 직업상담사, ERP정보관리사, 사회조사분석사, 컨벤션기획사 취업 지도

경영 비즈니스 물류유통

PART 3

회계

PART 2

그래픽 애니메이션

전자상거래

PART 1

분야

이용사, 미용사(일반) 호텔관리사, 호텔경영사, 호텔서비스사, 관광가이드, 국내여행안내사, 관광통역안내사, 국외여행인솔자(T/C), 번역사, 실용영어능력, 일본어능력(JLPT, JPT), 중국어능력(HSK), 토익

공통

워드프로세서, 컴퓨터활용능력, 정보처리기능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ITQ 사무관리자격증(한글,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인터넷, 액세스), 인터넷 정보검색사

PART 4. 취업 지도

부록

호텔·관광

205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 국가직무능력표준(NCS)으로 설계된 능력단위별 교육·훈련을 75% 이상 수료 하고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를 통과(100점 만점 기준 80점)하는 자를 대상으로 국가기술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학교나 훈련기관이 사전에 과정평가형 자격 취득을 위한 신청과 서류 및 현장 심사 후 지정되며 반드시 교육훈련 시간을 이수하여야 자격취득 조건에 해당된다. 시험해당 종목은 다음과 같다.

206

구분

종목

비고

기사

기계설계, 메카트로닉스, 조경, 용접, 의류, 컬러리스트, 화공, 식육가공, 실내건축, 금속재료, 바이오화학제품제조

11종목

산업기사

기계설계, 치공구설계, 정밀측정, 기계조립, 컴퓨터응용가공, 사출금형, 프레스금형, 용접, 생산자동화, 귀금속가공, 공조냉 동기계, 실내건축, 시각디자인, 컬러리스트, 금속재료, 기계정 비, 위험물, 농업기계, 정보처리, 조경, 전자, 패션머천다이징, 패션디자인, 표면처리, 주조, 승강기, 조리(양식), 조리(중식), 식품, 항공, 건축목공, 자동차정비, 지적, 에너지관리, 제품디자 인, 사무자동화, 잠수, 자연생태복원, 식물보호, 수질환경, 의 공, 조리(한식), 조리(일식), 조리(복어), 측량및지형공간정보, 재료조직평가, 바이오화학제품제조, 정보보안, 보석디자인, 화 훼장식, 건설안전, 소방설비(기계), 소방설비(전기), 3D프린터 개발, 산업안전, 가스, 가구제작

57종목

기능사

컴퓨터응용밀링, 컴퓨터응용선반, 연삭, 정밀측정, 기계가공 조립, 전산응용기계제도, 공유압, 금형, 생산자동화, 귀금속가 공, 타워크레인운전, 천장크레인운전, 미용사(일반), 이용사, 화 학분석, 용접, 특수용접, 전자기기, 전자캐드, 자동차정비, 자 동차보수도장, 항공기계정비, 전산응용토목제도, 콘크리트, 측 량, 조경, 공조냉동기계, 웹디자인, 컴퓨터그래픽스운용, 열처 리, 전산응용건축제도, 제과, 제빵, 한식조리, 양식조리, 조주, 축산, 전자계산기, 건설기계정비, 항공기관정비, 항공전자정비, 자동차차체수리, 금속도장, 도자기공예, 양장, 주조, 한복, 염 색(침염), 염색(날염), 압연, 축로, 배관, 제강, 제선, 금속재료시 험, 표면처리, 제품응용모델링, 신발류제조, 중식조리, 복어조 리, 일식조리, 식품가공, 화훼장식, 정보처리, 정보기기운용, 승 강기, 농기계정비, 종자, 원예, 전자출판, 미용사(네일), 미용사 (메이크업), 미용사(피부), 건설재료시험, 에너지관리, 유기농 업, 의료전자, 수산양식, 위험물, 사진, 잠수, 환경, 산림, 항공장 비정비, 3D프린터운용, 건축목공, 실내건축, 타워크레인 설치· 해제, 가스, 떡제조, 가구제작

91종목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컨벤션기획사 2급, 텔레마케팅관리사, 전산회계운용사 3급, 직업상담사 2급, 전산회계운용사 2급, 사회조사분석사 2급, 전 산회계운용사 1급, 직업상담사 1급 합계

PART 1

서비스

8종목

167종목

PART 2

※ 종목통합 : 치공구설계산업기사→기계설계산업기사와 통합(시행일:2022.1.1.) ※ 종목폐지 : 메카트로닉스기사, 연삭기능사(시행일:2022.1.1.) ※ 명칭변경 : 용접기능사→피복아크용접기능사(시행일:2023.1.1.) ※ 종목분할 : 특수용접기능사→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이산화탄소아크용접 기능사(시행일:2023.1.1.)

PART 3 PART 4

취업 지도

PART 5 부록

PART 4. 취업 지도

207

미래를 향한 새로운 도약 학교가 행복한 대구교육

PART

기타 교육활동

5

•학교운영위원회 ··············································212 •학교발전기금 ···············································213 •교원능력개발평가 ·······························214 •출석인정 및 출결상황 ··························216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219 •학교정보공시 ···································· 224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 ························· 225 •청렴과 동행하는 대구교육 ·················· 226 •학교안전사고 보상 공제제도 안내 ······· 229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활용 안내 ························································· 232 •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 233 •도움 되는 사이트 안내 ························ 235

고개를 숙이지 마세요. 세상을 똑바로 정면을 바라보세요. - 헨렌 켈러 -

출처: 위키백과

학교운영위원회 학교운영위원회는 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실현하고 지역의 실정과 학교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조직하는 법적 기구이다.

학교운영위원회는 이렇게 구성됩니다.

1

학부모 위원은 학부모 중에서 선출하며, 운영위원 중 초·중·고, 특수학교는 40~50%, 특성화고등학교는 30~40%로 구성된다. 교원 위원은 학교의 장을 포함하며 초·중·고, 특수학교는 30~40%, 특성화고등 학교는 20~30%로 구성되며, 교직원 전체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한다. 지역 위원은 초·중·고, 특수학교는 10~20%, 특성화고등학교는 30~50%로 구성 되며, 학부모위원 또는 교원위원의 추천을 받은 자 중에서 무기명 투표로 선출 한다.

2

학교운영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합니다.

학교의 예산안 및 결산에 관한 사항 학교교육과정 운영 방법에 관한 사항 교과용 도서 및 교육 자료의 선정에 관한 사항 학교운영지원비의 조성·운용 및 사용에 관한 사항 학교 급식에 관한 사항 학교운동부의 구성·운영에 관한 사항 학교발전기금의 조성·운용 및 사용에 관한 사항 등

TIP 더 자세히 알고 싶을 때 문의하는 곳입니다. •각급 학교 행정실 •대구광역시교육청 정책지원국 예산법무과(http://www.dge.go.kr)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 76길 11 전화 (053) 231-0194

21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학교발전기금 학교발전기금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T 2

기부금품: 반대 급부 없이 자유의사에 따라 기부하는 금전 및 유가증권, 도서, 물품, 시설, 수목, 재산 등 자발적 각출 금품: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조직·단체의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내는 금전 및 유가증권, 도서, 물품, 수목 등 모금금품: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학부모 외의 자로부터 모금한 금전 및 유가 증권, 도서, 물품, 시설, 수목, 재산 등

학교발전기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학교 교육시설의 보수 및 확충

교육용 기자재 및 도서의 구입

학교 체육활동 지원

기타 학예활동의 지원



PART 3

2

학생 복지 및 학생 자치활동의 지원

학교발전기금의 기탁 방법입니다.

PART 4

3

접  수처에 직접 기탁: 학교 직접 방문(행정실) → 기탁서 작성 → 행정실 기탁 → 영수증 교부

온  라인시스템을 통한 접수: 학교 홈페이지 접속 → 기탁서 작성(양식 출력 작성 후 우편 또는 FAX로 발송) →계좌번호 안내 받음 → 온라인 계좌 입금 기탁

PART 5

기타 교육활동

 융기관 또는 체신관서를 통한 기탁: 학교 지정 금융기관 방문 → 기탁서 작성 → 금 금융기관 기탁 → 영수증 교부

TIP 학교발전기금 조성 위반 신고센터 운영 부록

•각급 학교 행정실 •대구광역시교육청 정책지원국 예산법무과(http://www.dge.go.kr)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 76길 11 전화 (053) 231-0195

PART 5. 기타 교육활동

213

교원능력개발평가 학부모의 소중한 의견이 자녀의 학교생활을 행복하게 만듭니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사가 자신의 능력을 진단하여 좋은 점을 발전시키고 부족한 부분은 개선하도록 하는 데 근본 취지가 있다. 평가를 통해 교사는 더 나은 교육활동을 위해 능력을 개발하고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게 될 것이다.

21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학부모 만족도 조사 이렇게 합시다~!!

학교에 가지 않아도 학교 교육 활동에 참여 할 수 있네!

교육활동에서 겪은 애로 사항을 학교에 전달해 줘

PART 5

기타 교육활동

1년 동안 선생님이 어떻게 수업하셨는지 한눈에 알 수 있네!!

PART 4

이 선생님은 이렇게 교육자료를 많이 만드셨구나.!

부록

PART 5. 기타 교육활동

215

출석인정 및 출결상황 1

출석인정 범위

지진, 폭우, 폭설, 폭풍, 해일 등의 천재지변 또는 법정 감염병 등(학교 내 확산 방지를 위해 학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비법정 감염병 포함)으로 출석하지 못한 경우 병역관계 등 공적 의무 또는 공권력의 행사로 인하여 출석하지 못한 경우 학교장의 허가를 받은 ‘학교·시도(교육청)·국가를 대표한 대회 및 훈련참가, 산업체 실습과정(현장실습, 현장실습과 연계한 취업), 교환학습, 교외체험학습, 「학교보건법」제8조에 따른 등교 중지’ 등으로 출석하지 못한 경우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31조제1항에 따른 학교 내의 봉사, 사회봉사, 특별 교육이수 기간 「초·중등교육법」 제28조제6항에 따른 상담, 진로 프로그램 등 숙려제 참여 인정 기간 경조사로 인하여 출석하지 못한 경우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제12조에 따른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의 개최 및 동 위원회의 학교폭력 피해학생에 대한 보호조치 요청 이전에, 학교폭 력 피해자가 학교폭력으로 인한 피해로 출석하지 못하였음을 같은 법 제14조제 3항에 따른 학교폭력 전담기구의 조사 및 확인을 거쳐 학교의 장이 인정한 경우 경찰청 「소년업무규칙」제31조부터 제33조에 따른 경찰청 관서의 선도프로그램 에 참여하는 경우 「공직선거법」및「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투표에 참여하는 경우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학교장의 허가를 받아 결석하는 경우

21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경조사로 인한 출석인정 일수 구분

대상

결혼

•형제, 자매, 부, 모

입양

•학생 본인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증조부모, 외증조부모 •형제 · 자매 및 그의 배우자 •부모의 형제·자매 및 그의 배우자

일수 1 20 5 3

PART 2

사망

PART 1

2

1

3

PART 3

※ 경조사 일수에 재량휴업일과 공휴일 및 토요일은 산입하지 않음. 연속된 결석 일수에 한해 출석으로 인정함. ※ 입양은「입양촉진 및 절차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입양으로 한정하며, 입양 이외의 경조사 일수는 원격지일 경우 실제 필요한 왕복 소요일수를 학교장의 결재를 받아 가산할 수 있음.

질병으로 인한 결석 PART 4

결석한 날부터 5일 이내에 의사의 진단서 또는 의견서(의사 소견서, 진료 확인서 등으로 병명, 진료기간 등이 기록된 증빙서류)를 첨부한 결석계를 제출하여 학 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다만, 상습적이지 않은 2일 이내의 결석은 질병으로 인한 결석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학부모 의견서, 처방전, 담임교사 확인서 등)가 첨부된 결석계를 5일 병원학교 및 원격수업 등 방송·정보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수업 받는 건강 장애 학생이 결석한 경우 의사의 진단서 또는 의견서를 통해 기저질환(천식, 아토피, 알레르기, 호흡기

PART 5

기타 교육활동

이내에 제출하여 학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을 가진 민감군으로 확인된 학생이 미세먼지와의 관련 성이 드러나는 소견 또는 향후 치료의견 등이 명시된 의사의 진단서(소견서)를 부록

첨부한 결석계를 결석한 날로부터 5일 이내에 제출하여 학교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PART 5. 기타 교육활동

217

의사의 진단서 또는 의견서를 통해 만성질환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학생이 의사의 진단서(소견서)를 첨부한 결석계를 결석한 날로부터 5일 이내에 제출하여 학교 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환경부로부터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인정 증명서를 발급받은 학생이 의사의 진단서(소견서)를 첨부한 결석계를 결석한 날로부터 5일 이내에 제출하여 학교 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

4

미인정 결석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제17조제1항제6호에 따른 출석정지 「교원의 지위 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제18조제1항제4호에 따른 출석정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31조제1항제4호에 따른 출석정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31조제6항의 가정학습 기간 범법행위로 인한 책임있는 사유로 결석한 경우(관련 기관 출석, 체포, 도피, 구속(구인, 구금, 구류 포함), 교도소 수감 등) 태만, 가출, 출석 거부 등 고의로 결석한 경우 기타 합당하지 않은 사유로 결석한 경우

5

기타 결석

부모·가족 봉양, 가사 조력, 간병 등 부득이한 개인사정에 의한 결석임을 학교장 이 인정하는 경우 기타 합당한 사유에 의한 결석임을 학교장이 인정하는 경우

6

지각, 조퇴, 결과

지각: 학교장이 정한 등교시각까지 출석하지 않은 경우 조퇴: 학교장이 정한 등교시각과 하교시각 사이에 하교한 경우 결과: 수업시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불참하거나 교육활동을 고의적으로 방해한 경우

21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PART 2

현장실습 표준협약서 제1조 (목적) 이 현장실습 협약서는 학교, 학생(또는

기관대표(이하 “현장실습기관”이라 한다)와

훈련원생)(이하 “현장실습생”이라 한다) 상호간에 현장실습

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이를 성실하게 준수할 것을 약정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용어의 정의) “현장실습”은 교육 또는 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일을

PART 3

경험하는 것을 말하며, “현장실습생”은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와 달리 교육 또는 훈련을 목적으로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일을 경험하는 자를 말한다. 제3조 (현장실습 기간 및 장소) ① 현장실습 기간은 20____년 ____월 ____일부터 20____년 ____월 ____일로 한다.② 현장실습은 직무를 수행하는 “현장실습기관”의 산업현장 시설을 이용하여 실시한다. 다만 직무와 관련된 이론 등의 교육훈련의 경우 산업현장 시설 내 외부의 별도의 시설에서 실시할 수 있다.

PART 4

제4조 (현장실습 방법 및 절차) ① 현장실습은 교육과정(또는 직업교육훈련과정)에 의거 “현장실습기관”이 “직업교육훈련기관”과 협의하여 작성한 현장실습계획에 따라 실시한 다. 이 때 현장실습 계획에는 정해진 기간 동안 필요한 직무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교 육훈련 목적 및 목표, 교육훈련 내용 및 방법, 현장실습담당자, 교육훈련 장소 및 시간, 교육훈련 대상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실습 담당자와 직업교육훈련기관의 교사(또는 직업교육훈련교사)가 참여하는 현 장실습 협의체를 구성하며, 현장실습 협의체는 “현장실습기관”과 현장실습에 관한 제반사항을 협의한다. 다만 “현장실습기관”의 산업현장시설에서 현장실습을 하

PART 5

기타 교육활동

② “ 직업교육훈련기관”은 현장실습의 내실화를 위해 제5조 제4호에 따른 산업체 현장

는 현장실습생이 적어 현장실습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 “직업교육훈련 기관”이 “현장실습기관”과 직접 현장실습에 관한 제반사항을 협의한다. ③ “현장실습기관”은 ‌ “현장실습생” 또는 “직업교육 훈련기관”이 요청시 매월 1회 이상

부록

“현장실습생”이 소속된 직업교육훈련기관에 출석하여 직업교육 훈련 및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PART 5. 기타 교육활동

219

제5조 (현장실습기관의 의무)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이 내실 있게 실시되도록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한다. 1. “ 현장실습생”의 전공과 희망을 고려하여 현장실습부서에 배치하고, “현장실습생”이 다양하고 폭넓은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순환실습기회를 제공할 것 2. 현장실습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현장실습생”의 신체적 부담 능력을 고려하여 현장 실습 과제를 부여할 것 3. 현장실습에 필요한 시설, 공구, 재료 등을 제공할 것 4. 현장실습을 지도할 능력을 갖춘 현장실습담당자를 배치하여 “현장실습생”의 현장실습을 성실하게 지도할 것 5. “직업교육훈련기관”이 현장실습표준협약의 이행 여부 등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이에 협조하는 한편, 그 확인 결과 드러난 개선 및 변경사항을 현장실습에 반영하도록 노력할 것 6. “현장실습생”에게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등 노동관계 법령에 대한 교 육을 실시할 것 7. “현장실습생”에게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할 것 제6조 (직업교육훈련기관의 의무) ① “직업교육훈련기관”은 “현장실습생”의 현장실습에 앞서, 현장실습 협약 내용, 계획, 방법, 준수사항, 관련법, 제7조 및 제8조에 따른 현장 실습생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때 교육내 용은 “현장실습기관”과 협의해야 한다. ② “직업교육훈련기관”은 “현장실습생”의 현장실습 출결상황을 관리해야 한다. ③ “직업교육훈련기관”은 현장실습에 관한 제반사항을 매월 1회 이상 점검해야 한다. 제7조 ( 현장실습생의 권리) ① “현장실습생”은 현장실습 시 산업현장의 적응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적정한 지도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② “ 현장실습생”은 현장실습 기간 중 산업재해로부터 보호받을 권리와 산업재해 시 적정한 보상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 현장실습생”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장실습과 관련하여 손해배상 책임 등의 불이익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제8조 ( 현장실습생의 의무) “현장실습생”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한다. 1. 현장실습과제를 성실하고 근면하게 수행할 것 2. 현장실습기간 중 실습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해당 사업장 질서에 관한 규정을 준수할 것 3. 현장실습을 위한 기계, 공구, 기타 장비가 파손되거나 분실되지 않도록 주의 깊게 사용할 것 4. 현장실습 도중 알게 된 “현장실습기관”의 기밀을 누설하지 않을 것 제9조 ( 현장실습 시간과 휴식) ① 현장실습 시간은 ____주 ____시간을 원칙으로 하며, 1일에 ____시간(현장실습 초기의 적응기간 ____일은 _____시간)으로 한다. 다만 「직업교육훈 련촉진법」 제9조의 2에 따라 1일 7시간 이내, 주당 35시간을 넘지 않도록 하되 “현장

22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실습기관”이 “현장실습생”의 동의를 얻은 경우에는 현장실습 학습목적에 한해 1일에

PART 1

1시간, 1주일에 5시간 범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 ★ 1일 1시간 연장에 대한 동의 여부 : (동의, 부동의)(해당사항에 ㅇ표) ②현  장실습 중 휴식시간은 ____분(집체교육훈련 시 1시간당 _____분)으로 한다. 다만 「근로기준법」 제54조에 따라 1일 현장실습시간이 4시간 이상일 경우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식시간을 현장실습 시간 중 부여하여야 한다. ③ “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에게 1주 2회 이상의 휴일을 주어야 한다.

PART 2

④ “ 현장실습기관”은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제9조의2에 따라 야간(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및 휴일에 “현장실습생”에게 현장실습을 시켜서는 아니 된다. 제10조 ( 현장실습생 특별보호) ①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을 「근로기준법」 제6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0조 별표4에서 정하고 있는 도덕상 또는 보건상 유해·위험한 사업에 현장실습을 시켜서는 아니 된다. ② (“현장실습생”이 18세 미만인 경우) “현장실습기관”은 「근로기준법」 제65조 및 제72조

PART 3

에 따라 “현장실습생”을 보호하여야 한다. ③ (“현장실습생”이 여성인 경우)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이 청구하면 월 1일의 생리결석을 인정해야 한다. 제11조 (안전·보건상의 조치)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 전·보건교육 실시, 작업에 적합한 보호구 지급, 해당 기계·기구·설비 등에 대한 위험 방지 조치 및 원재료·가스·분진 등에 의한 건강장해 방지조치 등 안전·보건상 필요사

PART 4

항을 조치한다. 제12조 (재해보상)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이 현장실습과관련하여 재해를 입은 경우 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123조(현장실습생에 대한 특례)에 따라 재해보상을 한 다. 다만, “현장실습기관”의 사업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경 우에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보상에 준하는 재해보상을 한다. 제13조 (현장실습 수당 및 용품 등) ① “현장실습기관”은 식비, 교통비, 복지비 등을 포함한 장실습생”이 현장실습을 중도 포기하거나 미인정결근하는 경우에는 그 실습일수에 비례 하여 현장실습 수당을 지급한다.

PART 5

기타 교육활동

현장실습 수당을 다음과 같이 매월 _____일에 지급한다. 다만 “현장실습기관”은 “현

-다 음① 0000년 00월 00일부터 ~ 0000년 00월 00일까지 매월(일)



부록

② 중식의 제공 여부는 “현장실습기관”의 사규 또는 사업장 관행을 준용한다. ③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기간 중 “현장실습생”에게 현장실습 교재, 작업복, 실습 재료, 개인용 공구, 안정보호구, 기타 현장실습에 필요한 물품을 무상으로 제공한다.

PART 5. 기타 교육활동

221

제14조 (복리후생)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에게 식당, 휴게실, 의무실, 기숙사, 통근버스 등의 복리후생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제15조 ( 현장실습의 평가) “현장실습기관”은 “직업교육 훈련기관”이 정한 기준에 따라 “현장 실습생”의 현장실습 결과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직업교육 훈련기관”에게 통보한다. 제16조 ( 포상)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생”의 현장실습 태도가 우수하여 타의 모범이 되거나 현장실습 기간 중 특별한 선행이 있는 경우에는 포상할 수 있다. 제17조 (현장실습 내용의 변경) 현장실습생의 소질·건강·기능 습득의 정도 또는 기타의 사유로 인 하여 "현장실습기관"이 현장실습 내용을 변경하려면 “현장실습생”과 “직업교육훈련 기관”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제18조 ( 현장실습 계약의 해지) ① “현장실습기관”과 “현장실습생”은 현장실습 기간 동안에 계약을 해지해야 할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 때에는 계약해지일 ____일 전에 해지 예고 를 하고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장실습기관”과 “현장실습생”은 “직업교 육 훈련기관”과 사전에 협의한다. 다만 “현장실습생”이「근로기준법」 제65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0조 별표4에서 정하고 있는 도덕상 또는 보건상 유해·위험한 상황에 있다 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즉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② 계약의 해지는 서면으로 하며 해지예고 시에는 그 사유를 명기하여야 한다. 제19조 ( 현장실습 중단 방지)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기관”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현장 실습생”의 현장실습이 중단될 경우에는 “직업교육훈련기관”과 협의하여 “현장실습 기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직종의 다른 현장실습 산업체로 “현장실습생”을 알선하 는 등 “현장실습생”의 현장실습이 중단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20조 ( 취업)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 수료자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채용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제21조 (수료증명서) ① “현장실습생”이 제4조제1항에 따른 현장실습 계획에 따라 현장실습을 이수 후 “현장실습생” 또는 “직업교육훈련기관”이 요청 시 “현장실습기관”은 “현장실습 생”에게 현장실습 수료증명서를 교부한다. ② “현장실습기관”은 계약기간 종료 전에 현장실습 계약이 해지되었을 때 “현장실 습생” 또는 “직업교육 훈련기관”이 요청 시 “현장실습생”이 이미 이수한 내용과 기간 등을 기입한 증명서를 “현장실습생”에게 교부한다. 제22조 ( 준용) 이 협약서에 명기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직업교육훈련촉진법을 준용한다. 본 협약서는 3부를 작성하여 “현장실습기관”, “현장실습생”, “직업교육 훈련기관”이 기명 날인한 후 각각 1부씩 보관한다.

22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

PART 1

20

.

(현장실습기관) 기관명 대표이사

(인)

PART 2

(현장실습생) 주소 성



(인)





PART 3

(직업교육훈련기관) 학교명 : (인)

PART 4 PART 5

기타 교육활동

부록

PART 5. 기타 교육활동

223

학교정보 공시 1

학교정보공시란?

학부모님과 국민들이 궁금해 하는 학교 및 교육전반의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 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이다.

2

학교정보공시로 무엇을 알 수 있나요?

학교규칙 등 학교운영에 관한 규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 학년·학급당 학생 수 및 전·출입, 학업중단 등 학생변동 상황 학교의 학년별·교과별 학습에 관한 상황 교지(校地), 교사(校舍) 등 학교시설에 관한 사항 직위·자격별 교원 현황에 관한 사항 예산·결산 내역 등 학교 및 법인의 회계에 관한 사항 학교운영위원회에 관한 사항 학교급식에 관한 사항 학교의 보건관리·환경관리 및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 학교폭력의 발생 현황 및 처리에 관한 사항 학생의 입학 상황 및 졸업생의 진로에 관한 사항 「초·중등교육법」 제63조부터 제65조까지의 시정명령 등에 관한 사항 그밖에 교육여건 및 학교운영상태 등의 정보에 관한 사항

TIP 학교정보공시 이용 방법 •학교알리미 홈페이지 (http://www.schoolinfo.go.kr) •검색창에 ‘학교정보공시’ 라고 입력하면 접속 가능

22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란?

PART 2

2

PART 3

학교에 직접 찾아가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자녀의 학교생활(성적, 출결, 학교 생활기록부 등)을 열람할 수 있음.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하여 가정통신문, 선생님과의 온라인 상담 등 선생님과의 상호 의견 교환이 가능함. 자녀 교육 관련 정보인 학업·인성·진학·진로·특수교육 대상자 지도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학부모 서비스 신청 및 이용 안내

PART 4 PART 5

기타 교육활동

부록

PART 5. 기타 교육활동

225

청렴을 기본으로 하는 대구교육 중요성

1

개인의 청렴은 가정의 평화와 조직의 건강, 사회 발전의 공통된 요소이며 상호 작용 속에서 청렴문화는 성장해 갈수 있음 청렴문화의 성장은 사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 국가의 청렴 수준은 그 국가의 경제적 성과뿐만 아니라 대외적 이미지, 국가경 쟁력 등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상위권 청렴도 유지

2

2022년도 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평가 결과 ‌국민권익위원회는 2002년부터 실시해온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를 2022년부터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의 종합평가체계로 새롭게 개편하여 시행하였습니다.

2022년도에는 ‌ 501개 공공기관에 대한 종합청렴도평가가 실시되었습니다. 중앙행정 (46개)

지방자치단체(243개)

Ⅰ Ⅱ 광역 (장관급) (차관급)

25

226

21

17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기초 (시)

기초 (군)

기초 (구)

75

82

69

공직유관단체(195개) 교육청 (17개)

17

Ⅱ Ⅲ Ⅰ (준정부 (준정부 (공기업) 일반) 중소형)

35

57

36

Ⅴ Ⅳ (지방공사 (중점) 공단)

30

37

‌우리교육청의 2022년도 종합청렴도는 전년대비 1등급 상승한 2등급입니다. 종합청렴도

청렴체감도

청렴노력도

대구시교육청

2등급

3등급

2등급

PART 1

구분

청렴도향상에 필요한 주요요인(2022년도 자체설문결과) 기관장 청렴인식

소통ㆍ공감의 조직 문화

공무원 행동강령 등 규정 강화

청렴교육ㆍ 홍보

기타

38.4%

32.6%

19.5%

4.9%

4.2%

0.4%

3

PART 2

구성원 청렴의지

내실 있는 반부패・청렴 정책 추진 PART 3

‌변화된 청렴환경과 구성원 의견을 반영하여 효율성이 낮은 청렴정책과 학교 현장의 업무 가중되는 청렴시책 정비 ‌고위공직자 청렴도 평가를 통한 자율적인 자기 관리 및 청렴 문화 확산 ‌부패 신고 및 신고자 보호 강화: 대구교육청 홈페이지 메인화면 배너를 통해

PART 4

상시 안내(링크를 통한 바로가기 포함) ‌ 비위공직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금품 등 수수시 해임·파면 원칙 등 ‌승진자, 신규임용자, 고위공직자 등에 대해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 진행 여건에 맞춰 온라인 또는 대면교육 병행 실시합니다.

‌ 방과후교사는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다?

PART 5

기타 교육활동

이것이 궁금해요

방과후교사는 공직자가 아니므로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이 아닙니다. ‌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인 학부모는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이다?

PART 5. 기타 교육활동

부록

‌ ·중등교육법령에 따라 설치된 학교운영위원회의 학부모위원은 공무수행 초 사인으로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입니다. ※ 학교교육활동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227

‌ 학교에서 채용한 운동부 코치·감독에게 지도학생(학부모)이 선물을 드려서는 안 된다? ‌ 지도학생(학부모)이 드리는 선물은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 목적을 벗어 나므로 안 됩니다.

‌ 대학교 입시설명회에 참석한 고등학생과 학부모는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다과와 홍보물을 받아도 된다? 학생과 학부모는 청탁금지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다과와 홍보물을 받아도 됩니다. ‌ 학부모는 담임교사에게 케이크, 기프티콘 등의 선물을 드려서는 안 된다? 담 ‌ 임교사와 학부모 사이의 선물은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 목적을 벗어나므로 안 됩니다. ‌ 담임교사가 결혼할 때 학생들(학부모)이 축의금을 제공해도 된다? 학생들(학부모)이 ‌ 담임교사에게 제공하는 축의금은 부조의 목적을 벗어나므로 안 됩니다. ※ 학생들이 불러주는 축가는 사회 상규 상 가능합니다. ‌ 학생(학부모)이 작년 담임교사에게 감사의 선물을 드릴 수 없다? 현재 ‌ 담임교사, 교과목 담당교사 등이 아닌 경우에는 사교·의례 목적으로 제공되는 5만 원 이하의 선물은 가능합니다.

‌ 교과목 담당교사인 기간제교사의 생일에 5만 원짜리 상품권 선물은 드려도 된다? 기간제교사도 ‌ 청탁금지법 적용대상이고, 학생의 성적평가 등을 하는 교과목 담당교사와 학생 사이의 선물은 원활한 직무수행, 사교·의례 목적을 벗어나 므로 드려서는 안 됩니다.

‌ 학부모 단체가 고3 학생들의 수능시험을 격려하기 위해 플랜카드를 부착해서는 안 된다? 학생은 ‌ 청탁금지법 적용대상이 아니므로 학생들의 수능시험 격려를 위해 플랜카드를 부착해도 됩니다. ‌ 졸업식 날 학생들(학부모)이 담임교사에게 꽃다발을 드려서는 안 된다? 학졸업식 날 담임교사에게 꽃다발을 드리는 것은 사회 상규 상 가능합니다.

22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학교안전사고 보상 공제제도 안내 학교안전공제회

PART 2

학교안전공제제도는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교 안전사고로 생명·신체에 피해를 입은 학생·교직원 및 교육활동참여자에게 보상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PART 3

2

공제제도를 통해 보상되는 학교안전사고

교육활동 중 사고: 수업, 특별활동, 현장체험활동 등 학교장 관리·감독

PART 4

하에 이루어지는 교육활동 중 발생하는 사고 ※ 점심시간, 휴식시간, 통상적인 경로 및 방법의 등·하교 시간 등에 발생한 사고도 보상가능 질병: 학교급식 등 학교장의 관리·감독과 관련한 업무가 원인이 되어 발생 하는 질병 중 대통령령으로 정한 질병(일사병, 식중독, 이물질 섭취 등)

학교안전사고 처리 절차 청구서작성 학부모 또는 학교

서류 제출 학부모 또는 학교

심사 및 결정 공제회

PART 5

사고통지 학교

기타 교육활동

사고발생

통지되지 않은 사고는 공제급여 보상이 불가능하므로, 사고가 발생하면 학교에 부록

사고통지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학생 치료 중 병원 등에서 발급받는 진료비영수증은 꼭 보관하셨다가 치료비 청구 시 제출하셔야 합니다.

PART 5. 기타 교육활동

229

3

공제 급여 안내

공제급여: 학교안전사고로 인해 입은 피해에 대해 학교안전공제회가 지급하는 요양급여, 장해급여, 간병급여, 유족급여, 장의비, 보전비용, 위로금 공제가입자: 유치원장, 초·중·고등학교장 및 평생교육시설의 장 피공제자: 학생 교직원 및 교육활동참여자 ※ 다른 법령(공무원연금법, 사립학교연금법, 산업재해보상법 등)으로 보상 받을 수 있는 경우, 공제급여 제한

4

공제 급여 청수 방법 및 구비서류

누가 : 학부모 또는 학교 언제 : 치료 종료 후 (중간 청구 가능, 청구권 소멸시호 3년) 어떻게 : 학교안전사고보상지원시스템(www.schoolsafe.or.kr)에 접속하여

청구서 작성 후 구비서류 파일을 첨부하여 온라인 청구 또는 청구서를



내려 받아 수기 작성 후 구비서류와 함께 우편, 방문 제출하는 방식의



오프라인 청구

5

공제 급여 청수 시 구비서류

요양급여(치료비) 청구 시: 공제급여청구서(청구인 서명 또는 날인), 진료비 계산서 영수증, 청구인 통장사본(치료비가 50만원 이상인 경우 등본 및 진단서 필요) 장해, 유족급여 등 청구 시: 공제급여청구서(청구인 서명 또는 날인), 장해 또는 사망진단서, 청구인 통장사본, 등본

23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TIP PART 1

대구시민안전보험 안내

PART 2 PART 3 PART 4 부록

PART 5. 기타 교육활동

PART 5

기타 교육활동

※ 출처: 출처: 대구광역시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daegu_news

231

학부모를 위한 온라인 콘텐츠 활용 안내 학부모 자녀교육 온라인 콘텐츠 종류 및 내용 탑재 콘텐츠 학부모를 위한 5분 특강 598편 학부모를 위한 러브레터 63편 학부모 i 러브레터 48편 On(온)기로운 학부모생활 58편 ♥러브마이셀프! 마음정원 (학부모 마음챙김) 22편 기타 자녀양육 관련 콘텐츠 94편 등

https://www.youtube.com/ 대구학부모교육 구분

콘텐츠 내용 및 접속 방법 학부모를 위한 5분 특강

- 인성교육, 부모 역할 등 학부모교육 특강

학부모를 위한 러브레터

- 학부모 자녀교육 정보 제공 카드뉴스

학부모 i 러브레터 유튜브 채널 【대구학부모교육】

- 코로나19 감염병 이해, 심리방역 지원 등

ON기로운 학부모생활

- 에듀테크, 디지털리터러시, 미래교육 등 최신 교육 트렌드에 대한 정보 제공

♥러브마이셀프! 마음정원 학부모교육 학부모 e클래스 대구학부모 원스톱지원센터 홈페이지

학부모정보 모두모아 학부모 상담

대구시교육청 공식 SNS 채널 학교홈페이지 가정통신문

23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 인성교육 및 심리방역 관련 들리는 카드뉴스

학부모를 위한 마음백신

- 학부모의 마음챙김을 위한 명상 영상 - 진로진학 아카데미, 저명강사 초청 학부모 아카데미 등 자녀교육 전문가의 강의 제공 - TBC 제3교실, T-브로드 학부모특강자료 - 4차 산업혁명, 자기주도학습, 공부 방법 - 자녀 연령별, 영역별 자녀교육 관련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정보 제공 - 사이버 상담, 자녀교육 Q&A - 학부모 교육칼럼

· [대구광역시교육청]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카카오톡 채널 운영 · [대구학부모교육] 카카오톡 채널 운영 ※ 각종 대구교육 소식 및 학부모 자녀교육 관련 정보 제공 학부모를 위한 5분 특강 학부모를 위한 러브레터 학부모 i 러브레터

- 인성교육, 학부모 역할 등 자녀교육 관련 온라인 콘텐츠 제공 - 각 학교 홈페이지 가정통신문 게시판에서 확인 가능

PART 1

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PART 2

설립 목적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는  초・중・고・특 단위학교별 학교평생학습관 운 영을 지원하고, 학부모역량강화 심화과정, 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하며, 상설 가족코칭 프로그램 및 자녀교육과 관련된 학부모 궁금증을 원스 톱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설립된 곳입니다.

PART 3

제공 서비스 학부모에게  자녀교육 관련 교육 및 정보 제공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기회 확대

PART 4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는 자녀의 인성교육, 소통을 위한 대화법, 자기주 도학습 지도 방안, 미래의 꿈을 열어 줄 진로·진학 교육 등 각종 정보를 제공, 교육정책 문의 및 상담 서비스 등도 제공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교육정책 문의 및 상담 서비스 등도 제공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학부모교육  심화과정(자녀교육 가이드, 하브루타, 인문학, 부모역할, 자기주도

PART 5

기타 교육활동

주요 운영 프로그램 학습 등)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와 함께하는 학부모 행복교육 진로·진학  지원 아카데미(개정 교육과정, 입시제도의 이해 및 전략, 학생과 학

부록

부모가 함께 하는 맞춤형 진학 코칭 등) 학부모  마음챙김 교육(생각 알아차리기, 마음 알아차리기, 스트레스 시대에 의 미있는 일 실천하기 등)

PART 5. 기타 교육활동

233

프로그램 참여 신청 홈페이지: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http://parent.dge.go.kr) 회원가입/학부모교육 ⇢ 수강신청 ⇢ 희망 강좌 신청 모바일: 모바일 스마트폰 [대구학부모교육]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 채팅방 아래 [학부모교육 수강신청] ⇢ [수강신청 바로가기] 메뉴 ⇢ 신청하기 ⇢ 로그인 후 희망 강좌 신청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에 대하여 더 알고 싶어요. 대구학부모원스톱지원센터 http://parent.dge.go.kr/ 주소 : 대  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31길 150 (우42412) 상담전화 : 053-231-1482~3 / FAX : 053) 621-7710

TIP 자녀교육역량을 기르고 싶은데, 참여가 어려우시다면 ‘찾아가는 학부모 교육’을 신청해 주세요! - 지자체, 기관, 직장, 어린이집, 종교단체, 군부대 등으로 찾아가고 전문 강사와 교재를 지원해드립니다. - “손안의 학부모교실”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교육으로도 지원합니다. - 찾아가는 손안의 학부모 교실 문의 ☎053-231-1483 구분

234

내용

지원 기준

•20인 이상의 교육 희망자가 있는 모든 곳에서 신청 가능 ※ 취약계층 학부모의 교육신청이 있을 경우는 인원수에 상관없이 신청 가능

운영 방법

•교육을 원하는 학교 급, 희망하는 날짜, 시간, 장소를 정해 신청 •각 주제별로 전문화된 강사 인력풀, 만족도가 높은 강사 파견 및 교재 지원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1

PART 1

도움 되는 사이트 안내 교육기관

PART 3 PART 4

2

PART 2

대구광역시교육청: http://www.dge.go.kr 대구창의융합교육원: http://www.dge.go.kr/dise 대구미래교육연구원:http://www.dge.go.kr/dferi 교육부: http://www.moe.go.kr 대구교육포탈 에듀나비: http://www.edunavi.kr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www.kice.re.kr 대구광역시립 중앙도서관: https://library.daegu.go.kr/jungang 대구광역시 통합도서관: https://library.daegu.go.kr/dgportal - 동부교육지원청 Wee센터: http://www.dgdbe.go.kr - 서부교육지원청 Wee센터: http://www.dgsbe.go.kr - 남부교육지원청 Wee센터: http://www.dgnbe.go.kr - 달성교육지원청 Wee센터: http://www.dgdse.go.kr

진학 · 진로 관련 기관

부록

PART 5. 기타 교육활동

PART 5

기타 교육활동

대구광역시교육청 진학진로정보센터: http://www.dge.go.kr/jinhak 대구광역시 진학지도협의회: http://www.daegujinhak.or.kr 대구고용복지센터: http://www.work.go.kr/daegu 한국고용정보원: http://www.keis.or.kr 한국직업능력연구원: http://www.krivet.re.kr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kcue.or.kr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http://www.kcce.or.kr

235

사이트 / 기관

진로정보망 커리어넷 (www.career.go.kr)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워크넷 (www.work.go.kr) 한국고용정보원

대입정보포탈 (www.adiga.kr)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구광역시교육청 진학진로정보센터 www.dge.go.kr/jinhak

영역 진로정보

고등학생을 위한 다양한 직업사전, 학과 정보, 직업전망지표 등

심리검사

진로적성검사, 직업흥미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직업가치관검사

진로상담

사이버상담, 상담기관 안내, 진로 및 진학가이드

진로정보

흥미로운 직업세계, 진로관련 온라인학습, 취업 한마당

심리검사

직업관련 흥미ㆍ적성검사, 검사관련 사이버 상담

진로상담

청소년 직장체험, 취업가이드, 직업지도프로그램 안내

대학별 입학정보

대학입학주요일정, 일반전형 및 특별전형 자료안내

대학탐방

대학정보, 학과정보, 대학소식, 입학설명회 안내

진학진로상담

입학 사정관 전형 상담, 포트폴리오작성법, 유학 안내

진로정보

자격증 정보, 진로교육영상자료, 직업체험프로그램

대학진학 정보

대입전략정보, 입학 사정관 전형, 대학별 분석

진로상담

진로상담실 운영, 학교지원프로그램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 (www.kyci.or.kr)

3

주요내용

청소년안전망, 학교밖청소년지원, 청소년폭력예방지원, 청소년 권리교육

자격증 관련 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http://www.q-net.or.kr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http://license.korcham.net 한국생산성본부 정보기술자격센터: http://license.kpc.or.kr

23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PART 4

PART 5 기타 교육활동

부록

237

PART 5. 기타 교육활동

부록 •대구교육권리헌장 ····················240 •참고 문헌 ·····································248 •챗봇 서비스 모두모아···················252 •찍고보는 자녀교육정보 ···············253

대구교육권리헌장 전문 학교는 교육 공동체의 소중한 만남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학생, 교원, 부모 등 보호자, 교육행정기관, 지역 사회 등 모든 교육 주체들은 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모두가 소망하는 미래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함께 노력한다. 학생은 존엄하고 가치 있는 인격체로 인정받아야 한다. 모든 학생은 인간으로서, 세계 시민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가지며, 이에 상응하는 성실한 의무를 지닌다. 교원은 전문직으로서 교직을 성실히 수행해야 하며, 학생 및 교육 관련 주체들로부터 존경을 받아야 한다. 교원은 수업 활동과 생활 지도 활동 등을 통하여 교육의 가치를 실현 하고 보람을 느끼고, 학생 및 그 부모 등 보호자에게 사랑과 신뢰를 줄 수 있도록 그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며 의무를 성실하게 실천하여야 한다. 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에 대한 최종 책임자이며, 공교육의 책임을 국가에 위임한 자이다. 또한 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 교육에 대한 동반자로서, 학생의 건강하고 건전한 성장 및 발달을 위하여 교육 활동이 바람직하게 전개되도록 그 권리와 의무를 다한다. 대구광역시교육청과 각 교육지원청 등 교육행정기관은 학생들이 자유롭고 정의로운 민주 시민으로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과 지원에 최선을 다하며, 인성과 실력을 갖춘 미래 주도 인재를 육성하는 숭고한 역할을 다한다. 이에 우리는 대한민국헌법, 유엔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등의 정신과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구광역시 교육의 기본방향을 바탕으로 교육 주체들의 권리와 의무를 담아 대구교육권리헌장을 제정한다.

24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1장 학생의 권리와 책임 PART 1

제1조 인간의 존엄성과 차별받지 않을 권리 ① 학생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타인의 인격을 존중하여야 한다. ② 학생은 성별, 나이, 종교, 사회적 신분, 출신 민족·국가·지역, 장애·용모 등의 신체조건, 가족의 형태나 상황, 사상 또는 정치적 의견, 병력(病歷), 징계, 성적(成績) 등으로 인해 정당한 사유 없이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

PART 2

제2조 폭력 및 체벌로부터 자유 ① 학생은 신체적·언어적 폭력을 당하거나 체벌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타인에게 신체적·언어적 폭력을 행사하지 않아야 한다. 제3조 개성을 실현할 권리

PART 3

① 학생은 복장, 두발 등 용모에 있어서 자신의 개성을 실현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교는 두발의 길이를 규제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두발의 형태는 예외로 한다. ③ 제①, ②의 권리는 제10조의 절차에 따라 학생이 참여하여 제·개정한 학교의 규정에 의해서만 이를 제한할 수 있다.

PART 4

제4조 사생활의 자유를 보호받을 권리 ①학  생은사생활의자유를가지며,개인물품을소지·관리함에있어서부당한간섭을받지아니한다. ② 학생은 일기장이나 개인 수첩 등 개인적인 기록물을 보여주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③ 학생은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개인 물품을 학교 내에서 소지하여서는 아니 된다. ④ 학생은 정당한 사유와 절차에 의해서만 휴대 전화사용을 규제받는다.

PART 5

제5조 사생활의 비밀을 보호받을 권리 ① 학생은 가족, 교우관계, 성적·징계기록 등의 학생생활기록과 건강검사에 대한 자료 등 개인적인 정보를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교외에서 이름표 착용을 강요받지 아니한다. 제6조 정보에 관한 권리

부록

① 학생은 본인에 관한 학교 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 ② 학생은 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공개를 청구할 수 있다. ③ 학생은 본인에 관한 기록 중 사실과 다른 내용에 대해 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정정 및 삭제를 요구할 수 있다.

부록

241

제7조 양심·종교의 자유 ① 학생은 양심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② 학생은 양심에 반하는 내용의 반성, 서약 등을 강요받아서는 아니 된다. ③ 학생은 특정 종교 의식 참여 및 대체과목 없는 종교 과목의 수강을 강요받지 않아야 한다. 제8조 의사 표현의 자유 ① 학생은 자유롭게 의사를 표현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교신문 등 언론 활동, 홈페이지 운영 등에서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받고, 필요한 시설 및 행·재정적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학생은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는 경우 법령이나 규정에 의하지 않는 간섭 또는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제9조 자치활동의 권리 ① 학생은 자치활동을 보장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생 자치기구의 구성, 소집, 운영 등의 활동에서 자율과 독립을 보장받고, 성적 등을 이유로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제한받지 아니한다. 제10조 학교 규칙의 제·개정에 참여할 권리 ① 학생은 학교규칙 등 학교규정의 제·개정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교규칙 등 학교규정의 제·개정 과정에서 학생자치 기구를 통하여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③ 학생은 학교규칙 등 학교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 제11조 정책 결정에 참여할 권리 ① 학생대표는 학생의 학교생활에 직접 관련이 있는 사안에 관하여 학교운영위원회가 요청할 경우 회의에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제12조 청구 및 청원권에 대한 권리 ① 학생은 인권 침해 사실이 있는 경우 상담 및 조사 등을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상담, 조사 등의 청구권 행사에 관하여 비밀을 보장받으며, 부당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 ③ 학생은 인권 침해에 관한 청구 및 청원 결과를 통보받을 권리를 가진다. 제13조 정당한 절차를 보장받을 권리 ① 학생에 대한 포상 및 징계는 명확하고 정당한 절차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24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② 학생에 대한 징계는 사유에 대한 사전 통지, 소명 기회 보장, 이의 신청 등 적법 절차에 PART 1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 제14조 학습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법령과 학교규칙에 근거한 정당한 사유 없이 학습권을 침해받지 아니한다. ② 학생은 다른 학생의 학습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③ 학생은 선생님을 존경하며, 선생님의 교육ㆍ연구 활동을 방해하거나 학내의 질서를

PART 2

문란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5조 교육과정 이외의 교육 활동의 자유 ① 학생은 교육과정 이외의 교육 활동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다. ② 학생은 자유롭게 선택한 교육 활동에 대하여 성실하게 참여하여야 한다.

PART 3

제16조 급식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안전하고 균형 잡힌 급식을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제17조 문화 활동을 누릴 권리 ① 학생은 다양한 문화 활동을 누릴 권리를 가진다.

PART 4

제18조 건강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전인적인 발달을 위하여 적절한 휴식을 취할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적정한 치료를 받고, 보건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권리를 가진다. ③ 여학생은 생리로 인하여 결석하거나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불이익을 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PART 5

④ 학생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교원에게 알려야 한다. 제19조 복지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적성발견, 진로 탐색 등 자기계발을 위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습 부진, 폭력 피해, 가정 위기, 비행 일탈 등 각종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학생은 각종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하여 상담 등의 활동에 성실하게 참여하여야 한다.

부록

제20조 소수자 학생의 권리 ① 빈곤, 장애,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청소년 가장 가정, 다문화 가정, 학생운동선수 등

부록

243

경제·사회·문화적 사유로 권리 실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은 그 특성에 따라 필요한 권리를 보장받고, 우선적으로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제21조 교육환경 및 안전에 관한 권리 ① 학생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학생은 학교 시설 및 환경을 고의로 훼손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2장 교원의 권리와 책임 제22조 교육활동에 관한 권리 ① 교원은 교육 활동 중 학습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학생을 보호하여야 한다. ② 교원은 일시적 장애를 포함한 장애 학생, 다문화 가정 학생, 예체능 학생, 학습 곤란을 겪는 학생 등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③ 교원은 학생이 수업을 방해하거나, 물리적, 언어적 방법으로 교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할 경우 학교장에게 징계를 요청하거나 그 밖의 교육적 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다. ④ 학부모가 교원의 학생 지도를 부당하게 간섭하거나 교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할 경우, 법령과 학칙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23조 학문의 자유와 교육의 전문성 보장 ① 교원은 학문의 자유를 가진다. ② 교원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교육 내용 선택, 교육 방법 결정, 평가 및 학생 지도에 있어서 전문성을 보장받는다. ③교  원은 교육자로서의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제24조 교육 연구자로서의 권리 ① 교원은 교육과정과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 ② 교원은 교육 연구자로서 연구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받아야 한다. ③ 교원은 양심과 법령에 따라 연구하여야 하며, 그 결과물을 학습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활동에 활용할 때에는 정치적·종교적 중립을 유지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25조 건강에 관한 권리 ① 교원은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건강하게 교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24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26조 신분을 보장받을 권리 PART 1

① 교원은 직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교육 관련 법규에 규정된 신분상의 권리를 가진다. ② 교원은 교육 행정 기관 등 사회 제반 기관과 단체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교원에 대한 징계는 명확하고 정당한 절차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④ 교원은 징계가 확정되기 이전에는 무죄 추정의 원칙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⑤ 교원은 교육자로서의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품위를 지키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PART 2

제27조 교권을 보호받을 권리 ① 교원은 교육 관련 법규에 의하여 교권을 보호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교원은 육아와 교육 활동을 조화롭게 전개할 수 있도록 지원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교원은 무고한 행위로 인해 교권이 침해받을 경우 교육 행정 기관으로부터 적절한

PART 3

조치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④ 교원은 교권 침해를 당했을 때 심리적 안정과 원만한 교단 복귀를 위한 상담 등 적절한 조치를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⑤ 교원은 교육 관련 법규에 규정된 교육자로서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방해받지 않을 권리를 가진다.

PART 4

제28조 학교 의사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 ① 교원은 학교의 의사 결정 과정에 의견을 개진하고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② 교원은 학생 및 부모 등 보호자의 정당한 의견을 수렴하여 교육 활동에 반영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③ 교원은 학교의 정당한 공동 사무에 협력하여야 한다.

PART 5

제29조 정보에 관한 권리 ① 교원은 개인 정보를 보호받아야 한다. ② 교원은 학생 및 부모 등 보호자에 관한 정보를 적법한 절차와 수단에 따라 수집·처리· 관리하여야 한다. 제30조 전문적 단체 조직 및 참여 권리

부록

부록

① 교원은 각종 전문적 단체를 조직하여 교직 전문성을 계발하는 일에 참여할 권리를 가진다.

245

제3장 부모 등 보호자의 권리와 책임 제31조 의견을 제시할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 등 피보호자의 교육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정당한 절차에 따라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제32조 교육 활동 내용을 공지 받을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평가 기준 등에 대해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안건, 안건 자료, 회의 일정, 회의 결과 등을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에서 시행되는 학생의 교육활동과 관련된 설문의 결과와 활용에 대해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장학생, 수상자, 특별 프로그램 수강자, 추천 등의 학생 선발 기준에 대하여 공지 받을 권리를 가진다. 제33조 학생 신상정보를 제공 받을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 내에서의 따돌림, 폭력, 미인정결석, 부적응, 급식 거부 등 자녀 신상의 중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의 질병, 장애, 신체적·정서적 특이 사항 등 학교 교육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학교에 알려야 한다. 제34조 학생 상담에 관한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 교육과 관련된 상담을 요구할 수 있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 교육과 관련된 상담 요구에 응해야 한다. 제35조 시정을 요구할 권리 ① 부모 등 보호자는 민주주의의 원칙에 반하는 학교규칙에 대하여 시정을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학교에서의 비인격적 대우, 차별 등 인권에 반하는 사항에 대하여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교육과정 운영에 위배되는 사안에 대하여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의 종교적 자유가 침해될 경우 이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⑤ 부모 등 보호자는 학생의 안전과 건강의 침해에 대해 시정을 요구할 권리와 책임이 있다.

24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제36조 무기명을 보장받을 권리 PART 1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의견 제시, 이의 제기, 시정 요구 등을 할 때 인적사항에 대한 비밀을 보장받을 수 있다. ② 부모 등 보호자의 무기명을 보장받지 못한 설문 및 평가 결과는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 할 수 없다. 제37조 편의 제공 등을 요구할 권리

PART 2

① 부모 등 보호자는 자원 봉사를 할 경우 자발적 의사를 보장받아야 한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가 쾌적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안전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학교 급식을 요구할 권리를 가진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가 학교에서 동료 학생, 교원, 외부인 등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학교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요구할 수 있다. ⑤ 부모 등 보호자는 빈곤, 장애, 한 부모 또는 조손 가정, 다문화 가정, 청소년가장 가정,

PART 3

부적응 학생 등 학생 소수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요구할 수 있다. ⑥ 부모 등 보호자는 교복 등 교육 소비재 공동 구매와 관련하여 학교에 편의 제공을 요구 할 수 있다. ⑦ 부모 등 보호자는 학부모회 등의 소집 및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에 편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다.

PART 4

제38조 민주적 학교 공동체를 위한 책임 ① 부모 등 보호자는 학습권과 교권 보호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② 부모 등 보호자는 자녀에 대한 유·무형의 특별대우를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③ 부모 등 보호자는 금품 향응을 제공해서는 안 되며, 요구받았을 경우 거절할 책임이 있다. ④ 부모 등 보호자는 교사의 교육활동을 침해해서는 아니 된다. ⑤ 부모 등 보호자는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위배되는 요구를 하지 않아야 한다.

PART 5

⑥ 부모 등 보호자는 강제성 모금, 불법 찬조금 등 부조리에 응하지 않아야 하며, 이의 근절을 위해 교육주체로서의 책임을 다 해야 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헌장은 2012. 9. 1.부터 시행한다. 부록

부록

247

참고 문헌 1. 경상남도교육청,『2010 학부모 역량강화교육』인터넷 과다 사용 자녀 교육을 위한 학부모 역할, 김성수, 2010. 2. 경상남도교육청,『2010 학부모 역량강화교육』- 자녀들의 게임 중독 및 예방, 최명기, 2010. 3.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특성화고 현장실습생핸드북, 2017. 4. 교육부, 특성화고·마이스터고 ‘직업기초능력평가’ 시행, 2017.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2015. 6. 교육부, 창의적체험활동 종합지원시스템 기본계획, 2010. 7. 김은실, 전교 1등 핵심노트법, 서울문화사, 2010 8. 김재은, 아이들의 가능성을 키워주자, 교육과학사, 1993. 9. 김주희, 자녀에게 상처주는 101가지 말과 행동, 한울림, 2003. 10. 남성현 외, 아름다운 나의 미래 만들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4. 11. 대구광역시교육청,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2018. 12.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 중고등학교 학업성적 관리 시행 지침, 2018. 13. 대구광역시교육청, 현장체험학습 추진 계획, 2018. 14. 대구광역시교육청 취업지원센터,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을 위한 취업노트, 2012. 15. 류수환, 은행취업 자기소개서 & 면접비법, ㈜시대고시기획, 2012. 16. 문병용, 이력서 자기소개서 상식사전, ㈜도서출판 길벗, 2012. 17. 문화체육관광부, 개정 저작권법 해설서, 2012. 18.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우리들의 자녀 어떻게 기를 것인가, 1994. 19. 부산광역시교육청, 2008년 학생생활지도 표준 매뉴얼, 2008. 20. 부산광역시교육청, 2008년 학생생활지도 표준 매뉴얼, 2008. 21. 부산광역시교육청, 꿈ㆍ사랑ㆍ신뢰가 함께하는 교실, 2006∼2007. 22. 서울학부모지원센터, 학부모용 교육자료(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이야기)3 23. 설기문,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학지사, 1998. 24. 심성보 외, 인생교육론, 서현사 2007.

24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25. 송아름(2012), 은행ㆍ증권ㆍ보험사 고졸채용 인적성검사, ㈜시대고시기획, 2012. 26. 연문희, 21세기의 자녀교육. 2004. 27. 이성호, 흔들리는 부모, 방황하는 아이들, 조선일보사, 1997. 28. 이주연, 노트하기 1등급 공부법, 웰북 29. 이종범 외,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30. 전라남도교육청, 학부모 교육길라잡이, 전라남도교육청, 2010.

PART 2

31. 정상철, 자녀교육 이렇게 하자, 지평, 1997. 32. 정영진, 자녀발달의 결정적 시기, 학지사, 1996. 33. 차동엽, 무지개 원리, 위즈앤비즈, 2007. 34. 한국교육삼락회총연합회, 21세기 자녀교육 보람, 승림문화사, 2004. 35. 한상복, 마음을 움직이는 힘 배려, 위즈덤하우스, 2007.

PART 3

3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학년도 성취평가제 운영 매뉴얼-특성화고·마이스터고· 종합고 전문교과용, 교육과학기술부, 2012. 37. SD적성검사연구소 편저, 공사 공단 고졸채용 인ㆍ적성검사, ㈜시대고시기획, 2012. 38. 조재연, 청소년 사전, 마음의 숲, 2012.

PART 4

39. 신라대학교 외, 게임.인터넷.스마트폰 올바른 사용을 위한 생활지도 매뉴얼, (주)계문사, 2012. 40.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외,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대구광역시교육청 2008. 41. 대구광역시교육청, 학생사안 119, 대구광역시교육청, 2011. 42.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교육권리헌장 현장 착근 매뉴얼, 대구광역시교육청,

PART 5

2012. 43. 한국교육개발원 외, 학교폭력 NO! Wee 프로젝트 Yes!!, 교육과학기술부, 2011. 44. 전국학부모지원센터 외, 학부모와 함께 학교폭력 없는 행복한 학교 만들기, 대구광역시교육청, 2012. 45. 대구광역시교육청, 밥상머리교육, 대구광역시교육청, 2012. 46. 대구광역시교육청, 학교폭력.성폭력 예방 매뉴얼 북, 대구광역시교육청, 2012.

부록

47.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전문 . 한국대학교교육 협의회 대입상담센터. 2016. 48.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8학년도 특성화고 출신자 특별전형. 한국대학교교육

부록

249

협의회 대입상담센터. 2017. 49.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9학년도 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 대입상담센터. 2018. 50. 교육부고시 제2022-2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일부개정. 51. 전문교과Ⅱ 교과세특의 의미와 기재 방안, 2022 52. 프로젝트수업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기록하기,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연구회 53. 대구광역시교육청,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2022 < 참고 사이트 > 서울학부모지원센터 http://parents.sen.go.kr/ 대한 소아청소년 정신 의학회 http://www.kacap.or.kr/

서울특별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http://www.teen1318.or.kr/ 성교육 자료 http://blog.naver.com/ptaesoon2/10034187980 가정성폭력 상담소 http://www.lawhomep.or.kr/ 한국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 에듀넷 http://www.edunet4u.net/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작권 교실 http://youth.copyright.or.kr/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포털 하이파이브 http://www.hifive.go.kr 한국대학교육협의회 http://www.kcue.or.kr/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http://ncic.re.kr 학교생활기록부 종합지원 포털 http://parents.sen.go.kr/

250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PART 1 PART 2

PART 3

PART 4

PART 5

부록

251

부록

252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53

254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55

256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57

258

2023 자녀교육 가이드북

부록

259

특성화·마이스터고등학교 학부모

자녀교육 가이드북 발행일 2023년 3월 발행처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로 76길 11 ☏ 053)231-0000 ※ 이 책에 실린 모든 내용에 대하여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Get in touch

Social

© Copyright 2013 - 2024 MYDOKUMENT.COM - All rights reserved.